한국민속신앙사전 4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삼공잽이
    634 2023.02.27
    동해안 지역의 지옥가 [염불](/topic/염불), [꽃노래](/topic/꽃노래) 염불, [뱃노래](/topic/뱃노래) 염불, [초롱등](/topic/초롱등)노래 염불 등 무가를 반주하는 [무악](/topic/무악) [장단](/topic/장단)의 명칭.
  • 삼신밥
    603 2023.02.27
    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
  • 삼토신령
    562 2023.02.27
    황해도굿에서 매우 중요한 신으로, 한국ㆍ중국ㆍ인도의 세 나라를 가리켜 삼토라고 하는 영험 있는 [장군](/topic/장군). 특히 [작두](/topic/작두)를 탈 때 거명되며 액운과 잡신을 물리치는 신이다.
  • 생기복덕
    645 2023.02.27
    그날의 운수를 알아 보는 방법 중 하나. 일진(日辰)과 나이를 팔괘(八卦)에 배정하여 상·중·하 세 효(爻)의 변화로써 운수를 본다. 이것은 [제관](/topic/제관) 선정의 기준이 된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역말의 군웅나무 앞에서 매년 양력 9월 마지막주 일요일에 역말 토박이들 이 거행하는 제의.
  • 설경
    685 2023.02.27
    충청 지역의 앉은굿에서 경무(經巫)가 독경을 하기 위하여 경상(經床) 앞과 경청(經廳) 안팎에 둘러서 배치하여 귀신을 협박하고 잡아 가두는 역할을 하는 일체의 종이무구.
  • 성줏단지
    671 2023.02.27
    성주신의 신체로 쌀이나 [나락](/topic/나락)을 넣은 단지.
  • 소삼신모시기
    618 2023.02.27
    아기의 출산과 성장을 주관하는 삼신이 있듯이 소에게도 소삼신이 있다고 여겨 생육을 담당하는 소삼신에게 행하는 제의.
  • 송선자
    686 2023.02.27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설경 보[유자](/topic/유자).
  • 함경도 지역의 소규모 굿 가운데 [혼수](/topic/혼수)굿 또는 횡수맥이를 할 때 어린아이의 병을 낫도록 하고자 부르는 무가. 혼수굿에서 성인의 중병을 낫게 할 때는 저승사자를 대접해 인간의 정명(定命)을 연장하는 내용의 무가를 부르고, 어린아이의 병을 낫게 할 때는 장님과 앉은뱅이가 부처님의 은덕으로 병을 고치는 를 부른다. 여기서 숙영랑과 앵연랑은 무가 주인공인 남생이와 거북이의 부모 이름을 각각 가져와 손진태(孫晉泰)가 무가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 시왕기
    679 2023.02.27
    제주도굿의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에서 시왕의 신체(神體)로 쓰이는 [기메](/topic/기메).
  • 신줏단지
    637 2023.02.27
    신주(神主)와 단지[甕]의 합성어이며, 신주는 [조상신](/topic/조상신)을 의미하고 단지는 조상신을 상징하는 신체(神體)로서, 곧 [조상단지](/topic/조상단지)를 뜻한다.
  • 아이팔기
    563 2023.02.27
    아이의 명이 짧거나 사주가 좋지 않을 경우 신이나 자연물 또는 사람을 수양부모로 정하여 아이의 수명장수를 비는 비정기적인 의례.
  • 554 2023.02.27
    사람을 해치고 일을 방해하는 악한 기운. 액은 사람에게 무서운 질병이나 사고가 나도록 만들기도 하고, 인간관계를 갈등과 파국으로 이끄는 사악한 힘을 지닌 것으로 인식된다.
  • 엄나무
    636 2023.02.27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민속신앙에서 잡귀나 병마를 물리치는 데 쓰이는 도구. 학명은 칼로파낙스 픽투스(Kalopanax pictus)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란다. 음나무, 엄목(嚴木), 자동(刺桐), 총목(楤木), 해동(海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