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두호[마을](/topic/마을)의 공동체가 주관하여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당제. |
---|---|
mp3Cnt | 0 |
wkorname | 김승찬 |
특징 | 부산 지방의 당제 가운데 두호[마을](/topic/마을)의 당산할매제는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당산할매제에 성주제와 시주제를 함께 모신다. 일반 가정에서 차례를 지낼 때 차례에 앞서 차례상 옆에서 주부가 [성주상](/topic/성주상)을 차리고 [비손](/topic/비손)하는 경우는 있지만 당산할매제 때 할매제와 더불어 성주제상과 시주(세존)[제상](/topic/제상)을 진설하는 예는 없다. 그리고 조화를 꽂는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를 놓고 지난해 놓은 것을 끄집어내는 행위와 소지를 올리지 않는 행위는 다른 지방의 당제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할매제 때 할매당 앞뜰에 [용왕제](/topic/용왕제)상을 차리고 할매당 뒤의 제단에 천왕제상을 차리고 술을 한 잔 올리는 의례도 독특한 예라 할 수 있다. 어사암에서 작은 오쟁이에 제물로 쓴 메와 나물 등을 조금씩 담아 바다로 띄워 보내는 의례행위는 재액을 일으키는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멀리 떠나보내고 풍어를 기원하는 의미로 행하는 것이다. 이는 잡귀잡신에 대한 [헌식](/topic/헌식) 의례의 한 [가지](/topic/가지)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기장](/topic/기장)현읍지 (경상남도지 편찬위원회, 경상남도여지집성, 1963)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동신당 (김태곤, 민속원, 1999) 부산의 당제 (김승찬 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5) | 특징 | 부산 지방의 당제 가운데 두호[마을](/topic/마을)의 당산할매제는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당산할매제에 성주제와 시주제를 함께 모신다. 일반 가정에서 차례를 지낼 때 차례에 앞서 차례상 옆에서 주부가 [성주상](/topic/성주상)을 차리고 [비손](/topic/비손)하는 경우는 있지만 당산할매제 때 할매제와 더불어 성주제상과 시주(세존)[제상](/topic/제상)을 진설하는 예는 없다. 그리고 조화를 꽂는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를 놓고 지난해 놓은 것을 끄집어내는 행위와 소지를 올리지 않는 행위는 다른 지방의 당제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할매제 때 할매당 앞뜰에 [용왕제](/topic/용왕제)상을 차리고 할매당 뒤의 제단에 천왕제상을 차리고 술을 한 잔 올리는 의례도 독특한 예라 할 수 있다. 어사암에서 작은 오쟁이에 제물로 쓴 메와 나물 등을 조금씩 담아 바다로 띄워 보내는 의례행위는 재액을 일으키는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멀리 떠나보내고 풍어를 기원하는 의미로 행하는 것이다. 이는 잡귀잡신에 대한 [헌식](/topic/헌식) 의례의 한 [가지](/topic/가지)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기장](/topic/기장)현읍지 (경상남도지 편찬위원회, 경상남도여지집성, 1963)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 1994) 동신당 (김태곤, 민속원, 1999) 부산의 당제 (김승찬 외,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5) | 정의 |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두호[마을](/topic/마을)의 공동체가 주관하여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당제. | 정의 | 부산광역시 [기장](/topic/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두호[마을](/topic/마을)의 공동체가 주관하여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당제. | 내용 | 당제를 지내는 날은 옛날에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자정과 시월 열나흗날 자정으로 일 년에 두 차례 지냈으나 요사이에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낮 11시쯤 썰물 때에 한 차례만 지낸다.제주(祭主)도 옛날에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쯤에 무당을 불러와 [대잡이](/topic/대잡이)를 하여 선정했으나 요사이에는 음력 정월 닷샛날쯤에 이장, 어촌계장, 동부수협의 대의원 두 명, 동부산농협 대의원 한 명이 윤번제로 한 명씩 제주가 되어 제의를 주관한다. 제주가 되면 그날부터 음력 정월 말까지 금기생활을 해야 한다. 부부관계를 금해야 하며, 길흉사에절대로 가서는 안 된다. 심지어 집안 사람이 상(喪)을 당하여도 문상을 [가지](/topic/가지) 않으며, [동물](/topic/동물)의 주검 같은 것도 보지 않고 만질 수도 없다. 옛날에는 제의 사흘 전부터 변소를 갔다 와도 찬물에 목욕재계를 하고 정결한 옷으로 갈아입었다고 하지만 요사이에는 하지 않는다. 아흐렛날에는 고두밥에 누룩을 버무려 그 위에 물을 붓고 제의에 사용할 제주(祭酒)를 만들어 할매당에 갖다 둔다. 열하룻날에는 왼새끼로 만든 [금줄](/topic/금줄)에 [길지](/topic/길지)(吉紙)를 20㎝ 간격으로 끼워 할매당·할배당·거릿대[장군](/topic/장군)당·공동[우물](/topic/우물)과 자기집 앞에 치고, [황토](/topic/황토)도 각 제당과 자기집 출입구 양쪽에 한 줌씩 놓는다. 열사흗날에는 [기장](/topic/기장)읍 장에 가서 제수를 사고, 가게 주인이 부르는 대로 값을 치르고 와서 할매당에서 조리한다. 조리는[마을](/topic/마을) 부녀자들이 전담하되 부정을 탈까 봐 간도 보지 않고 조리한다. 제의의 차례는 할매당, 공동우물, 할배당, 가릿대장군당, 풍어제 터, 어사암 순서로 한다. 풍어제 터는‘두모포 풍어제’라는 깃발을 세우고 풍어제를 지내던 곳으로, 마을 앞 해변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폭 105㎝, 높이 170㎝의 바위에 ‘두모포 풍어제터’라 음각한 바위가 있고, 그 아래에 제단이 설치되어 있다. 어사암의 본래 이름은 매바위(鷹岩)였다. 『기장현읍지(機張縣邑誌)』형승(形勝)조에 따르면 1883년(고종 20)에 수의어사(繡衣御史)인 이도재(李道宰)가 관기 월매와 여기에서 놀았다 하여 매바위를 어사암으로 지칭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대보름날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 사이가 썰물 때여서 이때 마을에서 어사암까지 걸어서 건너갈 수 있다. 제의 절차는 할매당의 경우 제단에 제수를 진설하러 들어갈 때 금줄을 걷어 치우고 간다. 할매당 안에 있는 하나의 제단에 세 [제상](/topic/제상)을 진설한다. 중앙에 할매제상, 왼편에 [시주](/topic/시주)(또는 세존)제상, 오른편에 성주제상을 진설하되 시주제상에는 비린내 나는 육고[기와](/topic/기와) 어물고기는 진설하지 않는다. 신위 앞 첫 줄에는 돼지고기·수저·국·메·[시루떡](/topic/시루떡), 둘째줄에는 술잔, 셋째 줄에는 생선·[배추](/topic/배추)전·탕·[미나리](/topic/미나리)전·계란, 넷째 줄에는 [시금치](/topic/시금치)나물·무나물·고사리나물·도라지나물, 다섯째 줄에는 건어포·[대추](/topic/대추)·밤·곶감·배·[사과](/topic/사과)·귤 등을 차례로 진열한다. 먼저 세 신위 앞에 놓인 조화를 꽂은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를 한 장씩 놓은 다음 ‘나씨할매신위’라 쓴 지방을 붙인다(시주제상과 성주제상 앞에는 지방을 붙이지 않음). 제단 양쪽 가에 촛불을 밝힌 뒤 제단 아래 [향로](/topic/향로)에 향을 사르고 [헌작](/topic/헌작)한 다음 재배하고 나서 개반삽시(開飯揷匙, 메그릇 뚜껑을 열고 숟가락 바닥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꽂고 젓가락을 동쪽으로 향하게 올려놓음)하고, 잠시 있다가 다시 헌작하고 참석자 일동과 재배한 뒤에 철시부반(撤匙覆飯,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 뚜껑을 닫음)하고 [철상](/topic/철상)한다. [축문](/topic/축문)은 없다. 제주가 할매제를 올릴 때 마을의 유지 한 사람은 제당 앞에 [용왕제](/topic/용왕제)상, 또 한 사람은 제당 뒤의 돌 제단에 천왕제상을 각각 간단하게 차리고 술을 한 잔 올린 다음 재배한 뒤 철상한다. 할매당의 제의가 끝나면 지방을 태우고, [한지](/topic/한지)에 주먹밥을 여섯 개 싸서 마을 앞의 황학대 뒤쪽 포구를 향해 여섯 곳에던진다. 그다음 할배당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공동우물에 술을 한 잔 올리고 할배당으로 간다. 옛날에는 제수를 [지게](/topic/지게)로 옮겼으나 요사이에는 차량을 이용한다. 할배당에 도착해서는 할매당에서 한 것처럼 제주가 금줄을 걷어 소나무에 매어 놓고, 신위 앞에 놓인 조화를 꽂은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를 한장 놓은 다음 ‘국수당할배신위’라는 지방을 붙이고 제의를 베푼다. 절차는 할매당과 같으나 한지에 주먹밥을 싸서 던지는 의례 행위는 하지 않는다. 거릿대장군당에서의 제의도 제주가 제당 앞에 친 금줄을 걷어 오른쪽에 있는 소나무에 매어 놓은 뒤 신위 앞에 놓인 조화를 꽂은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 한장을 놓고 지방 없이 할미당의 제의 절차대로 행한다. 풍어제굿터는 2005년부터 제의를 베풀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주가 어포와 과실을 제단에 놓고서 절은 하지 않고 술만 한 잔 올린다. 마지막으로 어사암에서는 [주과포](/topic/주과포)를 간단히 차려서 제주가 술을 한 잔 올리고 재배한 뒤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떠나보내기 위해 작은 오쟁이에 제물로 쓴 메와 나물 등을 조금씩 담아 바다로 띄워 보내는 [헌식](/topic/헌식) 의례만 행한다. 모든 제의가 끝나면 할매당 앞에서 부정이 없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함께 [음복](/topic/음복)을 하면서 그해에 집집마다 고기도 많이 잡고 미역 채취가 잘되기를 [덕담](/topic/덕담)으로 나눈다. 이는 새해인사인 동시에 지연적 유대감을 돈독히 하는 행위이다. 뒷놀이는 하지 않는다. 제의 행사가 모두 끝나면 제주는 자기 집에 쳐 둔 금줄을 거두어 태워 없앤다. 2009년의 제수 구입비는 약 100만 원이 들었다. 이 경비는 마을개발위원회와 어촌계에서 반반씩 갹출하며, 결산은 음복할 때나 날을 받아 행한다. 두모마을에서는 5년에 한 번 축제적 성격을띤 풍어제([별신굿](/topic/별신굿))를 정월 초순에 행한다. | 내용 | 당제를 지내는 날은 옛날에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자정과 시월 열나흗날 자정으로 일 년에 두 차례 지냈으나 요사이에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낮 11시쯤 썰물 때에 한 차례만 지낸다.제주(祭主)도 옛날에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쯤에 무당을 불러와 [대잡이](/topic/대잡이)를 하여 선정했으나 요사이에는 음력 정월 닷샛날쯤에 이장, 어촌계장, 동부수협의 대의원 두 명, 동부산농협 대의원 한 명이 윤번제로 한 명씩 제주가 되어 제의를 주관한다. 제주가 되면 그날부터 음력 정월 말까지 금기생활을 해야 한다. 부부관계를 금해야 하며, 길흉사에절대로 가서는 안 된다. 심지어 집안 사람이 상(喪)을 당하여도 문상을 [가지](/topic/가지) 않으며, [동물](/topic/동물)의 주검 같은 것도 보지 않고 만질 수도 없다. 옛날에는 제의 사흘 전부터 변소를 갔다 와도 찬물에 목욕재계를 하고 정결한 옷으로 갈아입었다고 하지만 요사이에는 하지 않는다. 아흐렛날에는 고두밥에 누룩을 버무려 그 위에 물을 붓고 제의에 사용할 제주(祭酒)를 만들어 할매당에 갖다 둔다. 열하룻날에는 왼새끼로 만든 [금줄](/topic/금줄)에 [길지](/topic/길지)(吉紙)를 20㎝ 간격으로 끼워 할매당·할배당·거릿대[장군](/topic/장군)당·공동[우물](/topic/우물)과 자기집 앞에 치고, [황토](/topic/황토)도 각 제당과 자기집 출입구 양쪽에 한 줌씩 놓는다. 열사흗날에는 [기장](/topic/기장)읍 장에 가서 제수를 사고, 가게 주인이 부르는 대로 값을 치르고 와서 할매당에서 조리한다. 조리는[마을](/topic/마을) 부녀자들이 전담하되 부정을 탈까 봐 간도 보지 않고 조리한다. 제의의 차례는 할매당, 공동우물, 할배당, 가릿대장군당, 풍어제 터, 어사암 순서로 한다. 풍어제 터는‘두모포 풍어제’라는 깃발을 세우고 풍어제를 지내던 곳으로, 마을 앞 해변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폭 105㎝, 높이 170㎝의 바위에 ‘두모포 풍어제터’라 음각한 바위가 있고, 그 아래에 제단이 설치되어 있다. 어사암의 본래 이름은 매바위(鷹岩)였다. 『기장현읍지(機張縣邑誌)』형승(形勝)조에 따르면 1883년(고종 20)에 수의어사(繡衣御史)인 이도재(李道宰)가 관기 월매와 여기에서 놀았다 하여 매바위를 어사암으로 지칭하게 된 것이라고 한다. 대보름날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 사이가 썰물 때여서 이때 마을에서 어사암까지 걸어서 건너갈 수 있다. 제의 절차는 할매당의 경우 제단에 제수를 진설하러 들어갈 때 금줄을 걷어 치우고 간다. 할매당 안에 있는 하나의 제단에 세 [제상](/topic/제상)을 진설한다. 중앙에 할매제상, 왼편에 [시주](/topic/시주)(또는 세존)제상, 오른편에 성주제상을 진설하되 시주제상에는 비린내 나는 육고[기와](/topic/기와) 어물고기는 진설하지 않는다. 신위 앞 첫 줄에는 돼지고기·수저·국·메·[시루떡](/topic/시루떡), 둘째줄에는 술잔, 셋째 줄에는 생선·[배추](/topic/배추)전·탕·[미나리](/topic/미나리)전·계란, 넷째 줄에는 [시금치](/topic/시금치)나물·무나물·고사리나물·도라지나물, 다섯째 줄에는 건어포·[대추](/topic/대추)·밤·곶감·배·[사과](/topic/사과)·귤 등을 차례로 진열한다. 먼저 세 신위 앞에 놓인 조화를 꽂은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를 한 장씩 놓은 다음 ‘나씨할매신위’라 쓴 지방을 붙인다(시주제상과 성주제상 앞에는 지방을 붙이지 않음). 제단 양쪽 가에 촛불을 밝힌 뒤 제단 아래 [향로](/topic/향로)에 향을 사르고 [헌작](/topic/헌작)한 다음 재배하고 나서 개반삽시(開飯揷匙, 메그릇 뚜껑을 열고 숟가락 바닥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꽂고 젓가락을 동쪽으로 향하게 올려놓음)하고, 잠시 있다가 다시 헌작하고 참석자 일동과 재배한 뒤에 철시부반(撤匙覆飯,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 뚜껑을 닫음)하고 [철상](/topic/철상)한다. [축문](/topic/축문)은 없다. 제주가 할매제를 올릴 때 마을의 유지 한 사람은 제당 앞에 [용왕제](/topic/용왕제)상, 또 한 사람은 제당 뒤의 돌 제단에 천왕제상을 각각 간단하게 차리고 술을 한 잔 올린 다음 재배한 뒤 철상한다. 할매당의 제의가 끝나면 지방을 태우고, [한지](/topic/한지)에 주먹밥을 여섯 개 싸서 마을 앞의 황학대 뒤쪽 포구를 향해 여섯 곳에던진다. 그다음 할배당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공동우물에 술을 한 잔 올리고 할배당으로 간다. 옛날에는 제수를 [지게](/topic/지게)로 옮겼으나 요사이에는 차량을 이용한다. 할배당에 도착해서는 할매당에서 한 것처럼 제주가 금줄을 걷어 소나무에 매어 놓고, 신위 앞에 놓인 조화를 꽂은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를 한장 놓은 다음 ‘국수당할배신위’라는 지방을 붙이고 제의를 베푼다. 절차는 할매당과 같으나 한지에 주먹밥을 싸서 던지는 의례 행위는 하지 않는다. 거릿대장군당에서의 제의도 제주가 제당 앞에 친 금줄을 걷어 오른쪽에 있는 소나무에 매어 놓은 뒤 신위 앞에 놓인 조화를 꽂은 오지그릇 밑에 1,000원짜리 새 지폐 한장을 놓고 지방 없이 할미당의 제의 절차대로 행한다. 풍어제굿터는 2005년부터 제의를 베풀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주가 어포와 과실을 제단에 놓고서 절은 하지 않고 술만 한 잔 올린다. 마지막으로 어사암에서는 [주과포](/topic/주과포)를 간단히 차려서 제주가 술을 한 잔 올리고 재배한 뒤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떠나보내기 위해 작은 오쟁이에 제물로 쓴 메와 나물 등을 조금씩 담아 바다로 띄워 보내는 [헌식](/topic/헌식) 의례만 행한다. 모든 제의가 끝나면 할매당 앞에서 부정이 없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함께 [음복](/topic/음복)을 하면서 그해에 집집마다 고기도 많이 잡고 미역 채취가 잘되기를 [덕담](/topic/덕담)으로 나눈다. 이는 새해인사인 동시에 지연적 유대감을 돈독히 하는 행위이다. 뒷놀이는 하지 않는다. 제의 행사가 모두 끝나면 제주는 자기 집에 쳐 둔 금줄을 거두어 태워 없앤다. 2009년의 제수 구입비는 약 100만 원이 들었다. 이 경비는 마을개발위원회와 어촌계에서 반반씩 갹출하며, 결산은 음복할 때나 날을 받아 행한다. 두모마을에서는 5년에 한 번 축제적 성격을띤 풍어제([별신굿](/topic/별신굿))를 정월 초순에 행한다. | 역사 | 1510년(중종 5)에 두모포영(豆毛浦營)이 죽성리에 설치되었다가 1592년(선조 25)에 부산 수정동 해안으로 옮겨졌으며, 17세기 중엽에 나씨(羅氏) 할매가 죽성리의 이곳에 들어와 두호(두모)[마을](/topic/마을)을 일으켰다고 한다. 마을을 일으킨 나씨 할매가 죽자 마을 사람들은 그녀를 기리기 위해 마을의 동북쪽 바닷가에 맞배[기와](/topic/기와)[지붕](/topic/지붕)에 블록으로 벽을 쌓은 면적3.3㎡ 정도의 할매당을 지어 받들어 모시게 된 데서 당제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 뒤 마을 뒤편 국수봉에 국태민안과 기우제를 올리기 위해 맞배기와지붕에 돌과 시멘트로 벽을 쌓은 면적 1.7㎡ 정도의 할배당을 지었다. 할배당은 ‘국수당’ 또는 ‘국시당’이라고도 칭한다. 당집 뒤에는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0호’인 수령 230여 년으로 추정되는 해송 네 그루가 한 그루처럼 서 있다. 또 월전마을에서 두호마을로 들어오는 길 옆에는 역질과 잡귀의 진입을 막기 위해 장승을 세웠다가 1933년에 장승 대신 면적 1.7㎡ 정도의 맞배기와지붕에 블록으로 벽을 쌓은 거릿대[장군](/topic/장군)당을 지었다고 한다. 그 뒤 할매당·할배당·거릿대장군당이 낡아 [기장](/topic/기장)군청의 지원을 받아 할매당은 2005년 2월, 할배당과 거릿대 장군당은 2007년 7월에 각각 원형을 살려 새롭게 보수하였다. 본래 제단은 나무판이었으나 보수하면서 대리석판으로 바꾼 것만 다르다. | 역사 | 1510년(중종 5)에 두모포영(豆毛浦營)이 죽성리에 설치되었다가 1592년(선조 25)에 부산 수정동 해안으로 옮겨졌으며, 17세기 중엽에 나씨(羅氏) 할매가 죽성리의 이곳에 들어와 두호(두모)[마을](/topic/마을)을 일으켰다고 한다. 마을을 일으킨 나씨 할매가 죽자 마을 사람들은 그녀를 기리기 위해 마을의 동북쪽 바닷가에 맞배[기와](/topic/기와)[지붕](/topic/지붕)에 블록으로 벽을 쌓은 면적3.3㎡ 정도의 할매당을 지어 받들어 모시게 된 데서 당제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 뒤 마을 뒤편 국수봉에 국태민안과 기우제를 올리기 위해 맞배기와지붕에 돌과 시멘트로 벽을 쌓은 면적 1.7㎡ 정도의 할배당을 지었다. 할배당은 ‘국수당’ 또는 ‘국시당’이라고도 칭한다. 당집 뒤에는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0호’인 수령 230여 년으로 추정되는 해송 네 그루가 한 그루처럼 서 있다. 또 월전마을에서 두호마을로 들어오는 길 옆에는 역질과 잡귀의 진입을 막기 위해 장승을 세웠다가 1933년에 장승 대신 면적 1.7㎡ 정도의 맞배기와지붕에 블록으로 벽을 쌓은 거릿대[장군](/topic/장군)당을 지었다고 한다. 그 뒤 할매당·할배당·거릿대장군당이 낡아 [기장](/topic/기장)군청의 지원을 받아 할매당은 2005년 2월, 할배당과 거릿대 장군당은 2007년 7월에 각각 원형을 살려 새롭게 보수하였다. 본래 제단은 나무판이었으나 보수하면서 대리석판으로 바꾼 것만 다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