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쇠춤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석거리 앞부분에서 추거나 터벌림을 하고 난 다음 판을 여는 의미로 추기도 하고, 군웅굿에서는 굿상을 앞에 놓고 진쇠장단에 맞추어 군웅을 영접하며 추는 춤.
definition
제석거리 앞부분에서 추거나 터벌림을 하고 난 다음 판을 여는 의미로 추기도 하고, 군웅굿에서는 굿상을 앞에 놓고 진쇠장단에 맞추어 군웅을 영접하며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이애주
정의제석거리 앞부분에서 추거나 터벌림을 하고 난 다음 판을 여는 의미로 추기도 하고, 군웅굿에서는 굿상을 앞에 놓고 진쇠장단에 맞추어 군웅을 영접하며 추는 춤.
내용진쇠춤은 진쇠장단에 맞춰 은근한 점을 찍어 주는 듯 추어지는데, 여기에서 팔놀림은 마치 지시하기도 하고 호령하기도 하는 듯한 위엄 있는 당당한 기풍의 [춤사위](/topic/춤사위)로 몰이로 가며 활달한 춤으로 변화된다. 이 춤은 현재 보기 어렵게 되었다. 진쇠장단이 매우 복잡한 30박으로 구성되어서 무당들이 소화해 내기 힘들 뿐 아니라 현대 들어 굿이 짧아지고 생략되기도 하면서 점차 잊어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진쇠춤의 [장단](/topic/장단)으로는 다음과 같다.

![무속신앙 진쇠춤](/upload/img/20170106/20170106171906_t_.jpg)

진쇠춤은 발놀림 팔놀림 몸놀림을 이용한 여러 [가지](/topic/가지) 춤사위로, 춤이 진행되면서 너울사위와 함께 저정거리기, 엎고 제치기, 팔위로 올려 뿌리기 등을 제자리에서, 앞으로 나아가면서, 돌면서 한다.


1. 발놀림-무릎 굽히기, 걷기, 삼진삼퇴
2. 팔놀림-어깨 높이로 들기, 엎고 제치기, 위로 뿌리기
3. 몸놀림-저정거리기, 어깨춤
참고문헌안성무속(경기시나위춤)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제12호 (이보형·심우성, 문화재관리국, 1976)
무무 (문화재연구소, 문화재관리국, 1987)
서울 진오기굿 (김수남, 열화당, 1993)
한국무속과 연희 (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한국의 샤머니즘 (조흥윤,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샤머니즘 연구 (한국샤머니즘학회, 문덕사, 2002)
경기도 남부 도당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특징 (박정경, 한국무속학 7, 한국무속학회, 2003)
경기도당굿의 굿춤 (이애주, 제8회 동양음악학국제학술회의, 2004)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무속·불교·유교를 통하여 본 식생활문화 및 그 의식절차에 대한 연구-서울 지방을 중심으로김상보1975
집문당한국무속연구김태곤1981
민속원서울굿의 양상과 의미홍태한2006
국립문화재연구소무·굿과 음식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