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향상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굿에서 본향거리 또는 본향바래기·산바래기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이다.
definition
서울굿에서 본향거리 또는 본향바래기·산바래기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이다.
mp3Cnt
0
wkorname
이수현
정의서울굿에서 본향거리 또는 본향바래기·산바래기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이다.
내용본향거리는 언제나 보이는 굿 제차는 아니다. 또 본향이라고는 해도 본향조상, 본향가망, 도당말명, 본향산신 등 여러 계열이 나타나는데, 최근 본향상은 따로 차려지는 일이 드물고 다른 상으로 대신하거나 합하여 차리는 경우도 많다. 현재는 생략하거나 간소하게 차리는 경우가 많은데 팥떡과 맑은 술이 대표적인 제물이며 그 외에 [삼색나물](/topic/삼색나물)과 전, 과일, 조과 등을 더하기도 한다.

산신본향을 모실 경우에는 비교적 정식으로 제물을 차린다. 산신본향상은 팥떡을 겹쳐 쌓아 3접시를 놓고, 맑은 술을 3잔 올리고, 생미 그릇, 밤, [대추](/topic/대추), 약과, 다식, 팔보, 과일을 놓으며 상 양쪽으로 [촛대](/topic/촛대)를 세우고 본향종이를 놓는다. [가망](/topic/가망)본향상은 현재 서울 재수굿에서는 팥떡을 크게 나누어 놓고 그 위에 빈대떡 또는 전병만 올리고 끝내거나, 술잔 3개만으로 상을 대신하거나 밤, 대추, 빈대떡만으로 차리기도 한다.

팥떡은 본래 한국의 의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떡으로, 쌀가루와 붉은 팥고물을 시루에 앉혀 쪄낸 팥시루떡 또는 무시루떡이 가장 흔하다. 본향상에서도 이 떡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떡만으로 상을 대신하기도 한다. 노르스름한 겨피팥(붉은 겉껍질을 벗겨낸 팥)떡을 쓰거나 두 [가지](/topic/가지)를 함께 쓰기도 한다.
참고문헌한국의 샤머니즘 (조흥윤,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홍태한,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굿과 음식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굿상에 투영된 신에 대한 인식 (이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