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3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성인굿
    760 2023.02.27
    함경도에서 전승되는 굿으로, 여러 성인의 내력을 일괄해서 하나로 모시는 작은 재수굿. 이를 달리 ‘셍굿’, ‘센풀이’, ‘세인굿’ 등으로 불린다.
  • 영장치기
    698 2023.02.27
    중병에 걸린 환자를 치유하려는 목적을 가진 무속제의. 달리 ‘영장(永葬)’, ‘헛장[虛葬]’이라고도 불린다.
  • 천왕메기굿
    559 2023.02.27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의 주민들이 동제당인 천왕당에서 정월 보름에 지내는 [마을](/topic/마을) 의례. 이 굿은 1989년 6월 15일에 천왕메기라는 명칭으로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제사. 이 제사는 1991년 7월 9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 구삼싱 냄
    879 2023.02.27
    구삼싱할망은 산육신(産育神)인 명진국할마님과 대적하여 아이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구삼싱 냄은 구삼싱할망이 아이에게 범접하여 생긴 병을 치료하는 무속의례.
  • 동이풀이굿
    725 2023.02.27
    양씨 아미 본풀이에 나오는 굶어서 동이처럼 사려 앉아 죽은 양씨 아미[處女]의 혼령을 위무하는 조상굿. 이 굿은 제주시 조천읍 눈미[와산리(臥山里)] 지역 고씨 집안에서 조상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행하는 무속 의례이다.
  • 병굿
    789 2023.02.27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하는 굿. ‘치병(治病)굿’, ‘환자굿’, ‘중천굿’, ‘별상굿’, ‘우환굿’ 등으로도 부른다.
  • 성주굿
    667 2023.02.27
    집안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관장하는 가옥신(家屋神)인 성주신에게 식구들의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있게 해 달라고 비는 무속제의. ‘성조(成造)굿’이라고도 한다.
  • 영해별신굿놀이는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한 지역 유형의 굿. 이 굿은 1980년 12월 30일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 철물이굿
    549 2023.02.27
    황해도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독자적인 굿 가운데 하나로, 일종의 재수굿 성격을 띠고 있는 굿. 철물이굿은 우환이 없는 집에서 하는 경사굿으로서 새로 집을 짓거나, 신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거나, 자손의 창성을 빌기 위하여 연행하는 굿이다. 이 굿은 절기상으로 동짓달과 섣달은 피하고 10월 상달이나 정월에 한다.
  • [마을](/topic/마을)의 풍요와 번영의 기원, 재수와 복, 대동화합을 위한 경사굿. 대개 마을굿의 중간에 소를 형상화한 탈을 쓰고 노는 굿이기 때문에 소놀음굿이라고 한다. 이 굿은 1988년 8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90호’로 지정되었으며, 예능보[유자](/topic/유자)는 [이선비](/topic/이선비)이다.
  • 길대장굿
    882 2023.02.27
    전라남도 진도군에 전승되어 왔던 일종의 [마을](/topic/마을)굿. 진도 지방에서는 장승을 ‘길대장’이라고 부른다.
  • 동해안별신굿
    729 2023.02.27
    동해안 지역의 자연[마을](/topic/마을)에서 일정한 주기로 행하는 마을굿. 1985년 2월 1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2-가호’로 지정되었다. 지정 종목의 정식 명칭은 동해안풍어제(豊漁祭)이며, 여기서 풍어제가 바로 이 [별신굿](/topic/별신굿)이다.
  • 본향당굿
    747 2023.02.27
    제주도의 각 [마을](/topic/마을)에서 본향신에게 지내는 정기 당굿.
  • 소슬굿
    705 2023.02.27
    [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고 한 해가 지난 후, 무당으로서 이름 석 자를 떨치고 크게 솟아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는 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