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3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광양당제
    1051 2023.02.27
    제주도의 광양당(廣壤堂)에서 봄과 가을에 [마을](/topic/마을)의 남녀가 모여 지내던 제의. 광양당은 지금의 제주도 제주시 이도 2동에 있다. 사람들은 흔히 이곳을 ‘과양’이라 하고 당에 대해서도 ‘과양당’이라고 한다.
  • 건궁
    1051 2023.02.27
    신체가 없이 모시는 [가신](/topic/가신).
  • 거상장단
    1049 2023.02.27
    무당이 의례상을 진설하여 신에게 바치는 행위를 할 때 연주하는 장단. 거상장단은 궁중음악에서 연주하는 ‘거상악(擧床樂)’에서 유래된 말이다. 궁중음악의 거상악은 잔치를 할 때 ‘음식 상(床)을 올리는[擧] 음악’이라는 의미이다. 굿판에서는 신을 모시기 위한 상을 올릴 때 거상악을 거상장단으로 연주한다.
  •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농산리 입석[마을](/topic/마을) 앞에 있는 좌불이 음각된 선인상. 1997년 1월 30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 문당리에 있는 성황단. 2002년 7월 12일에‘충청북도 민속자료 제13호’로 지정되었다.
  • 개토제
    1046 2023.02.27
    집을 짓거나 [묘지](/topic/묘지)를 조성하기 위해 땅을 처음 팔 때 토지신(土地神)에게 올리는 제의. 건물터를 조성할 때는 개기제(開基祭)라고도 한다.
  • 걸립화
    1045 2023.02.27
    [걸립신](/topic/걸립신)을 모시기 위한 꽃.
  • 계면떡
    1044 2023.02.27
    무당이 굿을 끝내고 구경꾼들에게 [음복](/topic/음복)을 위하여 나누어 주는 떡.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세동리 상세동[마을](/topic/마을) 산제당에 [봉안](/topic/봉안)해 온 산신도. 2009년 1월 20일‘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9호’로 지정되었다.
  • 거무장단
    1041 2023.02.27
    동해안 굿에서 쓰이는 [거무춤](/topic/거무춤)의 반주 장단. 오늘날 거무장단은 대개 거무춤의 반주로 쓰이지만 예전에는 굿하는 기간 매일 아침 굿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양중들의 기량을 보여주기 위해 [드렁갱이](/topic/드렁갱이)와 함께 연주되기도 했다.
  • 고드개 무당
    1039 2023.02.27
    함경도 무속 현장에서 쓰이는 용어로써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얼마 되지 않은 새 무당.
  • 개양할미
    1038 2023.02.27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수성당에 좌정해 있는 [칠산바다](/topic/칠산바다)의 여신. 칠산바다의 주요 해신(海神)은 개양할미와 그가 낳은 여덟 딸들이라 할 수 있다. 개양할미는 칠산바다의 여신을 총 지휘하는 으뜸 신격에 해당되며 어부들의 뱃길 안전과 풍어를 돕는 기능을 한다.
  • 거무춤
    1037 2023.02.27
    강릉단오굿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등에서 부정굿 [꽃노래](/topic/꽃노래), [뱃노래](/topic/뱃노래), 등노래, [거리굿](/topic/거리굿)을 제외한 모든 거리에서 추는 춤.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고마나루에서 백제시대 때부터 금강의 수신(水神)에게 제사를 올리던 제장(祭場).
  • 충청남도 공주시 부전동에서 조선 후기 동계를 결성하고 그 운영내력을 기록한 문서. 부전대동계는 16세기 이래 부전동에 속한 12개 [마을](/topic/마을)민들이 향촌자치와 무성산의 산신제를 주관해 온 조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