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미닫이
    676 2023.02.27
    경남 동해안 지역의 무가이자 [장단](/topic/장단) 명칭인 엇청보 2장의 별칭. [미닫이](/topic/미닫이), 즉 엇청보는 경남 동해안 지역의 오구굿에서 주로 쓰는 음악이다. 한 장단이 청보의 다섯 칸을 벗어난 일곱 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엇청보’라 부른다. 이 때문에 ‘엇자’라는 별칭도 있다.
  • 미륵당
    722 2023.02.27
    도솔천에 살며 56억 7000만 년 뒤에 [미륵불](/topic/미륵불)로 나타나 중생을 제도한다는 장래의 미륵부처를 모시는 [마을](/topic/마을)제당이나 석불입상.
  • 미륵바위
    717 2023.02.27
    자연석 또는 남근 모양의 바위를 인공으로 만들어 자식 낳기를 기원하며 섬기는 기자석(祈子石) 성격의 바위.
  • 미륵불
    679 2023.02.27
    미륵의 영험을 믿고 기원하는 [미륵제](/topic/미륵제)의 신체로 위하는 제의 대상물.
  • 미역
    646 2023.02.27
    가정신앙에서 산모가 아이를 낳거나 삼신고사를 지낼 때 주로 사용하는 [제물](/topic/제물). 감곽(甘藿) 또는 해채(海菜)라고도 한다.
  • 미친경
    747 2023.02.27
    원인 불명의 정신질병이 발생하였을 때 원인을 역신이나 잡귀·잡신의 침범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앉은굿으로써 퇴치하는 주술행위.
  • 밀떡
    638 2023.02.27
    유두날이나 칠월칠석날 밀로 만들어 올리는 떡.
  • 바꾸보살
    679 2023.02.27
    충청남도 황도 일대의 밀양 박씨(密陽 朴氏) 가족사에서 비극적 생애와 죽음을 겪은 것으로 알려진 한 비구니(比丘尼)의 혼신(魂神). 후손들은 이승에서 떠도는 비운(悲運)의 혼신을 집안에 [봉안](/topic/봉안)하고 지극정성으로 위함으로써, 그녀를 조상으로 승격․유지시키는 한편 그녀의 원혼으로 인하여 야기될지 모르는 집안의 불행을 막아서 가내평안(家內平安)을 이루고자 한다.
  • 바라지
    613 2023.02.27
    무속신앙에서 무녀가 굿을 할 때 [장단](/topic/장단)을 도와주는 일이나 무가(巫歌)의 선율(旋律)을 받아서 대선율(對旋律)로 응답하는 일.
  • 바라춤
    685 2023.02.27
    세존굿에 추는 춤
  • 바리공주
    714 2023.02.27
    한국의 망자천도굿인 서울 지역 진오기굿의 말미거리, 호남 지역 씻김굿의 오구풀이거리, 동해안 지역 오구굿 발원굿에서 [구연](/topic/구연)되는 장편서사무가. 지역에 따라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 비리데기라고도 부른다. 원래는 서사무가의 주인공 이름이지만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서사무가 각 편의 대표적인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 바위치성
    569 2023.02.27
    바위를 신격으로 삼아 주로 자식 등을 기원하는 의례.
  • 박꽃
    731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이나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제단에 올려놓는 박꽃 모양의 지화.
  • 박수
    628 2023.02.27
    남자 무당을 일컫는 말.
  • 반기
    617 2023.02.27
    제사나 잔치를 마치고 나서 목판에 몫몫이 담아 이웃이나 친척들에게 나누어주는 음식. 동제를 마친 뒤에도 동제의 [제물](/topic/제물)을 집집마다 나누어 주거나 나누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