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7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내창[마을](/topic/마을)에서 행해지는 마을 제의. 마을 당산에서 지내는 ‘산제’와 마을 어귀 정자나무에서 지내는 ‘길산제’를 통칭하는 명칭.
  • 무천
    596 2023.02.27
    동예(東濊)에서 매년 10월 거행한 제천의례.
  • 묵은진오기굿
    690 2023.02.27
    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인 진오기굿의 한 종류. 망자가 죽은 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으로, 대개 [탈상](/topic/탈상) 이후에 행하는 진오기굿을 ‘묵은진오기굿’이라고 부른다.
  • 문간제
    596 2023.02.27
    문을 지키는 문신(門神)에게 행해지는 제의.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성저리 성밑[마을](/topic/마을) 모산굴(茅山窟, 경상북도 기념물 제27호)에서 왜적에게 몰살당한 주민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행하는 동제.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소야리에서 매년 정월 초닷새에서 대보름 사이에 산신(호랑이), [천신](/topic/천신)(天神), 성황신(최윤덕 [장군](/topic/장군))에게 [마을](/topic/마을) 주민의 평안과 풍농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
  • 문굿무가
    724 2023.02.27
    망자의 혼을 천도해 주는 함경도의 망묵굿에서 불리던 무가. 치원대 양산복 무가라고도 한다. 망자의 영혼이 저승으로 편안하게 갈 수 있도록 저승길을 닦아주는 성격을 띤다. 특히 젊어서 죽은 자를 위하는 경우에만 불린다는 견해도 있다. 이 무가는 인물 설정 및 전반적인 내용 등으로 보아 중국 명청대의 강창문학(講唱文學)인 , 고소설인 등의 영향을 받아 무가로 생성시킨 독특한 서사무가 사례이다.
  • 문신
    724 2023.02.27
    [대문](/topic/대문)에 존재하는 신. 대문으로 들락거릴 수 있는 잡귀나 부정 등 액살(厄煞)을 막아주거나 복을 들여오는 구실을 한다. 문간신, 문전신, 수문신, 문[장군](/topic/장군), 문간대감 등으로도 불린다.
  • 문전본풀이
    751 2023.02.27
    제주도 무속에서 구송되는 것으로, 집안의 여러 공간, 즉 올레주목정쌀과 동서남북중앙 및 앞문, 뒷문, 그리고 조왕 및 측간을 지키는 신들에 관한 본풀이. 전형적인 [계모담](/topic/계모담)이다. 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 제차명(祭次名)이라기보다는 문전신에 관한 본풀이, 즉 신화라 할 수 있다. 는 큰굿의 일부로도 행해지고 있지만 집을 새로 짓거나 혹은 증축했을 때 행하는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와 같은 굿에서 구송되고 정초에 문전비념 같은 것을 할 때도 구송되고 있다.
  • 문전제
    662 2023.02.27
    집안의 수호신인 문전신을 위한 제의.
  • 문전제
    706 2023.02.27
    제주도 지역에서 새해를 맞아 ‘문전신(門前神)’에게 집안의 무사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신년제.
  • 문전철갈이
    723 2023.02.27
    절기가 바뀌는 시절에 한 해 동안 집안의 행운을 비는 의례. 그냥 ‘[철[갈이](/topic/갈이)](/topic/철갈이)’라고도 하고 달리 ‘벨롱겡이’라고도 한다. 의례가 복합되는 양상에 따라 ‘멩감’, ‘[안택](/topic/안택)’ 등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 문전철갈이
    667 2023.02.27
    제주도지역의 각 가정에서 음력 정월 초순에 집안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한 해의 액운을 막고 복을 비는 의례.
  • 물대
    778 2023.02.27
    음력 이월에 영등할머니를 모시는 바[가지](/topic/가지)를 받칠 수 있도록 대나무의 한쪽 끝을 깔때기 모양으로 만든 기구.
  • 물부리굿
    793 2023.02.27
    조선시대에 지냈던 기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