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1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만구대택굿
    735 2023.02.27
    황해도 지역에서 무당자신이나 부자집의 노인들을 위해서 하는 가장 큰굿으로, 노인들의 무병장수와 사후 내세의 극락천도를 기원하는 굿.
  • 소슬굿
    735 2023.02.27
    [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고 한 해가 지난 후, 무당으로서 이름 석 자를 떨치고 크게 솟아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는 굿.
  • 심방백중제
    735 2023.02.27
    백중을 맞이하여 심방들이 [단골](/topic/단골)들로부터 곡식을 받아 올리는 제의. 심방이 백중에 벌이는 제의라는 뜻에서 비롯됐다.
  • 신칼
    734 2023.02.27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무구.
  • 대전의 앉은굿
    733 2023.02.27
    대전광역시에서 [법사](/topic/법사)들에 의해 전승되는 [독경](/topic/독경) 형태의 굿. 이 굿은 1994년 6월 7일 에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 살맥이
    732 2023.02.27
    전라도 일대의 굿에서 작은 굿으로 하는 것으로, 특정한 굿 의뢰자의 살을 풀기 위해 하는 굿. 진도 지역에서는 이를 ‘살맥이손등’으로 부르고, 순천 지역에서는 ‘살맥이굿’이라고 한다.
  • 도깨비제
    731 2023.02.27
    화재(火災)나 돌림병의 원인을 도깨비로 여기고 이를 물리치기 위해 지내는 동제. 어촌에서는 도깨비가 고기를 많이 잡게 해 주는 풍어신적 존재로 인식되어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제의 방식에 따라 [도깨비굿](/topic/도깨비굿) 또는 [도깨비고사](/topic/도깨비고사)라고도 일컫는다.
  • 박꽃
    730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이나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제단에 올려놓는 박꽃 모양의 지화.
  • 단오고사
    730 2023.02.27
    단옷날에 건강과 풍요와 제액(除厄)을 기원하며 올리는 가정의례.
  • 비보
    730 2023.02.27
    사람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보완하여 실한 곳으로 바꾸려고 하는 방법. 대개 지기(地氣)가 허한 곳을 실하게 채우기 위하여 사용한다.
  • 대상
    729 2023.02.27
    서울굿에서 [관성제군](/topic/관성제군)과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을 위해 차리는 굿상 가운데 하나.
  • 농신제
    729 2023.02.27
    음력 4월부터 못자리를 내거나 [모내기](/topic/모내기)를 한 뒤와 유두ㆍ삼복ㆍ칠석을 전후하여 [농업](/topic/농업)용 물의 안정적인 공급, 각종 병충해를 비롯해 새나 [동물](/topic/동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여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떡 등 여러 제수(祭需)를 준비하여 주로 논이나 밭에서 농사를 관장하는 신령을 위해 지내는 제사.
  • 넋들임
    728 2023.02.27
    사람이 사고를 당하거나 깜짝 놀랐을 때 넋이 나갔다고 판단하고 빠져나간 넋을 찾아 원래의 신체에 다시 들여 넣어 치료하는 제주도지역의 치병의례.
  • 입향시조
    728 2023.02.27
    [마을](/topic/마을)에 처음으로 들어와 터를 잡고 정착한 사람 또는 그 사람의 조상. 한 지역이나 마을과 구체적인 관계가 있는 인격신으로 관념되어 마을신앙에서 신격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볏가릿대
    728 2023.02.27
    농촌에서 풍년을 바라는 마음으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짚이나 [한지](/topic/한지), 헝겊 등으로 쌀을 싸거나 혹은 쌀·[보리](/topic/보리)·조·콩·팥 등 갖[가지](/topic/가지) 곡식을 한데 싸서 장대에 매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