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루

한국무속신앙사전
시루
증기를 이용하여 [곡물](/topic/곡물)을 찌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 쌀이나 잡곡 등을 가루 내어 떡을 찌는 조리 용구이며, 증기가 곡물에 닿기 쉽도록 바닥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기도 한다. 이는 시루가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였음을 보여준다.
definition
증기를 이용하여 [곡물](/topic/곡물)을 찌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 쌀이나 잡곡 등을 가루 내어 떡을 찌는 조리 용구이며, 증기가 곡물에 닿기 쉽도록 바닥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기도 한다. 이는 시루가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였음을 보여준다.
mp3Cnt
0
wkorname
장상교
정의증기를 이용하여 [곡물](/topic/곡물)을 찌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 쌀이나 잡곡 등을 가루 내어 떡을 찌는 조리 용구이며, 증기가 곡물에 닿기 쉽도록 바닥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기도 한다. 이는 시루가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였음을 보여준다.
정의증기를 이용하여 [곡물](/topic/곡물)을 찌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 쌀이나 잡곡 등을 가루 내어 떡을 찌는 조리 용구이며, 증기가 곡물에 닿기 쉽도록 바닥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신에게 치성을 드릴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기도 한다. 이는 시루가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였음을 보여준다.
Siru hace referencia a una olla vaporera de barro que se utiliza tanto para cocinar granos como para servir como un instrumento en los rituales.

La cazuela vaporera de barro fue utilizada por primera vez en la península coreana a finales de la Edad de Bronce, principalmente en las regiones norteñas. En el Período de Tres Reinos (57 a.C. – 676 d.C.), el uso de este utensilio se encontró repartido de forma equivalente entre todas las partes de la península. La siru tradicional comprende un par de asas, cuerpo principal, fondo y orificios. La olla vaporera no se puede colocar directamente sobre el fuego, y debe tener una pieza, como pote llamado sirusot para calentar el agua.

La siru es utilizada generalmente para preparar el pastel de arroz llamado tteok, hecho con granos cocidos al vapor que han sido molidos en polvo. En tiempos prehistóricos, el tteok era el alimento principal que aportaba carbohidratos en la gastronomía coreana, pero a principios del Período de Tres Reinos, eso fue reemplazado por granos cocidos al vapor, asimismo con el desarrollo de los rituales formales, el pastel de arroz llegó a servir como ofrenda sacrificial a la mesa ritual o alimento preparado para celebrar ocasiones especiales. En otras palabras, el tteok ha sido siempre parte de la comida sacrificial que se ofrece sobre la mesa para los rituales de adoración a las deidades y los cultos a los antepasados.Además de ello, el pastel hecho a base de arroz sirve para ahuyentar los malos espíritus o para celebrar los cambios estacionales con lo cual la siru ha tenido un significado como un accesorio que se utiliza en los rituales.

La vaporera de barro aparece también en los rituales chamánicos. [[Sirumal](/topic/NarrativaDeOllaVaporeraDeBarro)](/topic/Sirumal) es una canción sobre la creación del Universo, cantada en frente de la siru como parte del ritual aldeano llamado dodanggut que tiene lugar en la provincia de Gyeonggi-do en general. La olla vaporera aparece también como parte de ofrendas al dios de los funcionarios estatales [[Daegam](/topic/Dios,FuncionariodelEstado)](/topic/Daegam)sin, en los rituales chamánicos que se llevan a cabo en las áreas de Seúl y la provincia de Gyeonggi-do. En este caso, se prepara generalmente el sirutteok, un tipo de pastel de arroz que consiste en varias capas con polvo de frijoles rojos. En otras palabras, la siru no es un utensilio de cocina que se utiliza a diario, pero es un instrumento importante para preparar y servir ofrendas sacrificiales para los rituales especiales, es un utensilio sagrado que tiene un significado simbólico.
Siru is an earthenware steamer that is used for cooking grains and also as a prop in folk rituals.

The earthenware steamer was first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te Bronze Age, mainly in the northern regions. By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76), its use had spread evenly to all parts of the peninsula.

The traditional steamer comprises handles, main body, bottom and hole. It cannot be placed directly over fire and requires a separate pot for heating up water. The steamer is generally used for making tteok, or rice cake, made by steaming grains that have been ground into powder. In pre-historic times, rice cake was the main carbohydrate dish in a Korean meal, but starting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was replaced by steamed grain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formal rituals, tteok came to serve as ritual offerings or as food for special occasions. [Rice](/topic/Rice) cake, in other words, has long been a part of the offerings table at worship rituals and ancestral memorial services, and also food for chasing away bad spirits or for celebrating seasonal change, and along with this change in function the earthenware steamer has taken on significance as a ritual prop.

Siru is also used in shamanic rituals. “[[Sirumal](/topic/EarthenwareSteamerNarrative)](/topic/Sirumal)” is a song about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performed in front of an earthenware steamer as part of the village ritual dodanggut in Gyeonggi Province. The steamer is also featured as part of the offering table for [[Daegam](/topic/StateOfficialGod)](/topic/Daegam)sin (State Official God) in shamanic rituals performed in the Seoul area and Gyeonggi Province, usually for serving sirutteok, made of thin layers of cake with red bean filling.

Siru, in other words, is not an everyday kitchen utensil but one for preparing and serving sacrificial offerings for special rituals, a sacred utensil that carries symbolic significance.
利用蒸汽蒸熟[谷物](/topic/谷物)的烹饪用具,亦为仪礼用具。

甑子从青铜后期正式出现在朝鲜半岛,主要见于北部地区。三国时期,甑子普及至整个朝鲜半岛,遍布于所有地区。甑子由把手,甑身,甑底及笼眼组成。由于自身无法直接加热,需与可烧水的其他烹饪用具同时使用,相应的容器被称为甑锅。

甑子多用于蒸[米糕](/topic/米糕),先史时期的主食是将粗粮磨成粉末蒸出的米糕,三国时期后的主食则为粗粮入锅煮熟的饭。米饭成为主食后,随着仪礼文化的发展,米糕的用途也逐渐变为特别食物和仪礼食物。甑子中蒸出的米糕曾在漫长的岁月中被作为仪礼食品。米糕的用途极为广泛,例如人向神祈愿的[告祀](/topic/告祀)食物,供奉去世[祖先](/topic/祖先)的祭祀食物,应季食物以及防止杂鬼接近的辟邪食物等。在米糕成为重要的仪礼食物后,甑子也被视为重要的仪礼用具。

在巫俗的仪礼中也会使用甑子。京畿道都堂[巫祭](/topic/巫祭)中的《甑子[本解](/topic/本解)》作为包含创世神话内容的巫歌,因将甑子摆放在前方举行巫术而得名。首尔和京畿道的巫俗祭中出现的神灵——[大监](/topic/大监)神的祭品中也有甑子。此时,专门供奉大监神的大监甑子里的一般为红豆甑糕。甑子并非每天使用,而是在准备特别仪礼食物时使用的烹饪用具,亦为仪礼用具。举行巫术时会蒸上米糕并连同甑子一同供奉,这种做法也是由于甑子具有神圣器皿的象征性。
Siru hace referencia a una olla vaporera de barro que se utiliza tanto para cocinar granos como para servir como un instrumento en los rituales.

La cazuela vaporera de barro fue utilizada por primera vez en la península coreana a finales de la Edad de Bronce, principalmente en las regiones norteñas. En el Período de Tres Reinos (57 a.C. – 676 d.C.), el uso de este utensilio se encontró repartido de forma equivalente entre todas las partes de la península. La siru tradicional comprende un par de asas, cuerpo principal, fondo y orificios. La olla vaporera no se puede colocar directamente sobre el fuego, y debe tener una pieza, como pote llamado sirusot para calentar el agua.

La siru es utilizada generalmente para preparar el pastel de arroz llamado tteok, hecho con granos cocidos al vapor que han sido molidos en polvo. En tiempos prehistóricos, el tteok era el alimento principal que aportaba carbohidratos en la gastronomía coreana, pero a principios del Período de Tres Reinos, eso fue reemplazado por granos cocidos al vapor, asimismo con el desarrollo de los rituales formales, el pastel de arroz llegó a servir como ofrenda sacrificial a la mesa ritual o alimento preparado para celebrar ocasiones especiales. En otras palabras, el tteok ha sido siempre parte de la comida sacrificial que se ofrece sobre la mesa para los rituales de adoración a las deidades y los cultos a los antepasados.Además de ello, el pastel hecho a base de arroz sirve para ahuyentar los malos espíritus o para celebrar los cambios estacionales con lo cual la siru ha tenido un significado como un accesorio que se utiliza en los rituales.

La vaporera de barro aparece también en los rituales chamánicos. [[Sirumal](/topic/NarrativaDeOllaVaporeraDeBarro)](/topic/Sirumal) es una canción sobre la creación del Universo, cantada en frente de la siru como parte del ritual aldeano llamado dodanggut que tiene lugar en la provincia de Gyeonggi-do en general. La olla vaporera aparece también como parte de ofrendas al dios de los funcionarios estatales [[Daegam](/topic/Dios,FuncionariodelEstado)](/topic/Daegam)sin, en los rituales chamánicos que se llevan a cabo en las áreas de Seúl y la provincia de Gyeonggi-do. En este caso, se prepara generalmente el sirutteok, un tipo de pastel de arroz que consiste en varias capas con polvo de frijoles rojos. En otras palabras, la siru no es un utensilio de cocina que se utiliza a diario, pero es un instrumento importante para preparar y servir ofrendas sacrificiales para los rituales especiales, es un utensilio sagrado que tiene un significado simbólico.
Siru is an earthenware steamer that is used for cooking grains and also as a prop in folk rituals.

The earthenware steamer was first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te Bronze Age, mainly in the northern regions. By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76), its use had spread evenly to all parts of the peninsula.

The traditional steamer comprises handles, main body, bottom and hole. It cannot be placed directly over fire and requires a separate pot for heating up water. The steamer is generally used for making tteok, or rice cake, made by steaming grains that have been ground into powder. In pre-historic times, rice cake was the main carbohydrate dish in a Korean meal, but starting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was replaced by steamed grain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formal rituals, tteok came to serve as ritual offerings or as food for special occasions. [Rice](/topic/Rice) cake, in other words, has long been a part of the offerings table at worship rituals and ancestral memorial services, and also food for chasing away bad spirits or for celebrating seasonal change, and along with this change in function the earthenware steamer has taken on significance as a ritual prop.

Siru is also used in shamanic rituals. “[[Sirumal](/topic/EarthenwareSteamerNarrative)](/topic/Sirumal)” is a song about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performed in front of an earthenware steamer as part of the village ritual dodanggut in Gyeonggi Province. The steamer is also featured as part of the offering table for [[Daegam](/topic/StateOfficialGod)](/topic/Daegam)sin (State Official God) in shamanic rituals performed in the Seoul area and Gyeonggi Province, usually for serving sirutteok, made of thin layers of cake with red bean filling.

Siru, in other words, is not an everyday kitchen utensil but one for preparing and serving sacrificial offerings for special rituals, a sacred utensil that carries symbolic significance.
利用蒸汽蒸熟[谷物](/topic/谷物)的烹饪用具,亦为仪礼用具。

甑子从青铜后期正式出现在朝鲜半岛,主要见于北部地区。三国时期,甑子普及至整个朝鲜半岛,遍布于所有地区。甑子由把手,甑身,甑底及笼眼组成。由于自身无法直接加热,需与可烧水的其他烹饪用具同时使用,相应的容器被称为甑锅。

甑子多用于蒸[米糕](/topic/米糕),先史时期的主食是将粗粮磨成粉末蒸出的米糕,三国时期后的主食则为粗粮入锅煮熟的饭。米饭成为主食后,随着仪礼文化的发展,米糕的用途也逐渐变为特别食物和仪礼食物。甑子中蒸出的米糕曾在漫长的岁月中被作为仪礼食品。米糕的用途极为广泛,例如人向神祈愿的[告祀](/topic/告祀)食物,供奉去世[祖先](/topic/祖先)的祭祀食物,应季食物以及防止杂鬼接近的辟邪食物等。在米糕成为重要的仪礼食物后,甑子也被视为重要的仪礼用具。

在巫俗的仪礼中也会使用甑子。京畿道都堂[巫祭](/topic/巫祭)中的《甑子[本解](/topic/本解)》作为包含创世神话内容的巫歌,因将甑子摆放在前方举行巫术而得名。首尔和京畿道的巫俗祭中出现的神灵——[大监](/topic/大监)神的祭品中也有甑子。此时,专门供奉大监神的大监甑子里的一般为红豆甑糕。甑子并非每天使用,而是在准备特别仪礼食物时使用的烹饪用具,亦为仪礼用具。举行巫术时会蒸上米糕并连同甑子一同供奉,这种做法也是由于甑子具有神圣器皿的象征性。
내용시루는 떡을 찌고 솥은 밥을 짓는 용구이다. 선사시대에서 잡곡을 가루 내어 시루에 찌는 형태인 떡이 주식이었다면 삼국시대 이후에는 잡곡을 솥에 넣어 익히는 형태인 밥이 주식이었다. 주식이 밥으로 정착되면서 의례문화의 발달과 함께 떡은 일상식에서 비일상식인 별식 또는 의례 음식으로 용도가 변화하였다. [시루떡](/topic/시루떡)은 오랜 세월 동안 의례 음식으로 활용되었다. 신에게 인간의 소망이나 기원을 바라는 [고사](/topic/고사)음식, 돌아가신 조상을 모시는 제사음식, 세시에 따른 계절음식으로, 잡귀의 접근을 막아주는 벽사음식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 민족의 풍속에 ‘[칠석고사](/topic/칠석고사)’와 ‘[상달고사](/topic/상달고사)’가 있다. 칠석고사는 음력 칠월 초이렛날 [조상신](/topic/조상신)을 비롯한 집안의 여러 신에게 행하는 의례이다. 지역에 따라서 [칠성제](/topic/칠성제) 또는 [칠석제](/topic/칠석제)라고도 한다. 충북 괴산지역에서는 집 안에 상을 준비하여 흰 종이를 깔고 백설기 한 시루, 청수 한 그릇, [통북어](/topic/통북어) 한 마리를 놓고 칠성제를 지낸다. 충남 공주지역에서는 초엿샛날 저녁에 시루를 마련하여 메, 미역국, 청수를 함께 [장독대](/topic/장독대)에 올려 사방에 절을 한 뒤 칠성소지를 올린다. 상달고사는 음력 시월에 행하는 의례이다. 이때 붉은 팥 시루떡을 쪄서 성주를 비롯한 집안의 여러 신에게 올린다. 이때 이용되는 시루떡은 시루째로 [대문](/topic/대문)이나 장독대 등에 놓는다. 이를 ‘치성시루’라고 한다. 이러한 고사에는 가내의 평안함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혼례를 올리는 과정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함을 보내는 절차가 있다. 이때 신부집에서 의례 음식으로 봉치떡을 준비한다. 봉치떡은 찹쌀가루와 붉은 팥을 이용하여 만든다. 붉은 팥에는 액을 피하고 잡귀의 접근을 막아내는 뜻이 담겨 있다. 이때 붉은 팥과 같은 의미에서 붉은 오지시루를 사용한다. 이것을 ‘[봉치시루](/topic/봉치시루)’라고 한다.

무속의 신에게 올리는 제물에도 시루떡이 등장한다. 경기도 도당굿에 행해지는 굿절차 가운데 ‘[시루말](/topic/시루말)’이 있다. 시루말은 창세신화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경기도의 유일한 무가로서, 시루를 앞에 놓고 굿을 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서울과 경기도의 무속굿에 등장하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리는 제물에도 시루가 등장한다. 이때 대감신의 몫으로 차리는 [대감시루](/topic/대감시루)의 떡은 대개 팥 시루떡이다. 굿에 따라서는 다양한 대감신이 모셔지며 대감신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시루를 장만한다.

시루는 매일 상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의례 음식을 준비하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이다. 떡은 주식인 밥과 달리 비일상적인 의례 음식으로서 술과 함께 신에게 올리는 가장 중요한 제물로 인식된다. 이런 이유로 굿을 할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떡을 시루째 올리는 것은 시루가 신성한 그릇이라는 상징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한국민속대관 2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0)
한반도 선사시대 출토 곡류와 농구 (지건길․안승모, 한국의 [농경문화](/topic/농경문화) 특집, 경기대학출판부, 198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주거지출토 토기의 기능에 관한 시론 (김건수, 호남고고학보 5, 호남고고학회, 1997)
우리나라 시루의 고고학적 연구 (오후배,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시루의 형태와 이용양상 (장상교, 생활문물연구 9, 국립민속박물관, 2003)
한국세시풍속사전-가을 (국립민속박물관, 2006)
한국민속신앙사전-무속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09)
내용시루는 떡을 찌고 솥은 밥을 짓는 용구이다. 선사시대에서 잡곡을 가루 내어 시루에 찌는 형태인 떡이 주식이었다면 삼국시대 이후에는 잡곡을 솥에 넣어 익히는 형태인 밥이 주식이었다. 주식이 밥으로 정착되면서 의례문화의 발달과 함께 떡은 일상식에서 비일상식인 별식 또는 의례 음식으로 용도가 변화하였다. [시루떡](/topic/시루떡)은 오랜 세월 동안 의례 음식으로 활용되었다. 신에게 인간의 소망이나 기원을 바라는 [고사](/topic/고사)음식, 돌아가신 조상을 모시는 제사음식, 세시에 따른 계절음식으로, 잡귀의 접근을 막아주는 벽사음식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 민족의 풍속에 ‘[칠석고사](/topic/칠석고사)’와 ‘[상달고사](/topic/상달고사)’가 있다. 칠석고사는 음력 칠월 초이렛날 [조상신](/topic/조상신)을 비롯한 집안의 여러 신에게 행하는 의례이다. 지역에 따라서 [칠성제](/topic/칠성제) 또는 [칠석제](/topic/칠석제)라고도 한다. 충북 괴산지역에서는 집 안에 상을 준비하여 흰 종이를 깔고 백설기 한 시루, 청수 한 그릇, [통북어](/topic/통북어) 한 마리를 놓고 칠성제를 지낸다. 충남 공주지역에서는 초엿샛날 저녁에 시루를 마련하여 메, 미역국, 청수를 함께 [장독대](/topic/장독대)에 올려 사방에 절을 한 뒤 칠성소지를 올린다. 상달고사는 음력 시월에 행하는 의례이다. 이때 붉은 팥 시루떡을 쪄서 성주를 비롯한 집안의 여러 신에게 올린다. 이때 이용되는 시루떡은 시루째로 [대문](/topic/대문)이나 장독대 등에 놓는다. 이를 ‘치성시루’라고 한다. 이러한 고사에는 가내의 평안함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혼례를 올리는 과정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함을 보내는 절차가 있다. 이때 신부집에서 의례 음식으로 봉치떡을 준비한다. 봉치떡은 찹쌀가루와 붉은 팥을 이용하여 만든다. 붉은 팥에는 액을 피하고 잡귀의 접근을 막아내는 뜻이 담겨 있다. 이때 붉은 팥과 같은 의미에서 붉은 오지시루를 사용한다. 이것을 ‘[봉치시루](/topic/봉치시루)’라고 한다.

무속의 신에게 올리는 제물에도 시루떡이 등장한다. 경기도 도당굿에 행해지는 굿절차 가운데 ‘[시루말](/topic/시루말)’이 있다. 시루말은 창세신화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경기도의 유일한 무가로서, 시루를 앞에 놓고 굿을 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서울과 경기도의 무속굿에 등장하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리는 제물에도 시루가 등장한다. 이때 대감신의 몫으로 차리는 [대감시루](/topic/대감시루)의 떡은 대개 팥 시루떡이다. 굿에 따라서는 다양한 대감신이 모셔지며 대감신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시루를 장만한다.

시루는 매일 상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의례 음식을 준비하는 조리 용구이자 의례 용구이다. 떡은 주식인 밥과 달리 비일상적인 의례 음식으로서 술과 함께 신에게 올리는 가장 중요한 제물로 인식된다. 이런 이유로 굿을 할 때는 떡을 쪄서 시루째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떡을 시루째 올리는 것은 시루가 신성한 그릇이라는 상징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한국민속대관 2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0)
한반도 선사시대 출토 곡류와 농구 (지건길․안승모, 한국의 [농경문화](/topic/농경문화) 특집, 경기대학출판부, 198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주거지출토 토기의 기능에 관한 시론 (김건수, 호남고고학보 5, 호남고고학회, 1997)
우리나라 시루의 고고학적 연구 (오후배,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시루의 형태와 이용양상 (장상교, 생활문물연구 9, 국립민속박물관, 2003)
한국세시풍속사전-가을 (국립민속박물관, 2006)
한국민속신앙사전-무속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09)
역사우리 민족의 식생활은 [농경문화](/topic/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다. 대부분의 음식물이 농경을 통해 획득되고, 이와 함께 조리 용구도 자연스럽게 개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곡물](/topic/곡물)을 가루 내어 찌는 시루 또한 예외가 아니며, 농경생활과 더불어 시루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보면 시루는 청동기시대 후기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출현한다.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추정되는 나진 초도 패총과 기원전 5세기쯤 초기 철기시대 유적으로 알려진 북창군 대평리 유적에서 시루가 출토됐다. 청동기시대 시루는 한반도 북부지역에 편중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삼국시대 시루는 한반도 전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적지로 북부지역에는 낙랑, 북창 대평리, 시중 노남리 등이 있다. 중부지역에는 포천 영송리, 파주 주월리, 가평 마장리 등이 있다. 남부지역으로는 완주 반교리, 전주 여의동, 남원 세전리, 군산 남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삼국시대 이후 시루가 한반도 전역에서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역사우리 민족의 식생활은 [농경문화](/topic/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다. 대부분의 음식물이 농경을 통해 획득되고, 이와 함께 조리 용구도 자연스럽게 개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곡물](/topic/곡물)을 가루 내어 찌는 시루 또한 예외가 아니며, 농경생활과 더불어 시루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보면 시루는 청동기시대 후기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출현한다.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추정되는 나진 초도 패총과 기원전 5세기쯤 초기 철기시대 유적으로 알려진 북창군 대평리 유적에서 시루가 출토됐다. 청동기시대 시루는 한반도 북부지역에 편중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삼국시대 시루는 한반도 전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적지로 북부지역에는 낙랑, 북창 대평리, 시중 노남리 등이 있다. 중부지역에는 포천 영송리, 파주 주월리, 가평 마장리 등이 있다. 남부지역으로는 완주 반교리, 전주 여의동, 남원 세전리, 군산 남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삼국시대 이후 시루가 한반도 전역에서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형태시루는 손잡이, 몸체, 바닥, 구멍으로 구성된다. 직접 열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조리 용구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즉 물을 끓일 수 있는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다. 이것을 ‘시루솥’이라고 한다.

선사시대 시루는 평편한 바닥에 몸체로 올라가다가 발라지며, 입술 주위에서 점차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뻗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높이에 비해 입지름이 그리 넓지 않고 내부가 깊은 특징을 보인다. 손잡이는 쇠뿔 모양으로 몸체 윗부분 양쪽에 부착되어 있다. 바닥의 구멍은 원형만 취하는 형태, 원형․선형․타원형․삼각형․다각형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형태 등이 있다. 바닥의 구멍이 원형인 것은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바닥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찔러서 뚫은 것으로, 구멍의 배치가 매우 조밀하고 불규칙하다. 복합형인 것은 바닥면 가운데에 상대적으로 큰 원형을 두고 그 주위로 선형․타원형 등 구멍을 냈다.

삼국시대 시루는 선사시대 시루의 외형적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도 하고, 시루의 바닥에서 입술로 이어지는 몸체가 구형이나 원형을 이루고 입술 아래에 짧은 목이 있거나 생략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시루는 바닥이 반구형의 뾰족한 형태이다. 바닥면 중앙에 서너 개의 직사각형 구멍과 함께 그 주위로 직사각형 구멍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는 반고리형이다. 몸체와 손잡이 사이에 손을 넣어 잡을 수 있게 하였다.

고려시대 이후에 나타나는 시루는 입지름이 넓은 동이 형태를 취하고 있다. 손잡이는 삼국시대의 시루와 같이 반고리이다. 바닥의 구멍은 이전 시기의 시루보다 큰 원형이거나 큰 원형을 두고 주변에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을 배치한 형태이다.

시루 형태를 살펴보면, 몸체는 원형 또는 구형에서 동이형, 손잡이는 쇠뿔형에서 반고리형, 바닥의 구멍은 미세한 원형이나 복합형에서 상대적으로 큰 원형의 일정한 배치구도로 각각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형태시루는 손잡이, 몸체, 바닥, 구멍으로 구성된다. 직접 열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조리 용구와 결합하여 사용된다. 즉 물을 끓일 수 있는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다. 이것을 ‘시루솥’이라고 한다.

선사시대 시루는 평편한 바닥에 몸체로 올라가다가 발라지며, 입술 주위에서 점차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뻗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높이에 비해 입지름이 그리 넓지 않고 내부가 깊은 특징을 보인다. 손잡이는 쇠뿔 모양으로 몸체 윗부분 양쪽에 부착되어 있다. 바닥의 구멍은 원형만 취하는 형태, 원형․선형․타원형․삼각형․다각형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형태 등이 있다. 바닥의 구멍이 원형인 것은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바닥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찔러서 뚫은 것으로, 구멍의 배치가 매우 조밀하고 불규칙하다. 복합형인 것은 바닥면 가운데에 상대적으로 큰 원형을 두고 그 주위로 선형․타원형 등 구멍을 냈다.

삼국시대 시루는 선사시대 시루의 외형적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도 하고, 시루의 바닥에서 입술로 이어지는 몸체가 구형이나 원형을 이루고 입술 아래에 짧은 목이 있거나 생략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시루는 바닥이 반구형의 뾰족한 형태이다. 바닥면 중앙에 서너 개의 직사각형 구멍과 함께 그 주위로 직사각형 구멍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는 반고리형이다. 몸체와 손잡이 사이에 손을 넣어 잡을 수 있게 하였다.

고려시대 이후에 나타나는 시루는 입지름이 넓은 동이 형태를 취하고 있다. 손잡이는 삼국시대의 시루와 같이 반고리이다. 바닥의 구멍은 이전 시기의 시루보다 큰 원형이거나 큰 원형을 두고 주변에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을 배치한 형태이다.

시루 형태를 살펴보면, 몸체는 원형 또는 구형에서 동이형, 손잡이는 쇠뿔형에서 반고리형, 바닥의 구멍은 미세한 원형이나 복합형에서 상대적으로 큰 원형의 일정한 배치구도로 각각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일호각한국전통복식사연구고복남1986
대원사팔도굿황루시1992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복식1995
국립민속박물관큰무당 우옥주 유품1995
미술문화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1999
경춘사한국의 복식문화백영자·최해율2000
미술문화우리옷 이천년유희경외2001
도서출판 民俗苑한국의 굿하효길 외2002
화산문화동해안 별신굿, 화산문화박경신·장휘주2002
국립민속박물관사진으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12003
원삼국시대 시루
13612
원삼국시대 시루
옹기시루와 양은시루
13613
옹기시루와 양은시루
약시루
13611
약시루
다두테기시리
13610
다두테기시리
시루바닥
13609
시루바닥
원삼국시대 시루
13612
원삼국시대 시루
옹기시루와 양은시루
13613
옹기시루와 양은시루
약시루
13611
약시루
다두테기시리
13610
다두테기시리
시루바닥
13609
시루바닥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