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속신앙사전
나무를 불완전 연소시켜 얻게 되는 다공성 탄화물질. 주로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하며, 사기(邪氣)를 막는 힘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물질에 대한 강한 흡착력과 정화력이 있어 약으로도 사용한다.
definition
나무를 불완전 연소시켜 얻게 되는 다공성 탄화물질. 주로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하며, 사기(邪氣)를 막는 힘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물질에 대한 강한 흡착력과 정화력이 있어 약으로도 사용한다.
mp3Cnt
0
wkorname
김창호
정의나무를 불완전 연소시켜 얻게 되는 다공성 탄화물질. 주로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하며, 사기(邪氣)를 막는 힘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물질에 대한 강한 흡착력과 정화력이 있어 약으로도 사용한다.
정의나무를 불완전 연소시켜 얻게 되는 다공성 탄화물질. 주로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하며, 사기(邪氣)를 막는 힘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물질에 대한 강한 흡착력과 정화력이 있어 약으로도 사용한다.
내용숯은 기본적으로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하지만 연소할 때 연기가 나지 않아 방 안에서 [화로](/topic/화로)에 담아 난방용으로 사용하기에도 좋다. 또한 다공성 탄화조직으로 외부의 이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있어 [우물](/topic/우물)을 파거나 장을 담글 때 함께 넣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강한 제습기능이 있어 전통 건축물 내부나 [기단](/topic/기단)을 다질 때 숯을 섞어 습한 기운을 막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숯은 죽은 사람을 [매장](/topic/매장)하여 분(墳)을 조성할 때도 사용되었다. 중국 명나라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죽은 사람을 매장할 때 벌레가 들어가거나 나무뿌리가 무덤 속으로 파고드는 것을 막기 위해 숯을 사용한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주자가례(朱子家禮)』 권4 「상례(喪禮)」에는 “숯은 땅으로 들어가도 천 년 동안 변치 않으며(炭入地千年不變) …… 숯은 나무뿌리를 막으며 물과 개미를 피하게 한다(炭禦木根 辟水蟻).”고 기록되어 있다.

숯은 전통적으로 재액(災厄)과 사기를 막는 물건이었다. 한 집안에 새로운 식구가 태어나면 왼새끼에 숯을 꽂아 부정한 사람과 액이 함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았고, 새로이 장을 담가 항아리에서 숙성할 때도 [금줄](/topic/금줄)과 함께 숯을 사용하였다. [부엌](/topic/부엌)에 모신 조왕신에게 [고사](/topic/고사)를 지낼 때도 제물과 함께 숯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설날 이전에 어른에게 귀한 음식이나 물건을 보내는 풍속인 [세찬](/topic/세찬)(歲饌)은 주로 귀한 음식물과 [담배](/topic/담배), 옷감 등이 주종이었지만 숯도 그 항목에 포함되었다. 이것을 보면 숯은 실생활에 매우 요긴한 물건이거니와 잘 구워진 숯은 매우 귀한 물건으로도 대접받았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 와서 숯은 그 기능이 과학으로 입증되면서 여러 용도로 가공․활용되고 있다. 숯을 주재료로 한 탈취제나 활성탄 등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참고문헌한국세시풍속대[사전](/topic/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2~2006)
本草綱目, 朱子家禮, 조왕의 성격과 전승양상 (최숙경, 지방사와 지방문화 12, 역사문화학회, 2009)
木材经过不完全燃烧所得的多孔碳化物,在民俗信仰中被认为有辟邪之力的东西。

“木炭”自古以来就是防灾厄和邪气之物。家中有新生命出生时,人们会在反搓草绳上插上木炭,以防止[不净](/topic/不净)之人和厄运。当新酿大酱在坛中发酵时,木炭也与[禁绳](/topic/禁绳)同时被使用。在进行灶王神祭祀时,也会将木炭作为祭品供奉。

此外,木炭具有极强的除湿功能,因此在传统建筑物内部或建造地基时,会混入木炭以防湿气。木炭还用于修造坟墓。在[埋葬](/topic/埋葬)死人时,使用木炭可以防止虫子进入坟墓或树根延伸至坟墓深处。

[春节](/topic/春节)前敬献给长辈的风俗[岁馔](/topic/岁馔)以珍贵的食物,烟,布匹等为主,但其中也包含木炭。由此可知,木炭不仅是日常生活中的实用之物,上等木炭还被视为珍贵之物。
Sut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carbón vegetal”,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se cree que el sut posee el poder para mantener alejadas las fuerzas del mal.

El sut ha sido un objeto importante para quitar la impureza y eliminar la energía negativa. En el pasado, una cuerda de paja trenzada a la izquierda con carbones vegetales atados a ella se extiende sobre la puerta del hogar cuando la familia tiene un bebé recién nacido, y la misma cuerda se cuelga también en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de barro para salsas durante el proceso de fermentación de salsas ácidas y gelatinas para que no entren las personas impuras y mala suerte en la casa. El sut era ofrecido como un sacrificio a veces en los rituales celebrados en el hogar para adorar al dios de la cocina, [[Jowang](/topic/DiosdelaCocina)](/topic/Jowang).

Como el carbón de leña es un deshumidificador efectivo, la mezcla del carbón vegetal con arcilla se ha utilizado cuando se estaba construyendo una vivienda o edificando las gradas que rodeaban una casa llamada estilóbato. El sut se utilizaba también en la elaboración de tumbas para mantener alejados los insectos o evitar la penetración en dichas tumbas de raíces de árboles.

La costumbre tradicional de enviar regalos a los parientes antes de la llegada del año nuevo lunar se llamaba sechan, y los artículos de regalo incluían valiosos alimentos, tabacos, telas y carbonos de madera, lo cual indicaba que el sut no era solo útil, sino también considerado escaso y precioso.
Sut, or wood charcoal, in Korean folk religion, is believed to possess the power to keep out evil forces.

When a new baby was born in the family, charcoal was tied to left-hand lay straw rope to hang as taboo rope (geumjul) for keeping out unclean persons and bad fortune, and the same rope was also placed inside sauce jars during fermentation process. Charcoal was sometimes offered as a sacrifice in household rituals for the kitchen deity [[Jowang](/topic/KitchenGod)](/topic/Jowang).

Wood charcoal is an effective dehumidifier, and was mixed into the clay when constructing a house or building the stylobate of a house. It was also used in building tombs, to keep away insects or to prevent tree roots from penetrating.

The custom of sending a holiday gift to relatives before the arrival of [Lunar New Year](/topic/LunarNewYear) was called sechan, and gift items included special delicacies, cigarettes, fabric, and also wood charcoal, which indicates that charcoal was not only useful, but that high-quality charcoal was considered rare and sought after.
내용숯은 기본적으로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하지만 연소할 때 연기가 나지 않아 방 안에서 [화로](/topic/화로)에 담아 난방용으로 사용하기에도 좋다. 또한 다공성 탄화조직으로 외부의 이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있어 [우물](/topic/우물)을 파거나 장을 담글 때 함께 넣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강한 제습기능이 있어 전통 건축물 내부나 [기단](/topic/기단)을 다질 때 숯을 섞어 습한 기운을 막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숯은 죽은 사람을 [매장](/topic/매장)하여 분(墳)을 조성할 때도 사용되었다. 중국 명나라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죽은 사람을 매장할 때 벌레가 들어가거나 나무뿌리가 무덤 속으로 파고드는 것을 막기 위해 숯을 사용한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주자가례(朱子家禮)』 권4 「상례(喪禮)」에는 “숯은 땅으로 들어가도 천 년 동안 변치 않으며(炭入地千年不變) …… 숯은 나무뿌리를 막으며 물과 개미를 피하게 한다(炭禦木根 辟水蟻).”고 기록되어 있다.

숯은 전통적으로 재액(災厄)과 사기를 막는 물건이었다. 한 집안에 새로운 식구가 태어나면 왼새끼에 숯을 꽂아 부정한 사람과 액이 함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았고, 새로이 장을 담가 항아리에서 숙성할 때도 [금줄](/topic/금줄)과 함께 숯을 사용하였다. [부엌](/topic/부엌)에 모신 조왕신에게 [고사](/topic/고사)를 지낼 때도 제물과 함께 숯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설날 이전에 어른에게 귀한 음식이나 물건을 보내는 풍속인 [세찬](/topic/세찬)(歲饌)은 주로 귀한 음식물과 [담배](/topic/담배), 옷감 등이 주종이었지만 숯도 그 항목에 포함되었다. 이것을 보면 숯은 실생활에 매우 요긴한 물건이거니와 잘 구워진 숯은 매우 귀한 물건으로도 대접받았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 와서 숯은 그 기능이 과학으로 입증되면서 여러 용도로 가공․활용되고 있다. 숯을 주재료로 한 탈취제나 활성탄 등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참고문헌한국세시풍속대[사전](/topic/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2~2006)
本草綱目, 朱子家禮, 조왕의 성격과 전승양상 (최숙경, 지방사와 지방문화 12, 역사문화학회, 2009)
木材经过不完全燃烧所得的多孔碳化物,在民俗信仰中被认为有辟邪之力的东西。

“木炭”自古以来就是防灾厄和邪气之物。家中有新生命出生时,人们会在反搓草绳上插上木炭,以防止[不净](/topic/不净)之人和厄运。当新酿大酱在坛中发酵时,木炭也与[禁绳](/topic/禁绳)同时被使用。在进行灶王神祭祀时,也会将木炭作为祭品供奉。

此外,木炭具有极强的除湿功能,因此在传统建筑物内部或建造地基时,会混入木炭以防湿气。木炭还用于修造坟墓。在[埋葬](/topic/埋葬)死人时,使用木炭可以防止虫子进入坟墓或树根延伸至坟墓深处。

[春节](/topic/春节)前敬献给长辈的风俗[岁馔](/topic/岁馔)以珍贵的食物,烟,布匹等为主,但其中也包含木炭。由此可知,木炭不仅是日常生活中的实用之物,上等木炭还被视为珍贵之物。
형태숯은 공기가 차단된 가마 안에서 나무를 구워 만든다. 재료로는 비교적 조직이 단단한 참나무류 목재를 사용한다. 참나무류를 구워 만든 숯을 참숯이라고 한다. 만드는 과정에 따라 검탄(黔炭)과 백탄(白炭)으로 나눈다. 섭씨 400~700도의 온도에서 구워 낸 일반적인 숯이 검탄이다. 이 두 배의 온도에서 구운 뒤 흙과 재를 섞은 가루를 덮어 급속하게 식혀 만드는 것이 백탄이다. 백탄이 검탄에 비해 질이 좋은 숯으로 알려져 있다.

숯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topic/가지)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마를 쌓고 그 안에 나무를 넣어 굽는 축요제탄법(築窯製炭法)이 일반적이다.
형태숯은 공기가 차단된 가마 안에서 나무를 구워 만든다. 재료로는 비교적 조직이 단단한 참나무류 목재를 사용한다. 참나무류를 구워 만든 숯을 참숯이라고 한다. 만드는 과정에 따라 검탄(黔炭)과 백탄(白炭)으로 나눈다. 섭씨 400~700도의 온도에서 구워 낸 일반적인 숯이 검탄이다. 이 두 배의 온도에서 구운 뒤 흙과 재를 섞은 가루를 덮어 급속하게 식혀 만드는 것이 백탄이다. 백탄이 검탄에 비해 질이 좋은 숯으로 알려져 있다.

숯을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topic/가지)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마를 쌓고 그 안에 나무를 넣어 굽는 축요제탄법(築窯製炭法)이 일반적이다.
Sut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carbón vegetal”,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se cree que el sut posee el poder para mantener alejadas las fuerzas del mal.

El sut ha sido un objeto importante para quitar la impureza y eliminar la energía negativa. En el pasado, una cuerda de paja trenzada a la izquierda con carbones vegetales atados a ella se extiende sobre la puerta del hogar cuando la familia tiene un bebé recién nacido, y la misma cuerda se cuelga también en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de barro para salsas durante el proceso de fermentación de salsas ácidas y gelatinas para que no entren las personas impuras y mala suerte en la casa. El sut era ofrecido como un sacrificio a veces en los rituales celebrados en el hogar para adorar al dios de la cocina, [[Jowang](/topic/DiosdelaCocina)](/topic/Jowang).

Como el carbón de leña es un deshumidificador efectivo, la mezcla del carbón vegetal con arcilla se ha utilizado cuando se estaba construyendo una vivienda o edificando las gradas que rodeaban una casa llamada estilóbato. El sut se utilizaba también en la elaboración de tumbas para mantener alejados los insectos o evitar la penetración en dichas tumbas de raíces de árboles.

La costumbre tradicional de enviar regalos a los parientes antes de la llegada del año nuevo lunar se llamaba sechan, y los artículos de regalo incluían valiosos alimentos, tabacos, telas y carbonos de madera, lo cual indicaba que el sut no era solo útil, sino también considerado escaso y precioso.
Sut, or wood charcoal, in Korean folk religion, is believed to possess the power to keep out evil forces.

When a new baby was born in the family, charcoal was tied to left-hand lay straw rope to hang as taboo rope (geumjul) for keeping out unclean persons and bad fortune, and the same rope was also placed inside sauce jars during fermentation process. Charcoal was sometimes offered as a sacrifice in household rituals for the kitchen deity [[Jowang](/topic/KitchenGod)](/topic/Jowang).

Wood charcoal is an effective dehumidifier, and was mixed into the clay when constructing a house or building the stylobate of a house. It was also used in building tombs, to keep away insects or to prevent tree roots from penetrating.

The custom of sending a holiday gift to relatives before the arrival of [Lunar New Year](/topic/LunarNewYear) was called sechan, and gift items included special delicacies, cigarettes, fabric, and also wood charcoal, which indicates that charcoal was not only useful, but that high-quality charcoal was considered rare and sought after.
대원사팔도굿황루시1992
국립민속박물관큰무당 우옥주 유품1995
도서출판 民俗苑한국의 굿하효길 외2002
국립민속박물관사진으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12003
민속원민속과 종교소황옥2003
경춘사한국복식의 역사백영자·최해율2004
한국복식학회 55조선시대 몽두의에 관한 연구박성실2005
민속원조선후기연향문화한국학중앙연구원2005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2005
민속원한국의 무신도홍태한·박우택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