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줏대

한국무속신앙사전
성줏대
성주신의 [봉안](/topic/봉안)의식을 할 때 성주를 받는 도구.
definition
성주신의 [봉안](/topic/봉안)의식을 할 때 성주를 받는 도구.
mp3Cnt
0
wkorname
김경남
정의성주신의 [봉안](/topic/봉안)의식을 할 때 성주를 받는 도구.
정의성주신의 [봉안](/topic/봉안)의식을 할 때 성주를 받는 도구.
내용가옥을 신축했거나 [이사](/topic/이사)를 하여 성주신이 필요할 때 성주신 [봉안](/topic/봉안)의식을 한다. 또 [대주](/topic/대주)(大主, 집주인)의 나이에 따라 성주의 운이 들면 성줏대를 만들어서 성주를 받는다. 대주의 나이는 일곱 수가 드는 해인 27, 37, 47, 57, 67세 등이다. 의식은 그해 시월에 [택일](/topic/택일)(擇日)하여 행한다. [안택](/topic/안택)을 할 때 성주가 뜬 경우에도 성주를 받기도 한다. 성줏대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집 주변의 대나무를 꺾어 성줏대를 만든다. [법사](/topic/법사)나 무녀가 성주가 있는 곳이 어디인가를 묻고 성줏대가 이끄는 곳으로 나가 성주를 집 안으로 모셔 들인다.
내용가옥을 신축했거나 [이사](/topic/이사)를 하여 성주신이 필요할 때 성주신 [봉안](/topic/봉안)의식을 한다. 또 [대주](/topic/대주)(大主, 집주인)의 나이에 따라 성주의 운이 들면 성줏대를 만들어서 성주를 받는다. 대주의 나이는 일곱 수가 드는 해인 27, 37, 47, 57, 67세 등이다. 의식은 그해 시월에 [택일](/topic/택일)(擇日)하여 행한다. [안택](/topic/안택)을 할 때 성주가 뜬 경우에도 성주를 받기도 한다. 성줏대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집 주변의 대나무를 꺾어 성줏대를 만든다. [법사](/topic/법사)나 무녀가 성주가 있는 곳이 어디인가를 묻고 성줏대가 이끄는 곳으로 나가 성주를 집 안으로 모셔 들인다.
형태성줏대는 주로 작은 소나무의 상순이나 [가지](/topic/가지)를 3척 정도 길이로 잘라내어 중간에 [한지](/topic/한지)를 매달아 사용한다. 대나무를 꺾어 성줏대를 만들기도 한다.
형태성줏대는 주로 작은 소나무의 상순이나 [가지](/topic/가지)를 3척 정도 길이로 잘라내어 중간에 [한지](/topic/한지)를 매달아 사용한다. 대나무를 꺾어 성줏대를 만들기도 한다.
지역사례서울지역의 경우 성주 [봉안](/topic/봉안)은 성주받이 굿거리에서 행한다. 무녀가 홍[철릭](/topic/철릭)[紅天翼]에 홍갓을 쓰고 3척 안팎의 생솔[가지](/topic/가지) 중간에 [백지](/topic/백지) 한 장을 잡아맨 성줏대를 잡고 뜰에 나가 성주신을 맞아들인다. 이때 성줏대는 집주인인 [대주](/topic/대주)가 잡는다. 대주가 성줏대를 잡으면 무녀는 성주신의 하강을 기원하는 내용을 축원한다. 성주신이 내리면 경우에 따라 대주가 성줏대를 잡고 춤을 추어 성주신을 놀리기도 한다. 또 무녀는 성주신의 좌정처를 물어서 성줏대가 지적하면 성줏대에 매단 백지를 풀어서 동전을 넣고 장방형으로 접어 청수(淸水)에 적신 다음 성줏대가 알려준 상량대 밑의 벽이나 상량의 상부에다 붙인다. 그러고는 쌀을 손으로 한 줌 집어 세 번을 뿌리면서 “천석만석 불려줍소사.” 하고 축원하며 재복을 많이 점지해 달라고 기원한다.

황해도 해주 등지에서는 성주맞이를 할 때 소나무의 상순을 베어다 그 중등에 백지 한 장을 실로 잡아매어 성줏대를 만든다. 집주인인 대주가 이 성줏대를 붙잡으면 무녀가 성주신의 하강을 기원하는 내용의 축원을 하고, 그러면 대주가 성주신이 내린 성줏대를 손에 잡고 춤을 추어 성주를 놀리기도 한다. 그 다음 무녀가 성주신께 좌정처를 물어 봉안하게 되는데, 그 위치는 대개 양주(梁柱)의 상부가 된다. 이렇게 좌정처가 결정되면 백지 석 장을 포개어 쌀을 넣고 접어 싸면서 ‘천석만석’하고 주언(呪言)을 한다. 그런 뒤 이것을 술에 적시어 뭉쳐서 좌정처에 던져 붙이고 성줏대에 매달았던 백지 한 장을 풀어서 실로 묶어 봉안된 성주신체 밑에 걸어 둔다.

강원도 춘천 등지에서는 대주의 나이가 7의 수가 되는 해 가을(음력 10월) 중에 택일하여 성주받이를 행한다. 그 절차는 우선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를 구송(口誦)한 다음 생소나무가지에 백지 한 장을 매단 성줏대에 성주를 받아 놀리고, 성줏대의 백지를 풀어 쌀을 넣고 장방형으로 접어 가옥의 중심이 되는 곳의 [기둥](/topic/기둥) 상부에 물을 적시어 붙이고 나서 쌀을 한 줌 집어 뿌리며 무녀가 ‘천석이요, 만석이요.’라고 주언을 한다. 이 지방에서 이렇게 봉안되는 성주 신체는 성줏대에 매달았던 백지를 장방형으로 쌀을 넣고 접어서 물에 적시어 기둥에 붙이는 것과, 성줏대에 매달았던 백지를 쌀을 넣고 접어서 실로 그 한 허리를 매어 역시 가옥의 중심이 되는 기둥의 상부에 매다는 것의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대체로 전자의 형태를 많이 취한다.

양구에서는 성주받이를 할 때 생소나무 가지에 백지 한 장을 매단 성줏대에 성주신을 받는다. 성줏대가 가리키는 곳에 신이 좌정하는데 그 위치는 [대들보](/topic/대들보) 밑이나 상기둥의 상부가 된다. 그런 뒤 성줏대의 백지를 풀어서 물에 적시어 장방형으로 접어 좌정처에 붙이며 무녀가 쌀을 한줌 집어 뿌리면서 ‘천석이요, 만석이요.’라고 주언을 한다. 이 지방 역시 대주의 나이가 7의 수가 되는 해 가을 10월 중에 택일해서 밤에 행한다.

고성군 등지에서는 [성주굿](/topic/성주굿)을 할 때 방바닥에 말을 놓고 쌀을 가득 채우고 거기에 홍두깨를 세워 꽂는다. 그리고 백지 한 장을 차곡차곡 길게 접어 말굽형으로 씌워 [무명](/topic/무명) [실타래](/topic/실타래)로 동여매어 세워진 홍두깨 위에 [성주상](/topic/성주상)을 올린다. 무녀가 가무로 성주신을 놀리고 난 다음 대주를 앞에 세워놓고 공수를 주어 예언을 한다. 그러고 홍두깨의 상두부에 묶여있는 백지를 무녀가 풀어서 실타래로 그 백지의 한 허리를 가로 떠 묶은 것을 대주에게 들려서 대들보 밑이나 [부엌](/topic/부엌)의 용마루 밑, 또는 가옥의 중심이 되는 기둥의 상부에 걸어 매달게 한다. 이것이 성주신체가 되는데, 이 백지 속에 쌀을 넣기도 한다.

이 외에도 각 지방의 [독경](/topic/독경)자(구송 또는 경꾼)에 의해서도 독경 절차를 밟아 [신대](/topic/신대)로서의 성줏대를 잡고 성주를 받아 성주신을 봉안하고 성주 봉안경을 읽는데, 이때도 대주의 나이가 7의 수가 되는 해 가을 10월 중에 택일하여 밤에 행하고, 지방에 따라서는 의례 전 부정을 가리기 위해 [대문](/topic/대문) 밖 좌우에 [황토](/topic/황토)를 펴고 [금줄](/topic/금줄)을 매기도 한다.

이처럼 성줏대는 성주신이 좌정하기 위해 잠시 머무르는 중간 공간이며, 일종의 신간대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3)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지역사례서울지역의 경우 성주 [봉안](/topic/봉안)은 성주받이 굿거리에서 행한다. 무녀가 홍[철릭](/topic/철릭)[紅天翼]에 홍갓을 쓰고 3척 안팎의 생솔[가지](/topic/가지) 중간에 [백지](/topic/백지) 한 장을 잡아맨 성줏대를 잡고 뜰에 나가 성주신을 맞아들인다. 이때 성줏대는 집주인인 [대주](/topic/대주)가 잡는다. 대주가 성줏대를 잡으면 무녀는 성주신의 하강을 기원하는 내용을 축원한다. 성주신이 내리면 경우에 따라 대주가 성줏대를 잡고 춤을 추어 성주신을 놀리기도 한다. 또 무녀는 성주신의 좌정처를 물어서 성줏대가 지적하면 성줏대에 매단 백지를 풀어서 동전을 넣고 장방형으로 접어 청수(淸水)에 적신 다음 성줏대가 알려준 상량대 밑의 벽이나 상량의 상부에다 붙인다. 그러고는 쌀을 손으로 한 줌 집어 세 번을 뿌리면서 “천석만석 불려줍소사.” 하고 축원하며 재복을 많이 점지해 달라고 기원한다.

황해도 해주 등지에서는 성주맞이를 할 때 소나무의 상순을 베어다 그 중등에 백지 한 장을 실로 잡아매어 성줏대를 만든다. 집주인인 대주가 이 성줏대를 붙잡으면 무녀가 성주신의 하강을 기원하는 내용의 축원을 하고, 그러면 대주가 성주신이 내린 성줏대를 손에 잡고 춤을 추어 성주를 놀리기도 한다. 그 다음 무녀가 성주신께 좌정처를 물어 봉안하게 되는데, 그 위치는 대개 양주(梁柱)의 상부가 된다. 이렇게 좌정처가 결정되면 백지 석 장을 포개어 쌀을 넣고 접어 싸면서 ‘천석만석’하고 주언(呪言)을 한다. 그런 뒤 이것을 술에 적시어 뭉쳐서 좌정처에 던져 붙이고 성줏대에 매달았던 백지 한 장을 풀어서 실로 묶어 봉안된 성주신체 밑에 걸어 둔다.

강원도 춘천 등지에서는 대주의 나이가 7의 수가 되는 해 가을(음력 10월) 중에 택일하여 성주받이를 행한다. 그 절차는 우선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를 구송(口誦)한 다음 생소나무가지에 백지 한 장을 매단 성줏대에 성주를 받아 놀리고, 성줏대의 백지를 풀어 쌀을 넣고 장방형으로 접어 가옥의 중심이 되는 곳의 [기둥](/topic/기둥) 상부에 물을 적시어 붙이고 나서 쌀을 한 줌 집어 뿌리며 무녀가 ‘천석이요, 만석이요.’라고 주언을 한다. 이 지방에서 이렇게 봉안되는 성주 신체는 성줏대에 매달았던 백지를 장방형으로 쌀을 넣고 접어서 물에 적시어 기둥에 붙이는 것과, 성줏대에 매달았던 백지를 쌀을 넣고 접어서 실로 그 한 허리를 매어 역시 가옥의 중심이 되는 기둥의 상부에 매다는 것의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대체로 전자의 형태를 많이 취한다.

양구에서는 성주받이를 할 때 생소나무 가지에 백지 한 장을 매단 성줏대에 성주신을 받는다. 성줏대가 가리키는 곳에 신이 좌정하는데 그 위치는 [대들보](/topic/대들보) 밑이나 상기둥의 상부가 된다. 그런 뒤 성줏대의 백지를 풀어서 물에 적시어 장방형으로 접어 좌정처에 붙이며 무녀가 쌀을 한줌 집어 뿌리면서 ‘천석이요, 만석이요.’라고 주언을 한다. 이 지방 역시 대주의 나이가 7의 수가 되는 해 가을 10월 중에 택일해서 밤에 행한다.

고성군 등지에서는 [성주굿](/topic/성주굿)을 할 때 방바닥에 말을 놓고 쌀을 가득 채우고 거기에 홍두깨를 세워 꽂는다. 그리고 백지 한 장을 차곡차곡 길게 접어 말굽형으로 씌워 [무명](/topic/무명) [실타래](/topic/실타래)로 동여매어 세워진 홍두깨 위에 [성주상](/topic/성주상)을 올린다. 무녀가 가무로 성주신을 놀리고 난 다음 대주를 앞에 세워놓고 공수를 주어 예언을 한다. 그러고 홍두깨의 상두부에 묶여있는 백지를 무녀가 풀어서 실타래로 그 백지의 한 허리를 가로 떠 묶은 것을 대주에게 들려서 대들보 밑이나 [부엌](/topic/부엌)의 용마루 밑, 또는 가옥의 중심이 되는 기둥의 상부에 걸어 매달게 한다. 이것이 성주신체가 되는데, 이 백지 속에 쌀을 넣기도 한다.

이 외에도 각 지방의 [독경](/topic/독경)자(구송 또는 경꾼)에 의해서도 독경 절차를 밟아 [신대](/topic/신대)로서의 성줏대를 잡고 성주를 받아 성주신을 봉안하고 성주 봉안경을 읽는데, 이때도 대주의 나이가 7의 수가 되는 해 가을 10월 중에 택일하여 밤에 행하고, 지방에 따라서는 의례 전 부정을 가리기 위해 [대문](/topic/대문) 밖 좌우에 [황토](/topic/황토)를 펴고 [금줄](/topic/금줄)을 매기도 한다.

이처럼 성줏대는 성주신이 좌정하기 위해 잠시 머무르는 중간 공간이며, 일종의 신간대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3)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충청도2005
성줏대
13584
성줏대
성줏대
13583
성줏대
성줏대
13582
성줏대
성줏대
13584
성줏대
성줏대
13583
성줏대
성줏대
13582
성줏대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