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짚

한국무속신앙사전
삼신을 위할 때 [제물](/topic/제물) 밑에 깔거나 방에 매달아 두는 짚.
definition
삼신을 위할 때 [제물](/topic/제물) 밑에 깔거나 방에 매달아 두는 짚.
mp3Cnt
0
wkorname
이유나
정의삼신을 위할 때 [제물](/topic/제물) 밑에 깔거나 방에 매달아 두는 짚.
정의삼신을 위할 때 [제물](/topic/제물) 밑에 깔거나 방에 매달아 두는 짚.
내용예전에 임부가 집에서 아이를 낳을 때 방바닥에 짚을 깔았다. 그 가운데 피가 묻지 않은 짚을 한 주먹 추려서 ‘삼신짚’이라고 하였다. 아이가 태어나면 가장 먼저 삼신에게 밥, 미역국, 맑은 물을 올렸다. 이때 이삭이 달린 부분이 동쪽을 향하도록 [가지](/topic/가지)런히 짚을 깔고 그 위에 음식을 차린다. 각각 한 그릇을 마련하여 올리거나 세 그릇씩 올렸다.

아이를 낳은 지 삼일째 되는 날을 ‘삼날’, 칠일째는 ‘첫이레’라고 한다. 삼날에는 처음으로 삼신을 위하고, 첫이레에는 산모가 처음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 이때도 밥과 미역국을 올린다. 삼신짚은 미리 깨끗한 것으로 추려 세 이레 까지 방의 한쪽 구석에 세워 놓았다. 세 이레가 지나면 [마당](/topic/마당) 한곳에서 깨끗하게 태워 없앴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내용예전에 임부가 집에서 아이를 낳을 때 방바닥에 짚을 깔았다. 그 가운데 피가 묻지 않은 짚을 한 주먹 추려서 ‘삼신짚’이라고 하였다. 아이가 태어나면 가장 먼저 삼신에게 밥, 미역국, 맑은 물을 올렸다. 이때 이삭이 달린 부분이 동쪽을 향하도록 [가지](/topic/가지)런히 짚을 깔고 그 위에 음식을 차린다. 각각 한 그릇을 마련하여 올리거나 세 그릇씩 올렸다.

아이를 낳은 지 삼일째 되는 날을 ‘삼날’, 칠일째는 ‘첫이레’라고 한다. 삼날에는 처음으로 삼신을 위하고, 첫이레에는 산모가 처음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 이때도 밥과 미역국을 올린다. 삼신짚은 미리 깨끗한 것으로 추려 세 이레 까지 방의 한쪽 구석에 세워 놓았다. 세 이레가 지나면 [마당](/topic/마당) 한곳에서 깨끗하게 태워 없앴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문화인류학회제주도무의의 ‘기메고’-무속의 신체형성의 일면현용준1969
집문당제주도무속연구현용준1986
한국무속학회제주도 굿의 무구 ‘기메’에 대한 고찰강소전2006
민속원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국립문화재연구소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