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떡

한국무속신앙사전
매년 음력 시월 또는 정월에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에 대한 기원 및 감사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의례인 [안택](/topic/안택), 특히 정월에 행하는 안택에서 준비하는 떡 또는 이 떡으로 치르는 의례를 의미하기도 한다.
definition
매년 음력 시월 또는 정월에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에 대한 기원 및 감사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의례인 [안택](/topic/안택), 특히 정월에 행하는 안택에서 준비하는 떡 또는 이 떡으로 치르는 의례를 의미하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이기태
특징정월떡은 정월에 행하는 [안택](/topic/안택)의 주요한 [제물](/topic/제물)이다. 시월에 행하는 안택과는 의례과정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동일한 의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정월떡’이라고 부르는 것은 시월상달에 준비하는 ‘가을떡’과 대비되는 표현이기도 하면서 지역에 따라 두 [가지](/topic/가지) 가운데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 표현은 지역문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한다. 충북지역의 사례를 보면 지역적인 편차가 명확히 나타난다. 즉 충북지역의 종합적인 가정신앙의례는 안택, 정월떡의례, 가을떡의례로 구분된다. 이 세 의례는 다른 문화적 요소를 토대로 작성한 문화영역도와 거의 일치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안택에 관한 문화영역에서 자세히 살폈다.
특징정월떡은 정월에 행하는 [안택](/topic/안택)의 주요한 [제물](/topic/제물)이다. 시월에 행하는 안택과는 의례과정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동일한 의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정월떡’이라고 부르는 것은 시월상달에 준비하는 ‘가을떡’과 대비되는 표현이기도 하면서 지역에 따라 두 [가지](/topic/가지) 가운데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두 표현은 지역문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기도 한다. 충북지역의 사례를 보면 지역적인 편차가 명확히 나타난다. 즉 충북지역의 종합적인 가정신앙의례는 안택, 정월떡의례, 가을떡의례로 구분된다. 이 세 의례는 다른 문화적 요소를 토대로 작성한 문화영역도와 거의 일치하는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안택에 관한 문화영역에서 자세히 살폈다.
정의매년 음력 시월 또는 정월에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에 대한 기원 및 감사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의례인 [안택](/topic/안택), 특히 정월에 행하는 안택에서 준비하는 떡 또는 이 떡으로 치르는 의례를 의미하기도 한다.
정의매년 음력 시월 또는 정월에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에 대한 기원 및 감사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의례인 [안택](/topic/안택), 특히 정월에 행하는 안택에서 준비하는 떡 또는 이 떡으로 치르는 의례를 의미하기도 한다.
내용지역에 따라서는 정월에 행하는 의례를 ‘[고사](/topic/고사)’, 시월에 행하는 의례를 ‘[안택](/topic/안택)’이라고 각각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의례에서 가장 중요한 [제물](/topic/제물)은 팥을 넣은 [시루떡](/topic/시루떡)을 준비하는 것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가을에 행하는 안택(고사)을 ‘가을떡 해 먹는다’, 정월에 행하는 것을 ‘정월떡 해 먹는다’라고도 한다.

정월떡은 부정이 섞이지 않은 매우 정결한 상태에서 주부가 직접 준비한다. 떡을 찌기 전에 [대문](/topic/대문)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대문 밖에 [황토](/topic/황토)를 뿌려서 집안을 정결하게 한다. 그런 다음 주부는 목욕재계한 뒤에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떡쌀은 새로 찧은 쌀을 서 되 세 홉으로 준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떡을 찔 때도 정성을 다하면서 부정이 깃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떡시루에 김이 잘 오르지 않고 김이 새어나와서 잘 익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매우 부정한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부가 다시 기도를 올리거나 짚을 썰어 넣은 물을 마시는 등 [부정풀이](/topic/부정풀이)를 행해야 한다.

떡이 온전하게 잘 쪄진다면 이 떡을 먼저 [성주상](/topic/성주상)에 올려두고 다른 제물을 차려서 남자 주인 또는 부부가 함께 절을 하고 [비손](/topic/비손)을 하면서 가정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한다. 그런 뒤에 떡을 조금씩 썰어서 쟁반에 담아 집안의 공간 곳곳에 갖다 둔다. 이 떡은 잠시 후에 거두어서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정월떡을 이용한 전반적인 의례는 안택을 행하는 절차와 동일하다.
내용지역에 따라서는 정월에 행하는 의례를 ‘[고사](/topic/고사)’, 시월에 행하는 의례를 ‘[안택](/topic/안택)’이라고 각각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의례에서 가장 중요한 [제물](/topic/제물)은 팥을 넣은 [시루떡](/topic/시루떡)을 준비하는 것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가을에 행하는 안택(고사)을 ‘가을떡 해 먹는다’, 정월에 행하는 것을 ‘정월떡 해 먹는다’라고도 한다.

정월떡은 부정이 섞이지 않은 매우 정결한 상태에서 주부가 직접 준비한다. 떡을 찌기 전에 [대문](/topic/대문)에 [금줄](/topic/금줄)을 치고 대문 밖에 [황토](/topic/황토)를 뿌려서 집안을 정결하게 한다. 그런 다음 주부는 목욕재계한 뒤에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떡쌀은 새로 찧은 쌀을 서 되 세 홉으로 준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떡을 찔 때도 정성을 다하면서 부정이 깃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떡시루에 김이 잘 오르지 않고 김이 새어나와서 잘 익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매우 부정한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부가 다시 기도를 올리거나 짚을 썰어 넣은 물을 마시는 등 [부정풀이](/topic/부정풀이)를 행해야 한다.

떡이 온전하게 잘 쪄진다면 이 떡을 먼저 [성주상](/topic/성주상)에 올려두고 다른 제물을 차려서 남자 주인 또는 부부가 함께 절을 하고 [비손](/topic/비손)을 하면서 가정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한다. 그런 뒤에 떡을 조금씩 썰어서 쟁반에 담아 집안의 공간 곳곳에 갖다 둔다. 이 떡은 잠시 후에 거두어서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정월떡을 이용한 전반적인 의례는 안택을 행하는 절차와 동일하다.
지역사례충북 괴산군 청천면 신월리 진[도리](/topic/도리)[마을](/topic/마을)은 정월떡을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행한다. 음력 정월에 ‘정월떡’을 하는 것은 ‘올해 농사가 잘되도록 해달라’는 의미가 있고, 시월상달에 하는 ‘가을떡’은 농사를 다 지었다고 가을 천신(薦新)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마을에서는 ‘가을떡’을 해먹는 집은 별로 없다고 한다. 이 두 의례는 집의 지킴이인 성주와 터주에게 천신하는 것이다. 성주는 [거실](/topic/거실)의 상[기둥](/topic/기둥) 터주는 장광([장독대](/topic/장독대))에 각각 깃들어 있다고 믿고 있다.

떡은 멥쌀로 만든 백설[기와](/topic/기와) 팥을 삶아서 만든 케떡(켜켜이 층을 쌓듯이 만든 떡)두 종류를 준비한다. 케떡만 준비하는 집도 있다. 떡쌀은 석되 서홉 또는 한되 서홉을 준비하며, 형편에 따라 준비한다. 떡을 준비할 때는 삼일 기도를 하거나 당일 기도를 한 뒤에 행한다. 삼일 기도를 할 때는 매일 아침마다 목욕재계하고, 사흘 동안 초상난 것이나 부정한 것을 보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이웃집에 초상이 나도 모른 척해야 한다. 당일기도로 떡을 찔 때는 캄캄한 새벽에 [대문](/topic/대문)을 깨끗하게 쓸고 흙을 퍼서 뿌린 뒤 [금줄](/topic/금줄)을 쳐서 외부인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신성함은 “떡을 만들 벼를 말리기 위해 널어놓았을 때 참새가 와서 먹으면 그 새가 죽었다.”고 하는 것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떡을 찌는 과정은 두 경우 동일하다.

그런 다음 오후 3시경에 떡시루를 [아궁이](/topic/아궁이)에 걸어서 준비한다. 쌀가루는 하루 전날 저녁에 쌀을 물에 담가 두었다가 아침에 면 소재지에 있는 방앗간에 가서 빻아 온다. 이 동안에는 말을 하면 안 된다. 방앗간에서도 그 쌀이 정월떡을 만들 것이라는 것을 미리 알아보고 군소리 없이 잘해준다고 한다. 떡을 찔 때는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찐다. 떡시루를 아궁이에 얹을 때는 먼저 이를 닦고 세수를 한 뒤에 작업을 시작한다. 떡을 찌는 동안에는 [화장실](/topic/화장실)에도 [가지](/topic/가지) 않는다. 떡을 차리면 절을 하고 기원을 한 그 내용은 “일년 열두달 가더라도 한 날 한 시같이 반갑게 받으시와 재수 대통하고 아무 근심 없게 해 달라.”는 것이다.

정월떡고사를 행하는 방식은 집집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천이 천 말하고 만이 만 말하더라도 정성껏 하면 된다.”고 하면서 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떡시루를 차릴 때는 상에 차리는 경우도 있지만 짚을 깨끗이 추려서 바닥에 깔아두고 차리기도 한다. 상차림에는 술, 청수, 과일(밤, [대추](/topic/대추), [사과](/topic/사과), 배), 촛불 등을 차린다. [기제사](/topic/기제사)를 지내는 것과 동일하다.

성주에게 바칠 떡시루는 상기둥 앞에 차린다. 그런 다음 집안의 [대주](/topic/대주)가 술(막걸리)잔을 올리고 절을 한다. 대주가 절을 하지 않으면 안주인이 절을 하며, 부부가 함께 절을 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소지를 올리는 것으로 의례가 끝난다. 소지가 잘 올라가면 일 년 동안 신수가 좋다고 한다. 소지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소지는 식구마다 개개인이 올린다. 신수가 좋지 않은 사람은 소지가 덜 타고 바닥으로 내려온다고 한다. 신수가 좋지 않은 사람은 몸이 아프거나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사람을 말한다. 무당은 그 사람에게 방비(방지하기 위한 주술적 처방)하기도 하지만 면할 수 없는 것이라면 스스로 조심하면서 일 년 동안 열심히 마음기도를 해야 한다고 경고해 준다. 이것을 ‘막음한다’고 한다.

소지가 끝나면 [시루떡](/topic/시루떡)을 조금씩 떼어서 [부엌](/topic/부엌)과 조왕에 한 접시씩 바치고, 장광이나 놓고 싶은 곳에 갖다 둔다. 부엌의 조왕이나 장광의 터주, 쌀 단지 위 또는 쌀 [포대](/topic/포대) 위, 변소, 기계 위, 수도, 삽짝(대문) 등의 순서로 갖다 놓는다. 수도에 바치는 것은 일 년 열 두 달 동안 물이 잘 나오라는 뜻, 변소에 바치는 것은 변소에 빠지지 말라는 뜻이다. 삽짝에는 “삽짝 [장군](/topic/장군)이 천신하는 것을 알고 있으니까 이것 먹고 뚝 떠나라.”고 마음속으로 빌면서 갖다 놓는다. 10분 정도 지나면 모두 거두어들인 뒤에 금줄을 걷어치우고 떡을 나누어 먹는다. 걷어낸 금줄은 [담장](/topic/담장)에 끼워두었다가 나중에 꺼내어 불에 태운다.
참고문헌충청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의 가정신앙-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지역사례충북 괴산군 청천면 신월리 진[도리](/topic/도리)[마을](/topic/마을)은 정월떡을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행한다. 음력 정월에 ‘정월떡’을 하는 것은 ‘올해 농사가 잘되도록 해달라’는 의미가 있고, 시월상달에 하는 ‘가을떡’은 농사를 다 지었다고 가을 천신(薦新)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마을에서는 ‘가을떡’을 해먹는 집은 별로 없다고 한다. 이 두 의례는 집의 지킴이인 성주와 터주에게 천신하는 것이다. 성주는 [거실](/topic/거실)의 상[기둥](/topic/기둥) 터주는 장광([장독대](/topic/장독대))에 각각 깃들어 있다고 믿고 있다.

떡은 멥쌀로 만든 백설[기와](/topic/기와) 팥을 삶아서 만든 케떡(켜켜이 층을 쌓듯이 만든 떡)두 종류를 준비한다. 케떡만 준비하는 집도 있다. 떡쌀은 석되 서홉 또는 한되 서홉을 준비하며, 형편에 따라 준비한다. 떡을 준비할 때는 삼일 기도를 하거나 당일 기도를 한 뒤에 행한다. 삼일 기도를 할 때는 매일 아침마다 목욕재계하고, 사흘 동안 초상난 것이나 부정한 것을 보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이웃집에 초상이 나도 모른 척해야 한다. 당일기도로 떡을 찔 때는 캄캄한 새벽에 [대문](/topic/대문)을 깨끗하게 쓸고 흙을 퍼서 뿌린 뒤 [금줄](/topic/금줄)을 쳐서 외부인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신성함은 “떡을 만들 벼를 말리기 위해 널어놓았을 때 참새가 와서 먹으면 그 새가 죽었다.”고 하는 것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떡을 찌는 과정은 두 경우 동일하다.

그런 다음 오후 3시경에 떡시루를 [아궁이](/topic/아궁이)에 걸어서 준비한다. 쌀가루는 하루 전날 저녁에 쌀을 물에 담가 두었다가 아침에 면 소재지에 있는 방앗간에 가서 빻아 온다. 이 동안에는 말을 하면 안 된다. 방앗간에서도 그 쌀이 정월떡을 만들 것이라는 것을 미리 알아보고 군소리 없이 잘해준다고 한다. 떡을 찔 때는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찐다. 떡시루를 아궁이에 얹을 때는 먼저 이를 닦고 세수를 한 뒤에 작업을 시작한다. 떡을 찌는 동안에는 [화장실](/topic/화장실)에도 [가지](/topic/가지) 않는다. 떡을 차리면 절을 하고 기원을 한 그 내용은 “일년 열두달 가더라도 한 날 한 시같이 반갑게 받으시와 재수 대통하고 아무 근심 없게 해 달라.”는 것이다.

정월떡고사를 행하는 방식은 집집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천이 천 말하고 만이 만 말하더라도 정성껏 하면 된다.”고 하면서 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떡시루를 차릴 때는 상에 차리는 경우도 있지만 짚을 깨끗이 추려서 바닥에 깔아두고 차리기도 한다. 상차림에는 술, 청수, 과일(밤, [대추](/topic/대추), [사과](/topic/사과), 배), 촛불 등을 차린다. [기제사](/topic/기제사)를 지내는 것과 동일하다.

성주에게 바칠 떡시루는 상기둥 앞에 차린다. 그런 다음 집안의 [대주](/topic/대주)가 술(막걸리)잔을 올리고 절을 한다. 대주가 절을 하지 않으면 안주인이 절을 하며, 부부가 함께 절을 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소지를 올리는 것으로 의례가 끝난다. 소지가 잘 올라가면 일 년 동안 신수가 좋다고 한다. 소지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소지는 식구마다 개개인이 올린다. 신수가 좋지 않은 사람은 소지가 덜 타고 바닥으로 내려온다고 한다. 신수가 좋지 않은 사람은 몸이 아프거나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사람을 말한다. 무당은 그 사람에게 방비(방지하기 위한 주술적 처방)하기도 하지만 면할 수 없는 것이라면 스스로 조심하면서 일 년 동안 열심히 마음기도를 해야 한다고 경고해 준다. 이것을 ‘막음한다’고 한다.

소지가 끝나면 [시루떡](/topic/시루떡)을 조금씩 떼어서 [부엌](/topic/부엌)과 조왕에 한 접시씩 바치고, 장광이나 놓고 싶은 곳에 갖다 둔다. 부엌의 조왕이나 장광의 터주, 쌀 단지 위 또는 쌀 [포대](/topic/포대) 위, 변소, 기계 위, 수도, 삽짝(대문) 등의 순서로 갖다 놓는다. 수도에 바치는 것은 일 년 열 두 달 동안 물이 잘 나오라는 뜻, 변소에 바치는 것은 변소에 빠지지 말라는 뜻이다. 삽짝에는 “삽짝 [장군](/topic/장군)이 천신하는 것을 알고 있으니까 이것 먹고 뚝 떠나라.”고 마음속으로 빌면서 갖다 놓는다. 10분 정도 지나면 모두 거두어들인 뒤에 금줄을 걷어치우고 떡을 나누어 먹는다. 걷어낸 금줄은 [담장](/topic/담장)에 끼워두었다가 나중에 꺼내어 불에 태운다.
참고문헌충청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의 가정신앙-충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경기도 남부 도당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분석박정경2002
경기도국악당경기 무가의 음악적 특징박정경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