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

한국무속신앙사전
된장
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definition
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mp3Cnt
0
wkorname
배영동
정의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정의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내용한번 담근 된장은 기본적으로 1년 동안 먹어야 하는 대표적인 부식이어서 된장이 정상적으로 잘 숙성되도록 하는 의례나 금기(禁忌)가 필요하였다. 가장 먼저 필요로 한 주술적 내용은 된장 담그는 날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된장은 대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부터 삼월삼짇날까지의 기간에 어떤 날을 정해서 담그는 것이 선호되었다. 전통적으로 일진에 [말날](/topic/말날), [돼지날](/topic/돼지날), [닭날](/topic/닭날) 등과 같은 덩치가 크고 털이 있는 [동물](/topic/동물)의 날인 [유모일](/topic/유모일)(有毛日)이 선호되는 현상이 발견된다. 말은 된장이 ‘맑아져라’는 뜻, 닭은 된장이 ‘달아져라’는 뜻, 돼지날은 돼지의 “꿀꿀”거리는 소리에서 된장이 ‘꿀처럼 달아라’는 뜻을 담은 언어적 [유감주술](/topic/유감주술)이다. 그러나 된장 담그는 날을 택일할 때는 ‘언제 담근 장맛이 좋다’라는 개인의 경험이 중요했다. 이 때문에 어떤 사람은 된장을 [용날](/topic/용날)이나 삼짇날에 담가야 가장 맛이 있다고 하는 것이 그런 예이다. 중요한 것은 어떤 날에 담그면 맛이 있다는 뭔가의 기준이 있다는 점이다. 이는 된장이 기온, 바람, 습도 등과 같은 자연조건에 반응하여 완성되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사람의 통제 범위 밖에 있는 힘이 작용하여 맛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는 뜻이다.

택일된 날에 된장을 담그고 난 뒤에는 항아리에 [금줄](/topic/금줄)을 두른다. 왼새끼에 숯, [한지](/topic/한지) 쪽, 붉은 [고추](/topic/고추)를 꽂아서 장독 주둥이에 감아두었다. 그리고 불씨가 살아있는 숯을 장독 안에 집어넣기도 하고 붉은 고추와 [대추](/topic/대추)도 함께 넣었다. [버선](/topic/버선)본을 장독의 배 부근에 거꾸로 붙여두기도 했다. 거꾸로 붙이는 것은 장독 주둥이로 들어가는 불순한 요소와 잡된 벌레 등으로 인한 부정(不淨)을 발로 짓밟겠다는 강력한 주술적 의미이다. 한편 긍정적인 염원을 표시하여 장맛이 좋기를 바라기도 하였다.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명재 윤증(1629~1714) 고택에서는 장독에 버선본을 거꾸로 붙이고 장이 꿀처럼 달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꿀독’이라고 외쳤다는 것이 그 예이다.

된장독에 친 금줄에서 왼새끼와 흰색 한지는 장을 신성시한다는 의미이고, 붉은 것은 부정을 물리치는 힘, 숯은 정화력을 각각 상징한다. 된장 맛을 결정하는 데는 일정하게 초자연적인 힘이 작용한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장독에 금줄을 둘러서 초자연적인 힘 가운데 부정적인 힘을 물리치려고 했다. 담근 된장이 어느 정도 숙성되어 된장에서 간장을 분리하면 금줄을 걷어 낸다. 한편 된장을 담글 때 한지를 입에 물고 진행하는 금기(禁忌)와 같은 것이 있다. 이는 혹시라도 튀는 침을 막아서 된장을 탈 없이 정상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된장 맛은 담그고 관리하는 솜씨에 따라서 집집마다 달랐다. 이로 인해 한 집의 된장 맛을 그 집의 여타 일까지 연관지어(확대해서) 보려는 태도와 인식이 형성되고 전승되어 왔다. “장이 단 집에 복이 많다.”, “며느리가 잘 들어오면 장맛도 좋아진다.”, “되는 집안에는 장맛도 달다.”, “장 맛 보고 딸 준다.”, “장맛이 변하면 집안에 흉한 일이 생긴다.”는 언표들이 그것이다. 이들 표현은 기본적으로 장맛을 [가지](/topic/가지)고 그 집의 가풍, 인심, 흥망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고 여기는 가치관의 발로이다.

된장을 담글 때 주부들은 향후 탈 없이 잘 익도록 신앙과도 같은 정성을 쏟았다. 이러한 된장과 더불어 장에 대한 주부들의 정성과 염원은 [장독대](/topic/장독대)를 집안의 성역으로 여기고 장과 장독을 관장하는 신을 받들어 모시는 신앙을 형성하게 되었다. 호남지방의 ‘철륭’ 또는 ‘철륭 할마이’와 중․남부지방의 ‘칠성’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영남지방에서는 ‘이월 할매’라고 하는 여성 신격이 장독대로 내려와서 머물다가 올라가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들 신앙은 좁게는 장․장독과 관련되지만 넓게는 주부들이 담당하는 가족의 생명보전에 관한 주요 가사활동을 관장하는 신에 대한 믿음으로 이해된다.

한편 된장 그 자체는 전국적으로 전승되던 ‘[객귀물리기](/topic/객귀물리기)’, ‘뜬귀신물리기’, ‘[해물리기](/topic/해물리기)’, ‘푸레박질’ [거리제](/topic/거리제), 소삼신 의례, ‘동토잡이’, ‘액막이’,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객귀물리기 의례에는 된장이 전국적으로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객귀물리기는 저승에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고 떠돌아다니는 귀신(객귀)을 물리치는 의례이다. 지역에 따라서 ‘객구 물리기’, ‘뜬귀신 물리기’, ‘잔밥 먹이기’, ‘물밥 천신’ 등으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남의 집 음식을 먹고 이유 없이 아플 때 객귀에 걸렸다고 생각하고 객귀물리기를 했다.
내용한번 담근 된장은 기본적으로 1년 동안 먹어야 하는 대표적인 부식이어서 된장이 정상적으로 잘 숙성되도록 하는 의례나 금기(禁忌)가 필요하였다. 가장 먼저 필요로 한 주술적 내용은 된장 담그는 날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된장은 대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부터 삼월삼짇날까지의 기간에 어떤 날을 정해서 담그는 것이 선호되었다. 전통적으로 일진에 [말날](/topic/말날), [돼지날](/topic/돼지날), [닭날](/topic/닭날) 등과 같은 덩치가 크고 털이 있는 [동물](/topic/동물)의 날인 [유모일](/topic/유모일)(有毛日)이 선호되는 현상이 발견된다. 말은 된장이 ‘맑아져라’는 뜻, 닭은 된장이 ‘달아져라’는 뜻, 돼지날은 돼지의 “꿀꿀”거리는 소리에서 된장이 ‘꿀처럼 달아라’는 뜻을 담은 언어적 [유감주술](/topic/유감주술)이다. 그러나 된장 담그는 날을 택일할 때는 ‘언제 담근 장맛이 좋다’라는 개인의 경험이 중요했다. 이 때문에 어떤 사람은 된장을 [용날](/topic/용날)이나 삼짇날에 담가야 가장 맛이 있다고 하는 것이 그런 예이다. 중요한 것은 어떤 날에 담그면 맛이 있다는 뭔가의 기준이 있다는 점이다. 이는 된장이 기온, 바람, 습도 등과 같은 자연조건에 반응하여 완성되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사람의 통제 범위 밖에 있는 힘이 작용하여 맛이 결정된다고 생각했다는 뜻이다.

택일된 날에 된장을 담그고 난 뒤에는 항아리에 [금줄](/topic/금줄)을 두른다. 왼새끼에 숯, [한지](/topic/한지) 쪽, 붉은 [고추](/topic/고추)를 꽂아서 장독 주둥이에 감아두었다. 그리고 불씨가 살아있는 숯을 장독 안에 집어넣기도 하고 붉은 고추와 [대추](/topic/대추)도 함께 넣었다. [버선](/topic/버선)본을 장독의 배 부근에 거꾸로 붙여두기도 했다. 거꾸로 붙이는 것은 장독 주둥이로 들어가는 불순한 요소와 잡된 벌레 등으로 인한 부정(不淨)을 발로 짓밟겠다는 강력한 주술적 의미이다. 한편 긍정적인 염원을 표시하여 장맛이 좋기를 바라기도 하였다.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명재 윤증(1629~1714) 고택에서는 장독에 버선본을 거꾸로 붙이고 장이 꿀처럼 달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꿀독’이라고 외쳤다는 것이 그 예이다.

된장독에 친 금줄에서 왼새끼와 흰색 한지는 장을 신성시한다는 의미이고, 붉은 것은 부정을 물리치는 힘, 숯은 정화력을 각각 상징한다. 된장 맛을 결정하는 데는 일정하게 초자연적인 힘이 작용한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장독에 금줄을 둘러서 초자연적인 힘 가운데 부정적인 힘을 물리치려고 했다. 담근 된장이 어느 정도 숙성되어 된장에서 간장을 분리하면 금줄을 걷어 낸다. 한편 된장을 담글 때 한지를 입에 물고 진행하는 금기(禁忌)와 같은 것이 있다. 이는 혹시라도 튀는 침을 막아서 된장을 탈 없이 정상적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된장 맛은 담그고 관리하는 솜씨에 따라서 집집마다 달랐다. 이로 인해 한 집의 된장 맛을 그 집의 여타 일까지 연관지어(확대해서) 보려는 태도와 인식이 형성되고 전승되어 왔다. “장이 단 집에 복이 많다.”, “며느리가 잘 들어오면 장맛도 좋아진다.”, “되는 집안에는 장맛도 달다.”, “장 맛 보고 딸 준다.”, “장맛이 변하면 집안에 흉한 일이 생긴다.”는 언표들이 그것이다. 이들 표현은 기본적으로 장맛을 [가지](/topic/가지)고 그 집의 가풍, 인심, 흥망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고 여기는 가치관의 발로이다.

된장을 담글 때 주부들은 향후 탈 없이 잘 익도록 신앙과도 같은 정성을 쏟았다. 이러한 된장과 더불어 장에 대한 주부들의 정성과 염원은 [장독대](/topic/장독대)를 집안의 성역으로 여기고 장과 장독을 관장하는 신을 받들어 모시는 신앙을 형성하게 되었다. 호남지방의 ‘철륭’ 또는 ‘철륭 할마이’와 중․남부지방의 ‘칠성’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영남지방에서는 ‘이월 할매’라고 하는 여성 신격이 장독대로 내려와서 머물다가 올라가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들 신앙은 좁게는 장․장독과 관련되지만 넓게는 주부들이 담당하는 가족의 생명보전에 관한 주요 가사활동을 관장하는 신에 대한 믿음으로 이해된다.

한편 된장 그 자체는 전국적으로 전승되던 ‘[객귀물리기](/topic/객귀물리기)’, ‘뜬귀신물리기’, ‘[해물리기](/topic/해물리기)’, ‘푸레박질’ [거리제](/topic/거리제), 소삼신 의례, ‘동토잡이’, ‘액막이’,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객귀물리기 의례에는 된장이 전국적으로 광범하게 사용되었다. 객귀물리기는 저승에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고 떠돌아다니는 귀신(객귀)을 물리치는 의례이다. 지역에 따라서 ‘객구 물리기’, ‘뜬귀신 물리기’, ‘잔밥 먹이기’, ‘물밥 천신’ 등으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남의 집 음식을 먹고 이유 없이 아플 때 객귀에 걸렸다고 생각하고 객귀물리기를 했다.
역사된장은 콩의 원산지인 고구려에서 발명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삼국시대에는 일반적으로 된장을 먹은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신라 신문왕이 혼인할 때(683년 2월) 납채품(納采品) 가운데 ‘장시(醬豉)’가 보인다. 장시는 된장에 해당하며 필수적인 부식이자 기본적인 일상북식이면서 또한 의례용 물품인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사(高麗史)』에는 982년(성종 원년)에 최승로(崔承老)의 건의문과 1049년(문종 3) 개성에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을 구휼하는 데 된장을 배급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된장은 일반인이 평소에 먹은 음식이고, 계층과 상관없이 광범하게 먹던 음식임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도 된장은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게 쓰였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된장이 수없이 등장한다. 기록에 따르면 된장은 하사품, 구휼품, 야인(野人)들의 요구품이자 지급품, 귀화인과 유민(流民)의 정착 지원물품, 군사들의 기본 부식 등으로 쓰였다. 이로 보아 된장은 일반인들이 일상적으로 널리 먹은 부식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여러 조리서에는 된장의 종류와 담그는 법이 등장한다. 『[산림경제](/topic/산림경제)(山林經濟)』 권2 ‘치선(治膳)’조에는 여러 종류의 장 담그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신앙적 측면에서 거론할 만한 것은 장 담그는 데 길일(吉日)과 꺼리는 날이 있다는 기록이다. “장 담그는 길일은 정묘일(丁卯日)이니 신일(辛日)은 꺼린다. 정월 우수(雨水)와 시월 입동(立冬)에 장을 담근다. 수일(水日)에 장을 담그면 가시[蛆]가 생긴다. 삼복 안 황도일(黃道日)에 콩을 담가 황도일에 쪄서 섞으면 벌레가 없다. 아낙네가 보는 것을 꺼린다. 삼복중에 장을 담그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해돋기 전과 해 진 뒤에 장을 담그면 파리가 안 꾄다. 그믐날 담 아래에서 얼굴을 북으로 돌리고 입 다문 채 말없이 장을 담그면 벌레가 안 꾄다. 초오(草烏:바곳 뿌리) 6~7개를 4푼쯤 잘라서 독에 드리우면 가시가 저절로 죽고 다시는 영영 생기지 않는다.” 사실 여부를 떠나서 이런 내용은 일정하게 음양사상이나 주술성을 깔고 있다. 이는 그만큼 된장을 담그는 데 정성을 들였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19세기 정학유의 『[농가월령가](/topic/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삼월령과 유월령에는 된장을 잘 담가서 맛을 잃지 않도록 살피고 정하게 관리하라고 하였다. 『산림경제』나 『농가월령가』의 기록은 된장이 얼마나 소중한 부식이었는지를 잘 말해준다.
역사된장은 콩의 원산지인 고구려에서 발명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삼국시대에는 일반적으로 된장을 먹은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신라 신문왕이 혼인할 때(683년 2월) 납채품(納采品) 가운데 ‘장시(醬豉)’가 보인다. 장시는 된장에 해당하며 필수적인 부식이자 기본적인 일상북식이면서 또한 의례용 물품인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사(高麗史)』에는 982년(성종 원년)에 최승로(崔承老)의 건의문과 1049년(문종 3) 개성에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을 구휼하는 데 된장을 배급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된장은 일반인이 평소에 먹은 음식이고, 계층과 상관없이 광범하게 먹던 음식임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도 된장은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폭넓게 쓰였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는 된장이 수없이 등장한다. 기록에 따르면 된장은 하사품, 구휼품, 야인(野人)들의 요구품이자 지급품, 귀화인과 유민(流民)의 정착 지원물품, 군사들의 기본 부식 등으로 쓰였다. 이로 보아 된장은 일반인들이 일상적으로 널리 먹은 부식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여러 조리서에는 된장의 종류와 담그는 법이 등장한다. 『[산림경제](/topic/산림경제)(山林經濟)』 권2 ‘치선(治膳)’조에는 여러 종류의 장 담그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신앙적 측면에서 거론할 만한 것은 장 담그는 데 길일(吉日)과 꺼리는 날이 있다는 기록이다. “장 담그는 길일은 정묘일(丁卯日)이니 신일(辛日)은 꺼린다. 정월 우수(雨水)와 시월 입동(立冬)에 장을 담근다. 수일(水日)에 장을 담그면 가시[蛆]가 생긴다. 삼복 안 황도일(黃道日)에 콩을 담가 황도일에 쪄서 섞으면 벌레가 없다. 아낙네가 보는 것을 꺼린다. 삼복중에 장을 담그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해돋기 전과 해 진 뒤에 장을 담그면 파리가 안 꾄다. 그믐날 담 아래에서 얼굴을 북으로 돌리고 입 다문 채 말없이 장을 담그면 벌레가 안 꾄다. 초오(草烏:바곳 뿌리) 6~7개를 4푼쯤 잘라서 독에 드리우면 가시가 저절로 죽고 다시는 영영 생기지 않는다.” 사실 여부를 떠나서 이런 내용은 일정하게 음양사상이나 주술성을 깔고 있다. 이는 그만큼 된장을 담그는 데 정성을 들였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19세기 정학유의 『[농가월령가](/topic/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삼월령과 유월령에는 된장을 잘 담가서 맛을 잃지 않도록 살피고 정하게 관리하라고 하였다. 『산림경제』나 『농가월령가』의 기록은 된장이 얼마나 소중한 부식이었는지를 잘 말해준다.
지역사례경북 안동시 임하면 신덕2리 [마을](/topic/마을)에서는 남의 집 음식을 얻어먹은 가족이 머리가 아프고 식욕이 없고 속이 매스꺼우면 객구가 들린 것이 아닌지 의심한다. 전승되는 몇 [가지](/topic/가지) 방법으로 객구가 들린 것으로 진단되면 그날 반드시 캄캄한 저녁에 ‘객구밥’을 준비하여 객귀(객구)물리기를 한다. 솥에 물을 부어서 된장을 풀어 넣고 밥과 김치, 나물을 조금 넣고 고춧가루를 풀어 죽이나 국처럼 끓인다. 이것을 바가지에 담아서 식칼과 함께 들고 누워있는 환자 방에 들어가 칼로 바가지를 치기도 하면서 객구를 위협하는 말을 한다. “쒜! 쒜! 객구야 들어봐라, 김가 귀신아, 권가 귀신아, 최가 귀신아! 저 건너 ○○부잣집에 가서 얻어먹지 왜 여기 와서 이러냐? 한 바가지 거룩하게 차려줄 테니 먹고 썩 물러가거라”하고 위협적으로 말하면서 방안에서 식칼을 휘두른다. 이어서 환자에게 생콩 세 알을 씹어 바가지에 뱉으라 하고 식칼로 바가지에 담긴 객구밥물을 찍어서 환자 입에 흘려 넣는다. 식칼로 환자의 머리카락을 잘라 넣듯이 세 번 훑어 넣고는 환자에게 객구바가지에 침을 세 번 뱉게 한다. 그런 뒤에 환자가 누워 있는 방의 [문고리](/topic/문고리)에 가서 바가지에 담긴 국물을 식칼로 찍어서 문고리를 씻어 넣고는 [마당](/topic/마당)쪽 방문을 확 열어젖히고 식칼을 마당으로 집어던진다. 이때 식칼이 [대문](/topic/대문)쪽으로 향하면 객구가 나갔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식칼을 방안으로 들고 와서 또 한번 위협적으로 칼을 휘두르면서 “객구야 썩! 물러가라”고 외친 다음 마당으로 식칼 던지기를 한다. 식칼 던지기는 대문쪽으로 칼끝이 향할 때까지 한다. 대문 쪽으로 칼끝이 향하면 대문 밖에 나가 객구밥을 확 뿌려서 쏟아버리고는 식칼로 열십자를 긋고 그 위에 바가지를 엎어 둔다. 이튿날 아침 일찍 나가서 식칼과 바가지를 들고 들어온다. 이렇게 하면 객구가 물러갔다고 여겼다. 이러한 방식은 다른 지역에서도 일반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이월영등날에도 된장찌개를 끓여서 한 상을 차려 영등할머니를 대접하기도 하였다. 구미시 고아읍 원호1리에서는 음력 이월초하룻날 영등할마이가 인간세상으로 내려오면 영등할마이를 대접한다. 이때 밥, 청어, 된장찌개, 구운 김, 고사리, 도라지, 콩나물 등과 함께 정지에 차린다.

전국적으로 [거리제](/topic/거리제)에서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 서원마을의 거리제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세 갈림길에서 지낸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면 정성을 들이는 사람으로 도로변이 붐빈다. 제를 지내려면 실과, 명태, 나물, 돈, 시루 등을 마련하고 별도로 짚 한 단 정도를 가지고 가서 고사를 지내는 곳 옆에 불을 피워 놓는다. 먼저 노중님네 소지를 올리고, 이어 식구소지를 올린다. 소지를 모두 올린 뒤 바가지에 된장, 콩, 물을 섞고 [제물](/topic/제물)도 조금씩 떼어 넣는다. 바가지 안의 제물을 숟가락으로 저으면서 “못다 먹었다는 말 말고 거룩하게 다 먹어라.”라고 한다. 고사 축원이 끝나면 바가지에 담긴 것을 거리에 휙 내버린다.

집안에 물건을 잘못 들이거나 흙일을 해서 나는 탈을 동토(動土)라 한다. 동토잡이를 할 때에도 된장이 널리 사용되었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오동동 마을에서는 매운 [고추](/topic/고추)를 태워서 매운 냄새가 나면 동토가 나지 않은 것이고, 매운 냄새가 나지 않으면 동토가 난 것으로 믿었다. 동토가 난 것으로 진단되면 각성바지 세 집을 찾아가서 구정물(쌀뜨물)을 얻어온다. 거기에 된장, 소금, 고춧가루를 넣고 팔팔 끓여서 이것을 동토가 난 곳에 붓고 두드려가면서 주문을 외면 동토를 쉽게 잡을 수 있다. 마을마다 주문을 잘 외는 사람에게 부탁한다.

막연한 액막이 주술에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전남 보성군 노동면 학동리 갑동마을의 액막이는 운수가 나쁜 사람에게 액땜을 했다. 방법은 그 사람을 눕히고 소금과 된장, 세 가지 잡곡을 머리 위에서 세 번 돌린 뒤 그것을 여러 갈래의 길에 가져가서 버린다. 여수시 화양면 용주리 고내마을 종교직능자의 경우 측신에게 잘못하여 몸이 아파서 문점을 하러 왔다. 그때 ‘맥이’ 방법으로 변소에 도끼를 놓고 그 위에 동전을 올려놓은 후 밥 세 접시와 고춧가루, 소금, 된장 쑥 등을 넣은 접시 세 개를 따로 마련하여 낫 궁뎅이로 치면서 시끄럽게 떠들면서 떼었다.

제주도 제주시 아라1동에서는 새집을 지어서 하는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에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성주굿](/topic/성주굿)은 집을 지어서 [이사](/topic/이사)를 들어갔거나 살다가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생겼을 경우 하게 된다.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생겨서 성주를 모시게 된 경우 성주를 모시면 모두 평안해진다고 한다. 성주굿을 할 때 도시락, 된장, 미역, 소금 등을 싸서 챙겨놓은 다음 성주풀이를 할 때 그것을 문 밖에 내어 놓는다.

그런가하면 어미소가 새끼를 괴롭히면 소 삼신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소삼신을 달래는 주술적 의례를 할 때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 서원마을에서는 어미 소가 새끼소에게 젖을 주지 않고 발로 차기도 하면 [외양간](/topic/외양간) 앞에 밥, 미역국, 된장을 놓고 함지박에 물을 담아 그 안에 바가지를 엎어놓은 다음 [[복숭아](/topic/복숭아)나무](/topic/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다가 바가지를 두드리면서 경문을 읽었다.

이처럼 다양한 민간의례에 된장이 사용된 까닭은 된장이 모든 사람에게 두루 식용된 기본적이고 평범한 부식이라는 데 있다. 제주도의 성주를 제외하면 객귀, 액운, 동토, 영등, 측신, 소 삼신, 거리신 등은 모두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 또는 이들을 추방하거나 위로하기 위한 의례에서는 평범한 부식인 된장을 이용한 것이다.
참고문헌풍속가사집-한양가․[농가월령가](/topic/농가월령가) (이석래, 신구문화사, 1974)
[금줄](/topic/금줄)의 의미와 기능 (배영동, 비교민속학 5, 비교민속학회, 1989)
되는 집안은 장맛도 달다 (김명자, 열린문화, 1994)
된장 문화의 변법 자강-발효음식 (주강현, 중등우리교육 82, 1996)
우리문화가 온 길 (김광언, 민속원, 1998)
전통 장류의 변천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윤덕인, 관대논문집 28, 관동대학교, 2000)
된장을 통해 본 민족음식의 전통과 변화 (배영동, 한국민속학 35, 한국민속학회, 2002)
대두 재배의 기원론과 한반도 (최덕경, 중국사연구 31, 중국사학회, 2004)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음식풍속 (주영하, 고구려연구 17, 고구려연구회, 2004)
전통적 된장 담그기의 전승지식과 전승양상 (안일국,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지역사례경북 안동시 임하면 신덕2리 [마을](/topic/마을)에서는 남의 집 음식을 얻어먹은 가족이 머리가 아프고 식욕이 없고 속이 매스꺼우면 객구가 들린 것이 아닌지 의심한다. 전승되는 몇 [가지](/topic/가지) 방법으로 객구가 들린 것으로 진단되면 그날 반드시 캄캄한 저녁에 ‘객구밥’을 준비하여 객귀(객구)물리기를 한다. 솥에 물을 부어서 된장을 풀어 넣고 밥과 김치, 나물을 조금 넣고 고춧가루를 풀어 죽이나 국처럼 끓인다. 이것을 바가지에 담아서 식칼과 함께 들고 누워있는 환자 방에 들어가 칼로 바가지를 치기도 하면서 객구를 위협하는 말을 한다. “쒜! 쒜! 객구야 들어봐라, 김가 귀신아, 권가 귀신아, 최가 귀신아! 저 건너 ○○부잣집에 가서 얻어먹지 왜 여기 와서 이러냐? 한 바가지 거룩하게 차려줄 테니 먹고 썩 물러가거라”하고 위협적으로 말하면서 방안에서 식칼을 휘두른다. 이어서 환자에게 생콩 세 알을 씹어 바가지에 뱉으라 하고 식칼로 바가지에 담긴 객구밥물을 찍어서 환자 입에 흘려 넣는다. 식칼로 환자의 머리카락을 잘라 넣듯이 세 번 훑어 넣고는 환자에게 객구바가지에 침을 세 번 뱉게 한다. 그런 뒤에 환자가 누워 있는 방의 [문고리](/topic/문고리)에 가서 바가지에 담긴 국물을 식칼로 찍어서 문고리를 씻어 넣고는 [마당](/topic/마당)쪽 방문을 확 열어젖히고 식칼을 마당으로 집어던진다. 이때 식칼이 [대문](/topic/대문)쪽으로 향하면 객구가 나갔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식칼을 방안으로 들고 와서 또 한번 위협적으로 칼을 휘두르면서 “객구야 썩! 물러가라”고 외친 다음 마당으로 식칼 던지기를 한다. 식칼 던지기는 대문쪽으로 칼끝이 향할 때까지 한다. 대문 쪽으로 칼끝이 향하면 대문 밖에 나가 객구밥을 확 뿌려서 쏟아버리고는 식칼로 열십자를 긋고 그 위에 바가지를 엎어 둔다. 이튿날 아침 일찍 나가서 식칼과 바가지를 들고 들어온다. 이렇게 하면 객구가 물러갔다고 여겼다. 이러한 방식은 다른 지역에서도 일반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이월영등날에도 된장찌개를 끓여서 한 상을 차려 영등할머니를 대접하기도 하였다. 구미시 고아읍 원호1리에서는 음력 이월초하룻날 영등할마이가 인간세상으로 내려오면 영등할마이를 대접한다. 이때 밥, 청어, 된장찌개, 구운 김, 고사리, 도라지, 콩나물 등과 함께 정지에 차린다.

전국적으로 [거리제](/topic/거리제)에서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 서원마을의 거리제는 사람이 많이 다니는 세 갈림길에서 지낸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면 정성을 들이는 사람으로 도로변이 붐빈다. 제를 지내려면 실과, 명태, 나물, 돈, 시루 등을 마련하고 별도로 짚 한 단 정도를 가지고 가서 고사를 지내는 곳 옆에 불을 피워 놓는다. 먼저 노중님네 소지를 올리고, 이어 식구소지를 올린다. 소지를 모두 올린 뒤 바가지에 된장, 콩, 물을 섞고 [제물](/topic/제물)도 조금씩 떼어 넣는다. 바가지 안의 제물을 숟가락으로 저으면서 “못다 먹었다는 말 말고 거룩하게 다 먹어라.”라고 한다. 고사 축원이 끝나면 바가지에 담긴 것을 거리에 휙 내버린다.

집안에 물건을 잘못 들이거나 흙일을 해서 나는 탈을 동토(動土)라 한다. 동토잡이를 할 때에도 된장이 널리 사용되었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오동동 마을에서는 매운 [고추](/topic/고추)를 태워서 매운 냄새가 나면 동토가 나지 않은 것이고, 매운 냄새가 나지 않으면 동토가 난 것으로 믿었다. 동토가 난 것으로 진단되면 각성바지 세 집을 찾아가서 구정물(쌀뜨물)을 얻어온다. 거기에 된장, 소금, 고춧가루를 넣고 팔팔 끓여서 이것을 동토가 난 곳에 붓고 두드려가면서 주문을 외면 동토를 쉽게 잡을 수 있다. 마을마다 주문을 잘 외는 사람에게 부탁한다.

막연한 액막이 주술에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전남 보성군 노동면 학동리 갑동마을의 액막이는 운수가 나쁜 사람에게 액땜을 했다. 방법은 그 사람을 눕히고 소금과 된장, 세 가지 잡곡을 머리 위에서 세 번 돌린 뒤 그것을 여러 갈래의 길에 가져가서 버린다. 여수시 화양면 용주리 고내마을 종교직능자의 경우 측신에게 잘못하여 몸이 아파서 문점을 하러 왔다. 그때 ‘맥이’ 방법으로 변소에 도끼를 놓고 그 위에 동전을 올려놓은 후 밥 세 접시와 고춧가루, 소금, 된장 쑥 등을 넣은 접시 세 개를 따로 마련하여 낫 궁뎅이로 치면서 시끄럽게 떠들면서 떼었다.

제주도 제주시 아라1동에서는 새집을 지어서 하는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에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성주굿](/topic/성주굿)은 집을 지어서 [이사](/topic/이사)를 들어갔거나 살다가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생겼을 경우 하게 된다.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생겨서 성주를 모시게 된 경우 성주를 모시면 모두 평안해진다고 한다. 성주굿을 할 때 도시락, 된장, 미역, 소금 등을 싸서 챙겨놓은 다음 성주풀이를 할 때 그것을 문 밖에 내어 놓는다.

그런가하면 어미소가 새끼를 괴롭히면 소 삼신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소삼신을 달래는 주술적 의례를 할 때도 된장이 사용되었다.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 서원마을에서는 어미 소가 새끼소에게 젖을 주지 않고 발로 차기도 하면 [외양간](/topic/외양간) 앞에 밥, 미역국, 된장을 놓고 함지박에 물을 담아 그 안에 바가지를 엎어놓은 다음 [[복숭아](/topic/복숭아)나무](/topic/복숭아나무) 가지를 꺾어다가 바가지를 두드리면서 경문을 읽었다.

이처럼 다양한 민간의례에 된장이 사용된 까닭은 된장이 모든 사람에게 두루 식용된 기본적이고 평범한 부식이라는 데 있다. 제주도의 성주를 제외하면 객귀, 액운, 동토, 영등, 측신, 소 삼신, 거리신 등은 모두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 또는 이들을 추방하거나 위로하기 위한 의례에서는 평범한 부식인 된장을 이용한 것이다.
참고문헌풍속가사집-한양가․[농가월령가](/topic/농가월령가) (이석래, 신구문화사, 1974)
[금줄](/topic/금줄)의 의미와 기능 (배영동, 비교민속학 5, 비교민속학회, 1989)
되는 집안은 장맛도 달다 (김명자, 열린문화, 1994)
된장 문화의 변법 자강-발효음식 (주강현, 중등우리교육 82, 1996)
우리문화가 온 길 (김광언, 민속원, 1998)
전통 장류의 변천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윤덕인, 관대논문집 28, 관동대학교, 2000)
된장을 통해 본 민족음식의 전통과 변화 (배영동, 한국민속학 35, 한국민속학회, 2002)
대두 재배의 기원론과 한반도 (최덕경, 중국사연구 31, 중국사학회, 2004)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음식풍속 (주영하, 고구려연구 17, 고구려연구회, 2004)
전통적 된장 담그기의 전승지식과 전승양상 (안일국,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된장
13342
된장
된장
13342
된장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