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2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대신상
    615 2023.02.27
    서울굿에서 [만신](/topic/만신)의 조상격인 대신에게 올리는 굿상의 하나. 대신시루라고 해서 흰시루를 올리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진적굿](/topic/진적굿)에서 만신과 전악 등만 둘러앉아서 먹는 국수장국을 놓아 둔 상을 가리키기도 함.
  • 도깨비제
    614 2023.02.27
    화재(火災)나 돌림병의 원인을 도깨비로 여기고 이를 물리치기 위해 지내는 동제. 어촌에서는 도깨비가 고기를 많이 잡게 해 주는 풍어신적 존재로 인식되어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제의 방식에 따라 [도깨비굿](/topic/도깨비굿) 또는 [도깨비고사](/topic/도깨비고사)라고도 일컫는다.
  • 돈전풀이
    742 2023.02.27
    함경도 함흥에 전승되는 돈전[錢]의 내력에 관한 본풀이.
  • 동제홀기
    614 2023.02.27
    동제를 지낼 때 제사를 지내는 방법과 절차를 일목요연하게 나열한 식순.
  • 된장
    549 2023.02.27
    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 마구간고사
    485 2023.02.27
    시월 말날(戊午日)에 마구간에 키우는 마소[馬牛]의 안녕과 번창을 기원하는 [고사](/topic/고사). ‘마제(馬祭)’라고도 한다. 예부터 마소를 소중하게 여겨 팥떡 등을 해서 마구간 앞에 놓고 마소의 무병과 건강을 비는 풍속이다. 마구간의 신을 마보신, 우마[장군](/topic/장군), 우마[대마](/topic/대마), 마부대감, [마대장군](/topic/마대장군) 등으로도 부른다. 신체는 없다.
  • 만신
    489 2023.02.27
    무녀를 높여 일컫는 호칭 중 하나.
  • 멩감제
    584 2023.02.27
    새해를 맞이하여 해당되는 집안에서 개별적으로 멩감[冥官]을 청하여 모시고 한 해 동안의 무사 안녕과 [생업](/topic/생업)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 흔히 ‘멩감’, ‘멩감코’라고 한다. 수렵이나 목축을 하는 집안에서 행하는 멩감은 ‘드릇멩감’, ‘[산신멩감](/topic/산신멩감)’이라고 한다. ‘드르’는 들[野], ‘산신’은 수렵・목축의 신, ‘코’는 [고사](/topic/고사)를 각각 의미한다.
  • 무경
    500 2023.02.27
    앉은굿에서 구송되는 한문어투의 무속 경전.
  • 문전본풀이
    617 2023.02.27
    제주도 무속에서 구송되는 것으로, 집안의 여러 공간, 즉 올레주목정쌀과 동서남북중앙 및 앞문, 뒷문, 그리고 조왕 및 측간을 지키는 신들에 관한 본풀이. 전형적인 [계모담](/topic/계모담)이다. 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 제차명(祭次名)이라기보다는 문전신에 관한 본풀이, 즉 신화라 할 수 있다. 는 큰굿의 일부로도 행해지고 있지만 집을 새로 짓거나 혹은 증축했을 때 행하는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와 같은 굿에서 구송되고 정초에 문전비념 같은 것을 할 때도 구송되고 있다.
  • 바라춤
    605 2023.02.27
    세존굿에 추는 춤
  • 방위가리기
    591 2023.02.27
    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 베포도업춤
    469 2023.02.27
    제주도굿의 초감제에서 천지창조와 모든 자연·인문사상의 발생 배치를 상징하는 춤.
  • 본향당굿
    648 2023.02.27
    제주도의 각 [마을](/topic/마을)에서 본향신에게 지내는 정기 당굿.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 수영사적공원 안에 있는 할매를 모신 신당. 민간신앙의 대상 신인 할머니의 신위를 모셨는데, 송씨할매당, 수영고당(姑堂), 산정머리할매당, 수영성내수호신당, 성주신당 등으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