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너리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굿에서 경남 지역의 문굿과 장수굿에서 사용되는 [장단](/topic/장단).
definition
동해안굿에서 경남 지역의 문굿과 장수굿에서 사용되는 [장단](/topic/장단).
mp3Cnt
0
wkorname
이영선
정의동해안굿에서 경남 지역의 문굿과 장수굿에서 사용되는 [장단](/topic/장단).
내용문굿에서는 푸너리를 치고 나서 정전을 밟은 다음 신칼을 들고 원앙중, [큰머리](/topic/큰머리)를 한 무녀, 갓 쓰고 [활옷](/topic/활옷)을 입은 양중, 종이수술을 단 막대기를 든 무녀들이 춤을 춘다. 이들은 숫자 8의 형태를 그리거나 [오방진](/topic/오방진)(五方陣)을 그리며 행진하다가 큰 원을 그린다. 그리고 그 안에 원 무녀와 양중이 들어가 장구를 들어 마주보며 춤을 춘다. 다시 큰 원을 그리며 무녀와 양중이 돌다가 원 무녀가 조너리와 대너리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춤을 춘다. 이를 ‘[밟이춤](/topic/밟이춤)’이라 한다. 리듬 형태는 민속악의 자진모리와 같다. 특이한 것은 징으로만 반주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징은 뒤를 막지 않고 열어서 잔가락을 많이 넣어 치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경상도와 전라도의 망자천도굿 비교 연구 (오진호, 2007)
경남ㆍ경북 동해안 [무악](/topic/무악) 비교 연구 (장휘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장휘주,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朝鮮總督府朝鮮の巫覡村山智順1937
집문당한국무속연구김태곤1981
아세아문화사새로 쓴 한국무속최길성1999
박이정굿의 현장에서 본 씻김굿 무가이경엽2000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