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왕메기

한국무속신앙사전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 주민들이 동제당인 천왕당에서 옛날부터 신(神)으로 받들어 온 기천왕, 중천왕, 말천왕에게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해 오는 지신풀이. 1989년 6월 15일에 ‘천왕메기’라는 명칭으로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 주민들이 동제당인 천왕당에서 옛날부터 신(神)으로 받들어 온 기천왕, 중천왕, 말천왕에게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해 오는 지신풀이. 1989년 6월 15일에 ‘천왕메기’라는 명칭으로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이균옥
정의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 주민들이 동제당인 천왕당에서 옛날부터 신(神)으로 받들어 온 기천왕, 중천왕, 말천왕에게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해 오는 지신풀이. 1989년 6월 15일에 ‘천왕메기’라는 명칭으로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정의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 주민들이 동제당인 천왕당에서 옛날부터 신(神)으로 받들어 온 기천왕, 중천왕, 말천왕에게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해 오는 지신풀이. 1989년 6월 15일에 ‘천왕메기’라는 명칭으로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내용보통의 지신밟기가 가가호호에서 이루어지는데 천왕메기는 [마을](/topic/마을)굿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천왕메기는 현재 질굿-문굿-대내림(천왕제)-[고사](/topic/고사) [독축](/topic/독축)-천왕메기(지신풀이)-천왕굿-천왕놀이-질굿(마을굿)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질굿․대내림․천왕굿․천왕놀이는 [농악](/topic/농악), 문굿․천왕메기는 지신풀이, 고사 독축은 유교식 제의이다. 현재 천왕메기의 연행자는 약 50명이다. 이들은 축관, 징, 북, 장구, [기수](/topic/기수), [소고](/topic/소고), 대감, [각시](/topic/각시), 포수, [대잡이](/topic/대잡이), [태평소](/topic/태평소) 등을 담당하고 있다.

천왕메기의 연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질굿 : 마을 풍물패가 서낭굿을 모시는 천왕당 문 앞까지 이동하면서 치는 굿이다. 이동하는 과정인 동시에 서낭굿 시작을 알린다.


2. 문굿 : 천왕당 문 앞에 도착하면 짧게 흥을 돋운 뒤 문굿 [사설](/topic/사설)로 모든 부정한 액과 살을 물리치고 한 해의 만복을 기원한다.


3. 대내림 : 천왕문 앞에서 이동하여 천왕당에 도착하면 대내림을 비는 천왕굿을 치면서 신이 내려 [제관](/topic/제관)과 독축관을 선정할 때까지 계속한다.


4. 천왕제 : 대내림 마지막에 당제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꿇어앉으면 제관이 의례를 행한다. 독축관이 축을 읽고 마지막 ‘상향(尙饗)’ 소리에 맞추어 [천왕메기굿](/topic/천왕메기굿)을 시작한다.


5. 천왕메기굿 :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산과 물과 나무 등 여러 신에게 예를 갖춰서 천왕에게 마을의 안녕을 비는 굿이다.


6. 천왕메기 지신풀이 : 마을의 모든 질병과 액을 쫓는 다양한 사설을 읊으면서 축원한다. 다음은 천왕메기 지신풀이의 사설이다.


[남산](/topic/남산)은 봉이요 주산은 당산이라
안강은 강이요 여산은 도읍이라
천간이 착하시니 하늘이 생기시고
지복이 착하시니 땅이 생기셨네
인호술상하니 사람이 생기셨네
그때 그 시절에 동방문이 열리시고
그때 그 시절에 서방문도 열리셨네
남방문도 열리시고 북방문도 열리셨네
오구제석 천왕문이 사방으로 열리셨네
함경도라 [백두산](/topic/백두산)은 두만강이 둘러있고
평안도라 [묘향산](/topic/묘향산)은 대동강이 둘러있고
황해도라 [구월산](/topic/구월산)은 임진강이 둘러있고
강원도라 금강산은 해금강이 둘러있고
경기도라 [삼각산](/topic/삼각산)은 한강수가 둘러있네
충청도라 계룡산은 공주금강 둘러있고
경상도라 태백산은 낙동강이 둘러있네
전라도라 지리산은 용림수가 둘러있네
제주도라 한라산은 사면바다 둘러있네
맥이맥이 성황님네 봉봉이 성황님네
앞도당산 천왕님네 뒷도당산 천왕님네
골골마다 천왕님네 자리 잡던 천왕님네
이승한생 고해 중에 지극성심 이 중생은
오늘날 이 자리에 맑은 정신 가다듬어
대자대비 신통자재 거룩하신 천왕님께
한 많은 모든 포부 애원발원 하나이다
해와 달이 천만산을 차별 없이 비추지만
그중에서 높은 산을 제일먼저 비추듯이
천왕님의 신력으로 중생차별 없아오니
지극정성 급한 중생 제일먼저 구원하사
천만소원 성취시켜 안락하게 하옵소서
이 마음의 어두움이 그믐밤과 같사오니
천왕님의 은덕으로 일월같이 비추소서
어느때나 밝고밝아 무명어둠 없게 하고
이 마음에 쌓인 죄가 엄동설한 눈같으니
봄바람 부슬비로 부드럽게 녹여지고
화화초초 선명하듯 화창하게 하옵소서
비나이다 비나이다 천왕님전 비나이다
이 고을 많은 인생 소원성취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천왕님전 비나이다
이 고을 많은인생 가뭄에서 벗어나고
모진질병 들어올 때 천왕님이 막아주소
천만[가지](/topic/가지) 성취시켜 안락하게 하옵소서


7. 천왕굿 : 지신풀이가 끝나면 천왕당 앞에서 또 흥겨운 굿판이 벌어진다. 천왕당 앞에서 행하는 굿이라 하여 천왕굿이라고 한다.


8. 천왕놀이 : 지신풀이와 천왕굿이 끝나면 천왕당을 돌아 기천왕과 말천왕 앞에서 한판 굿을 한다.


9. [판굿](/topic/판굿) : 삼천왕에 대한 굿이 끝나면 마을 사람들의 놀이인 판굿으로 이어진다. 이때는 풍물패의 놀이 순서에 따라 정적궁이-반직굿-엎어빼기-다드래기-[강강술래](/topic/강강술래)-허허굿-[오방진](/topic/오방진)-모둠굿-살풀이-개인놀이-덧배기로 진행된다.
참고문헌날뫼문화 (대구서구문화원, 2005)
내용보통의 지신밟기가 가가호호에서 이루어지는데 천왕메기는 [마을](/topic/마을)굿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천왕메기는 현재 질굿-문굿-대내림(천왕제)-[고사](/topic/고사) [독축](/topic/독축)-천왕메기(지신풀이)-천왕굿-천왕놀이-질굿(마을굿)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질굿․대내림․천왕굿․천왕놀이는 [농악](/topic/농악), 문굿․천왕메기는 지신풀이, 고사 독축은 유교식 제의이다. 현재 천왕메기의 연행자는 약 50명이다. 이들은 축관, 징, 북, 장구, [기수](/topic/기수), [소고](/topic/소고), 대감, [각시](/topic/각시), 포수, [대잡이](/topic/대잡이), [태평소](/topic/태평소) 등을 담당하고 있다.

천왕메기의 연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질굿 : 마을 풍물패가 서낭굿을 모시는 천왕당 문 앞까지 이동하면서 치는 굿이다. 이동하는 과정인 동시에 서낭굿 시작을 알린다.


2. 문굿 : 천왕당 문 앞에 도착하면 짧게 흥을 돋운 뒤 문굿 [사설](/topic/사설)로 모든 부정한 액과 살을 물리치고 한 해의 만복을 기원한다.


3. 대내림 : 천왕문 앞에서 이동하여 천왕당에 도착하면 대내림을 비는 천왕굿을 치면서 신이 내려 [제관](/topic/제관)과 독축관을 선정할 때까지 계속한다.


4. 천왕제 : 대내림 마지막에 당제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꿇어앉으면 제관이 의례를 행한다. 독축관이 축을 읽고 마지막 ‘상향(尙饗)’ 소리에 맞추어 [천왕메기굿](/topic/천왕메기굿)을 시작한다.


5. 천왕메기굿 :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산과 물과 나무 등 여러 신에게 예를 갖춰서 천왕에게 마을의 안녕을 비는 굿이다.


6. 천왕메기 지신풀이 : 마을의 모든 질병과 액을 쫓는 다양한 사설을 읊으면서 축원한다. 다음은 천왕메기 지신풀이의 사설이다.


[남산](/topic/남산)은 봉이요 주산은 당산이라
안강은 강이요 여산은 도읍이라
천간이 착하시니 하늘이 생기시고
지복이 착하시니 땅이 생기셨네
인호술상하니 사람이 생기셨네
그때 그 시절에 동방문이 열리시고
그때 그 시절에 서방문도 열리셨네
남방문도 열리시고 북방문도 열리셨네
오구제석 천왕문이 사방으로 열리셨네
함경도라 [백두산](/topic/백두산)은 두만강이 둘러있고
평안도라 [묘향산](/topic/묘향산)은 대동강이 둘러있고
황해도라 [구월산](/topic/구월산)은 임진강이 둘러있고
강원도라 금강산은 해금강이 둘러있고
경기도라 [삼각산](/topic/삼각산)은 한강수가 둘러있네
충청도라 계룡산은 공주금강 둘러있고
경상도라 태백산은 낙동강이 둘러있네
전라도라 지리산은 용림수가 둘러있네
제주도라 한라산은 사면바다 둘러있네
맥이맥이 성황님네 봉봉이 성황님네
앞도당산 천왕님네 뒷도당산 천왕님네
골골마다 천왕님네 자리 잡던 천왕님네
이승한생 고해 중에 지극성심 이 중생은
오늘날 이 자리에 맑은 정신 가다듬어
대자대비 신통자재 거룩하신 천왕님께
한 많은 모든 포부 애원발원 하나이다
해와 달이 천만산을 차별 없이 비추지만
그중에서 높은 산을 제일먼저 비추듯이
천왕님의 신력으로 중생차별 없아오니
지극정성 급한 중생 제일먼저 구원하사
천만소원 성취시켜 안락하게 하옵소서
이 마음의 어두움이 그믐밤과 같사오니
천왕님의 은덕으로 일월같이 비추소서
어느때나 밝고밝아 무명어둠 없게 하고
이 마음에 쌓인 죄가 엄동설한 눈같으니
봄바람 부슬비로 부드럽게 녹여지고
화화초초 선명하듯 화창하게 하옵소서
비나이다 비나이다 천왕님전 비나이다
이 고을 많은 인생 소원성취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천왕님전 비나이다
이 고을 많은인생 가뭄에서 벗어나고
모진질병 들어올 때 천왕님이 막아주소
천만[가지](/topic/가지) 성취시켜 안락하게 하옵소서


7. 천왕굿 : 지신풀이가 끝나면 천왕당 앞에서 또 흥겨운 굿판이 벌어진다. 천왕당 앞에서 행하는 굿이라 하여 천왕굿이라고 한다.


8. 천왕놀이 : 지신풀이와 천왕굿이 끝나면 천왕당을 돌아 기천왕과 말천왕 앞에서 한판 굿을 한다.


9. [판굿](/topic/판굿) : 삼천왕에 대한 굿이 끝나면 마을 사람들의 놀이인 판굿으로 이어진다. 이때는 풍물패의 놀이 순서에 따라 정적궁이-반직굿-엎어빼기-다드래기-[강강술래](/topic/강강술래)-허허굿-[오방진](/topic/오방진)-모둠굿-살풀이-개인놀이-덧배기로 진행된다.
참고문헌날뫼문화 (대구서구문화원, 2005)
역사‘기천왕’은 현재의 북비산 로터리 위쪽, 말천왕은 비산3동 삼성예식장 위치에 각각 있던 고목이었다. 중천왕은 비산1동 1[번지](/topic/번지) 자리에 있는 고목이다. 이곳 비산1동에는 천왕목(天王木)을 비롯해 [사당](/topic/사당)과 조산(造山)이 있었다. 사당 안의 벽에는 천왕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사당과 조산은 1960년대 이후 대구광역시의 도시개발 과정에 철거되어 자취를 감추었다.

구전에 따르면 약 400년 전인 1600년쯤 대구 지역에서 계속된 가뭄과 돌림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민심이 흉흉해졌을 때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중천왕 자리에 흙으로 당집을 짓고 치성을 드렸다고 한다. 그 후 주민들은 당집을 지날 때마다 거기에 돌을 하나씩 던졌다. 그 돌이 쌓여 조산이 되었고, 주민들은 여기에 돌을 던지는 것을 천왕에 대한 치성으로 생각하였다. 해마다 정월에 천왕제를 지냈지만 치성이 부족하면 또다시 가뭄이 들거나 질병에 시달렸다고 한다.

천왕메기는 ‘비산풍물굿’의 한 과정이었으나 1989년 6월에 ‘천왕메기’라는 이름으로, ‘비산풍물굿’은 [북놀이](/topic/북놀이)인 ‘[날뫼북춤](/topic/날뫼북춤)’이라는 명칭으로 각각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역사‘기천왕’은 현재의 북비산 로터리 위쪽, 말천왕은 비산3동 삼성예식장 위치에 각각 있던 고목이었다. 중천왕은 비산1동 1[번지](/topic/번지) 자리에 있는 고목이다. 이곳 비산1동에는 천왕목(天王木)을 비롯해 [사당](/topic/사당)과 조산(造山)이 있었다. 사당 안의 벽에는 천왕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사당과 조산은 1960년대 이후 대구광역시의 도시개발 과정에 철거되어 자취를 감추었다.

구전에 따르면 약 400년 전인 1600년쯤 대구 지역에서 계속된 가뭄과 돌림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민심이 흉흉해졌을 때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중천왕 자리에 흙으로 당집을 짓고 치성을 드렸다고 한다. 그 후 주민들은 당집을 지날 때마다 거기에 돌을 하나씩 던졌다. 그 돌이 쌓여 조산이 되었고, 주민들은 여기에 돌을 던지는 것을 천왕에 대한 치성으로 생각하였다. 해마다 정월에 천왕제를 지냈지만 치성이 부족하면 또다시 가뭄이 들거나 질병에 시달렸다고 한다.

천왕메기는 ‘비산풍물굿’의 한 과정이었으나 1989년 6월에 ‘천왕메기’라는 이름으로, ‘비산풍물굿’은 [북놀이](/topic/북놀이)인 ‘[날뫼북춤](/topic/날뫼북춤)’이라는 명칭으로 각각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제주도 잠수굿 연구-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강소전2005
국립문화재연구소굿과 음식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