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살번

한국무속신앙사전
불보살번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굿당의 좌우 측면에 불교의 신들의 명칭을 종이에 적어 붙여 놓은 번(幡).
definition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굿당의 좌우 측면에 불교의 신들의 명칭을 종이에 적어 붙여 놓은 번(幡).
mp3Cnt
0
wkorname
윤동환
정의[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굿당의 좌우 측면에 불교의 신들의 명칭을 종이에 적어 붙여 놓은 번(幡).
내용[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의 문답설법에서 무당은 굿당에 지화 또는 장식물을 설치하게 된 연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무당은 불보살(佛菩薩)들이 지화를 만들었으며, 망자나 가족들에게 의례에 반드시 필요한 도구임을 강조한다. 불보살번과 시왕번을 굿당의 좌우로 장식하는 것은 이들이 망자를 극락세계로 인도하고 망자를 심판하기 때문이다. 불보살은 지화를 만든 신격으로 저승으로 가는 망자를 호위하기도 한다. 오방번이나 인로왕번, 삼신번 등의 불보살번은 망자를 천도하는 오구굿에 반드시 필요한 무구(巫具)인 셈이다.

불교의 영산재(靈山齋)나 [예수재](/topic/예수재)(預修齋)에서도 나무청정법신비로자나불(南無淸淨法身毘盧舍那佛)·나무원만보신노사나불(南無圓滿報身盧舍那佛)·나무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南無千百億化身釋迦牟尼佛)이라고 적혀 있는 삼신번(三身幡)을 안치함으로써 불보께서 자리하신 곳임을 내외에 알리고 불보님의 위덕을 나타내려고 한다. 또한 삼신번과 같은 의미로 종이나 헝겊 위에 그림이나 수(繡)로 불보살과 금강역사를 모신다. 상단에는 불보(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모니불)를 모시고, 중단에는 보살, 하단에는 금강의 순으로 배열한 [인물개](/topic/인물개)(人物蓋)를 설치하기도 한다.
참고문헌영산재 (심상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동해안 굿의 전승과 변화 (윤동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형태불보살번은 가로 30㎝, 세로 2.3m 정도의 [한지](/topic/한지)에 불보살의 명칭을 써놓은 것이다. 불보살번에는 오방번(五方幡), 인로왕번(引路王幡), 삼신번(三身幡) 등이 있다. 이외에 불교가 도교적 사상과 결합된 시왕번(十王幡)이 있다.

오방번에는 나무동방만월세계십이상원약사유리광불(南無東方滿月世界十二上願藥師瑠璃光佛), 나무서방극락세계사십대원아미타불(南無西方極樂世界四十大願阿彌陀佛), 나무남방환희세계보승여래불(南無南方歡喜世界寶勝如來佛), 나무북방무우세계부동존여래불(南無北方無憂世界不動尊如來佛), 나무중방화장세계십신무애비로자나불(南無中方華藏世界十身無碍毘盧舍那佛)을 쓴다. 인로왕번(引路王幡)에는 나무대성인로왕보살(南無大聖引路王菩薩)이라고 쓴다. 삼신번(三身幡)에는 나무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南無千百億化身釋迦牟尼佛), 나무청정법신비로자나불(南無淸淨法身毘盧舍那佛), 나무원만보신노사나불(南無圓滿報身盧舍那佛)이라고 쓴다.

예전엔 무당들이 직접 한지에 글을 썼으나 현재는 사정이 그렇지 못하다. 글을 잘 쓰는 사람에게 부탁하거나, 불교상 또는 만물상에서 구입하여 굿당 좌우에 설치한다.

동해안오구굿에 설치하는 번의 종류


| 오방번(五方幡) | 나무동방만월세계십이상원약사유리광불(南無東方滿月世界十二上願藥師瑠璃光佛) |
| -------- | -------- |
| | 나무서방극락세계사십대원아미타불(南無西方極樂世界四十大願阿彌陀佛) |
| | 나무남방환희세계보승여래불(南無南方歡喜世界寶勝如來佛) |
| | 나무북방무우세계부동존여래불(南無北方無憂世界不動尊如來佛) |
| | 나무중방화장세계십신무애비로자나불(南無中方華藏世界十身無碍毘盧舍那佛) |
| 인로왕번(引路王幡) | 나무대성인로왕보살(南無大聖引路王菩薩) |
| 삼신번(三身幡) | 나무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南無千百億化身釋迦牟尼佛) |
| | 나무청정법신비로자나불(南無淸淨法身毘盧舍那佛) |
| | 나무원만보신노사나불(南無圓滿報身盧舍那佛) |
| 시왕번(十王幡) | 나무봉청제일태광대왕(南無奉請第一泰光大王) |
| | 나무봉청제이초강대왕(南無奉請第二初江大王) |
| | 나무봉청제삼송제대왕(南無奉請第三宋帝大王) |
| | 나무봉청제사오관대왕(南無奉請第四五官大王) |
| | 나무봉청제오염라대왕(南無奉請第五閻羅大王) |
| | 나무봉청제육변성대왕(南無奉請第六變成大王) |
| | 나무봉청제칠태산대왕(南無奉請第七泰山大王) |
| | 나무봉청제팔평등대왕(南無奉請第八平等大王) |
| | 나무봉청제구도시대왕(南無奉請第九都市大王) |
| | 나무봉청제십오도전륜대왕(南無奉請第十五道轉輪大王) |
불보살번
64642
불보살번
불보살번
64643
불보살번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