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신

한국무속신앙사전
[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definition
[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mp3Cnt
0
wkorname
김효경
정의[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정의[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내용[마을](/topic/마을)에서 제사를 베풀 때 신령을 초청하는 강신(降神)을 행한 뒤 마을신이 오셨다고 여기고 인사를 드린다. [제관](/topic/제관) 이후 [참례](/topic/참례)자 일동이 재배를 한다. 산신제에는 선출된 제관 일행만이 참여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제 집에서 조용히 기다린다. 제사가 거행되는 동안 신령을 맞기 위해 각 가정에서는 불을 밝히고, 밤을 지새우면서 근신한다. 직접 제장에 올라가 참신할 수 없어서 집안에서 참신하는 방법인 셈이다.

마을에 오신 마을신을 맞이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각 가정에서 인사를 드리기도 한다. ‘[마중시루](/topic/마중시루)’ 또는 ‘마짐시루’가 그것이다. 마을신을 집 안으로 모시기 위해 미리 시루를 마련해 두었다가 [분향](/topic/분향)과 재배를 마치거나 마을제사를 마치면 마을제당에서 마중시루를 올리라고 신호를 해 준다. 그 시간에 맞추어 각 가정에서 시루를 올리는 것은 또 다른 차원에서 마을신을 맞이하여 인사를 드리는 절차로, 참신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마을을 찾은 신령께 인사를 올리는 절차인 참신은 주민들이 마을신앙의 주체이며, 그 안에서 신령에게 도움을 구하는 존재임을 알리는 절차라 할 수 있다.

마을을 찾은 마을신에게 인사를 드리는 절차는 모든 마을신앙에서 나타난다. 머리를 조아려 절을 한다는 자체가 신령을 알현하는 방법이다. 참례자가 제한적인 산신제의 경우에는 제관만이 참신하지만 마을에 남아 있는 주민들도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지새우며 불을 밝히고 참신한다. 밤을 지새우는 것 자체가 예를 다한다는 의미이다.
참고문헌禮記,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출판, 1994)
산신제에 수반되는 ‘마짐시루’의 의미와 성격 (강성복, 어문연구 61, 2009)
내용[마을](/topic/마을)에서 제사를 베풀 때 신령을 초청하는 강신(降神)을 행한 뒤 마을신이 오셨다고 여기고 인사를 드린다. [제관](/topic/제관) 이후 [참례](/topic/참례)자 일동이 재배를 한다. 산신제에는 선출된 제관 일행만이 참여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제 집에서 조용히 기다린다. 제사가 거행되는 동안 신령을 맞기 위해 각 가정에서는 불을 밝히고, 밤을 지새우면서 근신한다. 직접 제장에 올라가 참신할 수 없어서 집안에서 참신하는 방법인 셈이다.

마을에 오신 마을신을 맞이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각 가정에서 인사를 드리기도 한다. ‘[마중시루](/topic/마중시루)’ 또는 ‘마짐시루’가 그것이다. 마을신을 집 안으로 모시기 위해 미리 시루를 마련해 두었다가 [분향](/topic/분향)과 재배를 마치거나 마을제사를 마치면 마을제당에서 마중시루를 올리라고 신호를 해 준다. 그 시간에 맞추어 각 가정에서 시루를 올리는 것은 또 다른 차원에서 마을신을 맞이하여 인사를 드리는 절차로, 참신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마을을 찾은 신령께 인사를 올리는 절차인 참신은 주민들이 마을신앙의 주체이며, 그 안에서 신령에게 도움을 구하는 존재임을 알리는 절차라 할 수 있다.

마을을 찾은 마을신에게 인사를 드리는 절차는 모든 마을신앙에서 나타난다. 머리를 조아려 절을 한다는 자체가 신령을 알현하는 방법이다. 참례자가 제한적인 산신제의 경우에는 제관만이 참신하지만 마을에 남아 있는 주민들도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지새우며 불을 밝히고 참신한다. 밤을 지새우는 것 자체가 예를 다한다는 의미이다.
참고문헌禮記, [마을](/topic/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출판, 1994)
산신제에 수반되는 ‘마짐시루’의 의미와 성격 (강성복, 어문연구 61, 2009)
한국고전번역원 웹사이트 「주견제사(主見諸事)·풍속(風俗)」번역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고대 중국에서의 소설적 서사의 형성과정-저승사자의 이야기를 중심으로서경호1998
국립문화재연구소무·굿과 음식 1주영하·방인아·최진아2005
가람기획조선시대의 음식문화김상보2006
저승설화의 전승 양상에 관한 연구-구전설화를 중심으로이영수2007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최진아200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