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감시루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비롯해 관북과 관서 지역의 무속에서도 모셔지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려지는 [제물](/topic/제물).
definition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비롯해 관북과 관서 지역의 무속에서도 모셔지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려지는 [제물](/topic/제물).
mp3Cnt
0
wkorname
오문선
정의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비롯해 관북과 관서 지역의 무속에서도 모셔지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려지는 [제물](/topic/제물).
내용대감신은 특히 서울과 경기도 일대 무속에서 [장군](/topic/장군)•별상•신장 등과 대안주거리라 불리는 절차 때 모셔진다. 대감신을 위한 제물은 대개 시루 형태로 차려진다. 이 제물은 대감시루라 불린다. 서울 지역의 경우 신사굿에서 대감상이 별도로 차려지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다른 굿에서는 대개 시루로 차려지고 있어 경기도 일대의 양상과 동일하다. 대감신의 몫으로 차려지는 대감시루는 대개 팥시루떡에 북어나 쇠족 또는 막걸리 등으로 간소한 편이다. 한편 대감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굿에 따라서는 다양한 대감신의 종류에 따르는 별도의 시루가 장만되기도 한다.

대감은 [재가집](/topic/재가집)의 수호신적 성격과 함께 재가집과 [마을](/topic/마을)의 터 및 [생업](/topic/생업) 등에 직접 관여하는 기능을 지니며, 마을을 수호해 주는 수호신적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신앙의 양상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경기와 경기 이북에서는 무의 신령으로 받들어지고 있지만 충청도•전라도•제주도 지역에서는 신앙 양상이 약한 편이다. 관서와 관북 지방 무속에서 대감신은 서울•경기 지방과 같이 재복신적(財福神的) 성격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편이며, 장군신으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무속에서 대감은 안대감과 바깥대감으로 나뉘는 신령으로, 도당굿이나 부군당굿 같은 마을굿을 비롯해 개인굿인 재수굿•새남굿•[진적굿](/topic/진적굿) 등 다양한 굿에서 모셔진다. 여기에서 안대감은 윗대감으로, 바깥대감은 아랫대감으로 불린다. 이 가운데 윗대감은 [최영](/topic/최영)장군을 모시는 상신대감, 나랏대감인 별상대감, 오방신장 밑의 신장대감, 신장 앞에 있는 전안대감, 재가집의 벼슬한 조상인 군웅대감, 재가집의 [몸주대감](/topic/몸주대감) 등을 가리킨다. 아랫대감에는 마을신인 도당대감과 부군대감, [대문](/topic/대문)을 지키는 수문장대감, 텃대감 등이 속한다. 무속에서는 안대감과 바깥대감신 외에도 업대감, 텃대감, 도깨비대감, 식신대감, 복대감 등을 언급하고 있어 대감신의 종류와 수가 많은 편이다.

서울과 경기도 일대의 재수굿이나 마을굿의 대감거리에서는 텃대감을 놀리는 절차가 일반적이다. 이때 무당이 텃대감시루를 이고 [장독대](/topic/장독대), 안[마당](/topic/마당), 뒷곁 등 집안을 한 바퀴 돈다. 이는 텃대감의 영역을 순력(巡歷)하는 의미이다. 텃대감을 모시는 절차에는 텃대감시루를 무당이 막걸리 주전자를 들고 집 안의 이곳저곳에 떡을 던지고 막걸리를 부으며 굿을 연행한다.

대감신의 성격과 기능은 굿판의 모습과 공수덕담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굿판에서 대감거리는 대감놀음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연희성과 오락성이 가미되는 절차이다. 무가의 대감타령에는 대감신령이 청새주, 황새주, 낙화주, 백일주, 막걸리 등의 술에 갈비찜과 바디산적을 안주로 하여 풍류를 즐기는 욕심 많고 탐심 많은 신령으로 그려진다.

개인굿의 대감거리 공수덕담에서 “재수 열고 몸수 건강하고 일수 대길하게 상덕을 물어주마”, “먹고도 남고 쓰고도 남고 흐르게 넘치게 생겨주마”라 하여 집안의 건강과 재복을 내려주는 신령임을 알 수 있다. 마을굿의 대감공수 [덕담](/topic/덕담)은 “우리 마을 면면촌촌 가가호호 각성받이 가중마다 다 벼술줄두 생겨주구 글줄도 생겨주고 문장두 생겨주구 대학마다 척척 합격두 시켜주구 천장사 만영업에 사업두 이뤄주구” 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마을의 번영과 마을 사람들의 재복을 이뤄주는 신령으로 인식된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는 굿의 여러 절차 가운데 대감거리의 연희성과 오락성이 가장 크기 때문에 주로 이 절차에 능한 무당이 초청되어 담당했다. 굿을 구경 온 사람들의 참여가 매우 활발했으며, 대감거리는 대감놀음으로도 불렸다. 서울 지역에서는 대감거리가 강한 오락성을 지녀서 도시화 이전에는 여가시설 등의 미비로 대감거리만 서너 시간 연행되기도 했던 것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무속·불교·유교를 통하여 본 식생활문화 및 그 의식절차에 대한 연구-서울 지방을 중심으로 (김상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서울굿의 양상과 의미 (홍태한, 민속원, 2006)
무·굿과 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