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감벙거지

한국무속신앙사전
대감벙거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원에서 가정신앙의 하나로 모시는 대감신의 신체.
definition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원에서 가정신앙의 하나로 모시는 대감신의 신체.
mp3Cnt
0
wkorname
홍태한
정의인천광역시 강화군 일원에서 가정신앙의 하나로 모시는 대감신의 신체.
정의인천광역시 강화군 일원에서 가정신앙의 하나로 모시는 대감신의 신체.
내용[벙거지](/topic/벙거지)를 대감의 신체로 간주하므로 대감벙거지라고 부른다. 대감은 강화도에서 가장 흔한 가정신앙의 대상이다. 이 대감은 [안방](/topic/안방)에 [봉안](/topic/봉안)된 경우 대감, 광에 있으면 광대감, 집밖에 있으면 터줏대감이라고 각각 일컫는다. 결국 대감은 집안 곳곳에 있는 여러 신령의 총체인 셈이다. 대감신의 신체로 대부분 벙거지를 모신다. 짚으로 엮은 터줏대감의 경우에도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 안에 벙거지를 넣는 사례가 많아 역시 대감벙거지에 포함된다.

날을 잡아 [고사](/topic/고사)를 올릴 때 대감을 위한 치성을 드리게 되면 대감벙거지가 봉안된 앞에 상을 차리고 제차를 진행한다. 대감벙거지를 싼 종이가 오래되어 낡아지면 고사를 드리기 전에 종이를 새로 준비해 벙거지를 다시 봉안하기도 한다. 고사를 드리는 도중 무당이 대감벙거지를 꺼내 간단하게 놀리고 나서 다시 봉안하기도 한다.

대감의 신체로 벙거지가 주로 봉안되는 것은 무속과 상통하는 바가 있다. 굿판에서 벙거지가 신령의 [모자](/topic/모자)로 등장하는 거리는 대개 신장거리, 대감거리처럼 사람들에게 복을 직접 주는 신령이 나오는 거리이다.

서울, 경기굿에서는 다양한 [무복](/topic/무복)과 무구가 사용된다. 신령의 위상을 나타내는 모자로는 갓과 벙거지가 있다. 갓은 상산, 산신 등 격이 높은 신령이 주로 사용한다. 벙거지는 상산이나 산신보다 격이 조금 낮은 신령인 별상, 신장, 대감 등이 주로 쓴다. 와 에 벙거지를 쓴 신령이 등장하면 이를 산신신장, 산신대감, 불사신장, 불사대감이라 칭한다.

대안주거리에도 갓을 쓴 신령과 벙거지를 쓴 신령이 구분된다. 갓을 쓴 상산이 먼저 들어와 공수를 준 다음에 별상, 신장, 대감이 연이어 들어와 공수를 준다. 이때는 모두 벙거지를 쓴다. 벙거지를 쓰면서 시작되는 굿거리는 없다. 갓을 쓴 신령이 굿거리를 시작한 뒤에야 벙거지를 쓴 신령이 연이어 들어와 굿을 진행한다. 이러한 벙거지를 쓴 신령들은 몇 [가지](/topic/가지) 공통점을 보여준다.

첫째, 신령이 흥이 나서 사람들에게 복을 주는 음악인 ‘타령’을 부른다. 굿판에서 무당들이 부르는 노래에는 ‘[노랫가락](/topic/노랫가락)’과 ‘타령’이 있다. 노랫가락은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노래로서 신령이 굿판에 강림해 인간들에게 복을 나눠주기를 소망하는 내용이다. 반면에 타령은 무당이 직접 자기 몸에 신령을 실은 후 명과 복을 나눠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노랫가락이 기원의 노래라고 한다면 타령은 축복의 노래이다. 신장과 대감은 모두 이 타령을 불러서 인간들에게 직접 복을 나눠준다.

둘째, 복을 주는 구체적인 행동을 한다. 신장은 신장기를 휘둘러 사방의 복을 모아 굿판에 온 이들에게 나눠주는 시늉을 하고, 대감은 우족이나 시루 등을 들고 역시 복을 나눠주는 시늉을 한다.

셋째, 여느 신령들과 달리 신장과 대감은 직접 인간과 소통한다. [장군](/topic/장군)신은 위엄이 높고 무서운 신령이어서 인간에게 공수를 주기는 하지만 직접 가까이 와서 신체적으로 접촉을 하거나 필요한 말들을 자상하게 일러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신장과 대감은 직접 인간에게 다가가 접촉하면서 복을 주는 시늉을 한다. 직접 복을 주는 시늉을 하지 않는 별상은 사실을 세워 신의 영검을 확인한다.

따라서 인간에게 복을 직접 주는 신령의 상징으로 벙거지가 존재하고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강화도의 대감 신체인 벙거지이다. 벙거지는 대개 가정신앙의례를 주관하는 무당이 구입해 준다. 집에 모신 것이 낡게 되면 만물상에서 다시 사다가 모시기도 한다.

벙거지와 관련하여 특이한 진술이 있다. 강화도는 지리적으로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여 흘러 서해로 들어오는 길목에 있다. 이 때문에 홍수가 나면 육지의 여러 물건이 떠내려 왔으며, 그 가운데 벙거지도 많았다고 한다. 이런 연유로 벙거지를 신령의 신체로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이 진술은 벙거지의 신령성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야기로 보인다. 서울, 경기 일원 굿에서 벙거지가 중요한 무복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9세기에 간행된 것으로 여겨지는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巫黨來歷)』에도 이미 벙거지가 있기 때문이다.
내용[벙거지](/topic/벙거지)를 대감의 신체로 간주하므로 대감벙거지라고 부른다. 대감은 강화도에서 가장 흔한 가정신앙의 대상이다. 이 대감은 [안방](/topic/안방)에 [봉안](/topic/봉안)된 경우 대감, 광에 있으면 광대감, 집밖에 있으면 터줏대감이라고 각각 일컫는다. 결국 대감은 집안 곳곳에 있는 여러 신령의 총체인 셈이다. 대감신의 신체로 대부분 벙거지를 모신다. 짚으로 엮은 터줏대감의 경우에도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 안에 벙거지를 넣는 사례가 많아 역시 대감벙거지에 포함된다.

날을 잡아 [고사](/topic/고사)를 올릴 때 대감을 위한 치성을 드리게 되면 대감벙거지가 봉안된 앞에 상을 차리고 제차를 진행한다. 대감벙거지를 싼 종이가 오래되어 낡아지면 고사를 드리기 전에 종이를 새로 준비해 벙거지를 다시 봉안하기도 한다. 고사를 드리는 도중 무당이 대감벙거지를 꺼내 간단하게 놀리고 나서 다시 봉안하기도 한다.

대감의 신체로 벙거지가 주로 봉안되는 것은 무속과 상통하는 바가 있다. 굿판에서 벙거지가 신령의 [모자](/topic/모자)로 등장하는 거리는 대개 신장거리, 대감거리처럼 사람들에게 복을 직접 주는 신령이 나오는 거리이다.

서울, 경기굿에서는 다양한 [무복](/topic/무복)과 무구가 사용된다. 신령의 위상을 나타내는 모자로는 갓과 벙거지가 있다. 갓은 상산, 산신 등 격이 높은 신령이 주로 사용한다. 벙거지는 상산이나 산신보다 격이 조금 낮은 신령인 별상, 신장, 대감 등이 주로 쓴다. 와 에 벙거지를 쓴 신령이 등장하면 이를 산신신장, 산신대감, 불사신장, 불사대감이라 칭한다.

대안주거리에도 갓을 쓴 신령과 벙거지를 쓴 신령이 구분된다. 갓을 쓴 상산이 먼저 들어와 공수를 준 다음에 별상, 신장, 대감이 연이어 들어와 공수를 준다. 이때는 모두 벙거지를 쓴다. 벙거지를 쓰면서 시작되는 굿거리는 없다. 갓을 쓴 신령이 굿거리를 시작한 뒤에야 벙거지를 쓴 신령이 연이어 들어와 굿을 진행한다. 이러한 벙거지를 쓴 신령들은 몇 [가지](/topic/가지) 공통점을 보여준다.

첫째, 신령이 흥이 나서 사람들에게 복을 주는 음악인 ‘타령’을 부른다. 굿판에서 무당들이 부르는 노래에는 ‘[노랫가락](/topic/노랫가락)’과 ‘타령’이 있다. 노랫가락은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노래로서 신령이 굿판에 강림해 인간들에게 복을 나눠주기를 소망하는 내용이다. 반면에 타령은 무당이 직접 자기 몸에 신령을 실은 후 명과 복을 나눠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노랫가락이 기원의 노래라고 한다면 타령은 축복의 노래이다. 신장과 대감은 모두 이 타령을 불러서 인간들에게 직접 복을 나눠준다.

둘째, 복을 주는 구체적인 행동을 한다. 신장은 신장기를 휘둘러 사방의 복을 모아 굿판에 온 이들에게 나눠주는 시늉을 하고, 대감은 우족이나 시루 등을 들고 역시 복을 나눠주는 시늉을 한다.

셋째, 여느 신령들과 달리 신장과 대감은 직접 인간과 소통한다. [장군](/topic/장군)신은 위엄이 높고 무서운 신령이어서 인간에게 공수를 주기는 하지만 직접 가까이 와서 신체적으로 접촉을 하거나 필요한 말들을 자상하게 일러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신장과 대감은 직접 인간에게 다가가 접촉하면서 복을 주는 시늉을 한다. 직접 복을 주는 시늉을 하지 않는 별상은 사실을 세워 신의 영검을 확인한다.

따라서 인간에게 복을 직접 주는 신령의 상징으로 벙거지가 존재하고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강화도의 대감 신체인 벙거지이다. 벙거지는 대개 가정신앙의례를 주관하는 무당이 구입해 준다. 집에 모신 것이 낡게 되면 만물상에서 다시 사다가 모시기도 한다.

벙거지와 관련하여 특이한 진술이 있다. 강화도는 지리적으로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여 흘러 서해로 들어오는 길목에 있다. 이 때문에 홍수가 나면 육지의 여러 물건이 떠내려 왔으며, 그 가운데 벙거지도 많았다고 한다. 이런 연유로 벙거지를 신령의 신체로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이 진술은 벙거지의 신령성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야기로 보인다. 서울, 경기 일원 굿에서 벙거지가 중요한 무복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9세기에 간행된 것으로 여겨지는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巫黨來歷)』에도 이미 벙거지가 있기 때문이다.
형태[벙거지](/topic/벙거지)는 [전립](/topic/전립), 병립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궁중이나 관청의 하급관리들이 쓰던 [모자](/topic/모자)이다. 돼지털을 다져서 별다른 장식 없이 만들었다. 모자 부분은 둥글게 되어 있고, 꼭대기에 정자를 단다. 이 벙거지를 강화도 일원에서는 대감의 신체로 간주하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이 벙거지를 흰 종이나 [한지](/topic/한지)로 싸서 [대청](/topic/대청)에 [살강](/topic/살강)을 매고 올려둔다. 그러나 몇몇 가정에서는 한지로 싼 벙거지를 상자나 궤에 담아 대청 가구 위에 올려두기도 한다.
형태[벙거지](/topic/벙거지)는 [전립](/topic/전립), 병립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궁중이나 관청의 하급관리들이 쓰던 [모자](/topic/모자)이다. 돼지털을 다져서 별다른 장식 없이 만들었다. 모자 부분은 둥글게 되어 있고, 꼭대기에 정자를 단다. 이 벙거지를 강화도 일원에서는 대감의 신체로 간주하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이 벙거지를 흰 종이나 [한지](/topic/한지)로 싸서 [대청](/topic/대청)에 [살강](/topic/살강)을 매고 올려둔다. 그러나 몇몇 가정에서는 한지로 싼 벙거지를 상자나 궤에 담아 대청 가구 위에 올려두기도 한다.
지역사례대감벙거지가 발견되는 지역으로는 강화도가 대표적이다. 다른 지역의 사례는 거의 없다. 강화도에서도 특히 도서지역인 교동도에 다양하게 남아있다. 강화도의 남부지역인 화도면이나 양도면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가옥구조의 변화와 전승집단의 의식 변화로 가정신앙이 소멸하면서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없는 벙거지가 빠른 속도로 소멸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강화도 북부지역인 양사면의 북성리, 하점면의 창후리 등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지역사례대감벙거지가 발견되는 지역으로는 강화도가 대표적이다. 다른 지역의 사례는 거의 없다. 강화도에서도 특히 도서지역인 교동도에 다양하게 남아있다. 강화도의 남부지역인 화도면이나 양도면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가옥구조의 변화와 전승집단의 의식 변화로 가정신앙이 소멸하면서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없는 벙거지가 빠른 속도로 소멸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강화도 북부지역인 양사면의 북성리, 하점면의 창후리 등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의의가정신앙과 무속의 관련성은 여러 차례 논의되었다. 신령을 상징하는 신체로 [벙거지](/topic/벙거지)가 존재한다는 것은 가정신앙과 무속의 상관성을 도출하는 유용한 자료가 된다. 특히 대부분의 집에서 벙거지를 [봉안](/topic/봉안)할 때 무당의 조언을 듣는 사례가 많아 무속과 가정신앙의 관련성 도출이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강화군 교동도 가정신앙 전승의 다양성 (홍태한, 도서문화 35, 목[포대](/topic/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강화도 가정신앙 대감의 성격연구 (홍태한, 도서문화 36,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강화의 가정신앙 1, 2 (강화가정신앙조사단, 민속원, 2010~2011)
의의가정신앙과 무속의 관련성은 여러 차례 논의되었다. 신령을 상징하는 신체로 [벙거지](/topic/벙거지)가 존재한다는 것은 가정신앙과 무속의 상관성을 도출하는 유용한 자료가 된다. 특히 대부분의 집에서 벙거지를 [봉안](/topic/봉안)할 때 무당의 조언을 듣는 사례가 많아 무속과 가정신앙의 관련성 도출이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강화군 교동도 가정신앙 전승의 다양성 (홍태한, 도서문화 35, 목[포대](/topic/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강화도 가정신앙 대감의 성격연구 (홍태한, 도서문화 36,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강화의 가정신앙 1, 2 (강화가정신앙조사단, 민속원, 2010~2011)
다시 봉안하기 위해 꺼낸 대감벙거지
13331
다시 봉안하기 위해 꺼낸 대감벙거지
선반을 매고 모신 대감벙거지
13330
선반을 매고 모신 대감벙거지
다시 봉안하기 위해 꺼낸 대감벙거지
13331
다시 봉안하기 위해 꺼낸 대감벙거지
선반을 매고 모신 대감벙거지
13330
선반을 매고 모신 대감벙거지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