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벌림

한국무속신앙사전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의 절차 가운데 하나.
definition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의 절차 가운데 하나.
mp3Cnt
0
wkorname
박정경
정의[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의 절차 가운데 하나.
내용터벌림은 ‘터를 밟는다’, ‘터를 벌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터벌림은 부정굿, 돌돌이, 시루[고사](/topic/고사) 등 굿의 전반부 절차가 끝나고 본격적인 중반부로 들어가 전에 굿판을 재정비하고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해 연행된다. 경기도의 세습악사인 화랭이가 [꽹과리](/topic/꽹과리), 장구, 징, 북 등 사물로 터벌림ㆍ진쇠 등 [장단](/topic/장단)을 연주한다.

화랭이는 경기도굿에서 단순히 무당의 무가와 춤을 반주하는 [악사](/topic/악사)만이 아니라 무당에게 예능을 가르치고 굿판의 분위기를 이끌어가는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터벌림은 화랭이의 타악 연주와 춤이 돋보이는 대표적인 굿거리로, 이를 통해 화랭이의 예술성과 굿에서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터벌림은 다른 뜻으로 경기도굿 중 터벌림과 손굿에서 연행되는 ‘춤’을 가리키는 명칭이기도 하다. 손님이라고 칭하는 [마마신](/topic/마마신)을 모시고 대접할 목적으로 터를 다지기 위해 추는 춤으로, 꽹과리ㆍ장구ㆍ징ㆍ북 등 타악기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무당은 터벌림 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이처럼 사물 위주로 연주되는 춤을 [쇠풍장](/topic/쇠풍장)이라 한다. 춤이 강렬하며 타악의 음색과 점차 빨라지는 터벌림 장단에 걸맞은 역동적인 춤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한편 터벌림은 경기도굿 가운데 터벌림ㆍ손굿ㆍ[민속무용](/topic/민속무용)인 [태평무](/topic/태평무) 등에서 사용되는 ‘장단’을 지칭하기도 하며, 반설음ㆍ반서름이라고도 한다. 총 10개의 소박이 2ㆍ3ㆍ2ㆍ3으로 집합되어 혼소박 4박(10/8박자)이 보통박을 이룬다. 터벌림은 기본 장단 외에 터벌림조임채, 넘김채, [겹마치](/topic/겹마치)기, 자진굿거리 등 연결 장단과 함께 다양한 변화 장단으로 다채롭게 연주된다. 1930년대 명무(名舞) 한성준이 터벌림장단과 경기도굿에서 연행되는 춤을 토대로 창작한 태평무의 반주장단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무속신앙 터벌림](/upload/img/20170106/20170106180106_t_.jpg)
참고문헌한국의 무속장단(임수정, 민속원, 1999)
경기도의 굿(하주성, 경기문화재단, 199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