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2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세습무
    634 2023.02.27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 악공청
    661 2023.02.27
    무부들의 조직체이며 지방관아의 전통예술 공연을 담당하던 기관. 악공(樂工)은 관아에서 음악을 담당하던 음악인들을 말하며, 악공청은 그 일을 관장하던 조직체를 지칭한다. 지역에 따라 교방청, 취고청, 장악청, 신청, [재인청](/topic/재인청), 공인청 등으로도 불렸다.
  • 제주
    573 2023.02.27
    [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 헌관
    537 2023.02.27
    동제(洞祭)에서 [마을](/topic/마을)신령에게 술을 따라 올리는 직분을 맡은 [제관](/topic/제관). 대체로 마을의 주신(主神)인 산신(山神) 등을 유교식 제사로 모실 때 헌관을 둔다. 일반적으로 동제를 총괄하는 대표격인 제주(祭主)가 [헌작](/topic/헌작)(獻爵)도 한다. 그러나 대규모의 동제, 별신제의 상당제 등에서는 헌관을 별도로 선정한다.
  • 국무
    803 2023.02.27
    국가 차원의 제의를 주관하기 위해 도성 안에 둔 무당. 나라무당, 나라만신, 대무(大巫) 등으로 불린다. 국행제(國行祭)인 기우제를 집전하고 명산대천에서 왕실의 축복을 기원하며, 내행제(內行祭)인 치병의례 등을 주관하였다.
  • 대동회
    777 2023.02.27
    동제를 전후하여 [마을](/topic/마을) 대표들이 모여 동제에 관한 모든 사항을 협의하고 결정하는 회의, 또는 이러한 모임. 동제를 앞두고 1~2주일 전이나 며칠 전에 대동회를 열어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제주(당주라고도 함), 축관, 유사(有司), [화주](/topic/화주) 등을 뽑는다. 그리고 동제를 지낸 뒤에는 [제관](/topic/제관)이나 이장 집에 모여 동제에 쓰인 비용을 결산하고 앞으로 마을에서 한 해 동안 할일을 의논한다. 이 밖에도 마을에서 각별하게 해결해야 할 일이 있을 때에도 대동회(大同會)를 연다. 대동회를 동회, 대동계(大同契), 동계(同契), 이중계(里中契)라고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들은 내용상의 차이가 있다.
  • 망지
    652 2023.02.27
    [마을](/topic/마을) 제의에 [제관](/topic/제관) 및 집사로 선출되었음을 해당자에게 알리는 통지서.
  • 부정
    649 2023.02.27
    [마을](/topic/마을)공동체의 신성한 의례를 거행하는 데 발생하는 일체의 신성성을 해치는 정갈하지 못한 세속적인 것을 금하는 것을 말하며, 유형과 무형의 모든 부정 형태를 지칭. 마을 집단 전체의 안녕을 위해하는 요소이다.
  • 소미
    629 2023.02.27
    수무(首巫)인 큰심방을 돕는 심방을 두루 일컫는 말. 소미가 차지하는 위상에 따라 접소미, 신소미, 수소미, 폿소미, 안체포소미 등 여러 명칭이 쓰인다. 소미는 한자어 [소무](/topic/소무)(小巫)에서 비롯된 말로 큰심방을 돕는 작은 심방이라는 뜻이다.
  • 553 2023.02.27
    사람을 해치고 일을 방해하는 악한 기운. 액은 사람에게 무서운 질병이나 사고가 나도록 만들기도 하고, 인간관계를 갈등과 파국으로 이끄는 사악한 힘을 지닌 것으로 인식된다.
  • 제주
    578 2023.02.27
    신에게 제사 지낼 때 신을 불러 모시기 위하여 땅에 붓거나 신에게 대접하는 술.
  • 헌식
    519 2023.02.27
    절에서 대중이 공양할 때 음식을 조금씩 덜어 아귀에게 주는 것. [마을](/topic/마을)단위 제의에서도 마을 제의에 동참하지 못한 객귀나 수부를 풀어먹이거나 하위 제차로 [용왕제](/topic/용왕제)를 지낸 뒤 [용왕상](/topic/용왕상)에 올린 제수 등을 용왕에게 드리는 것, 또는 주민들이 제수를 들기 전에 신(神)에게 감사의 표시로 음식 일부를 떼어 놓은 것 등을 헌식이라 한다. 이와 같은 헌식 또는 헌식을 하기 위한 [제물](/topic/제물)을 이르는 용어는 마을 내에서 제물을 받는 대상이나 의미의 차이에 따라 표현되는 명칭은 거래밥ㆍ헌석ㆍ헌식밥ㆍ지신밥ㆍ고시레ㆍ[퇴송](/topic/퇴송)ㆍ제반ㆍ걸반상 등 다양하다.
  • 각심절본
    1347 2023.02.27
    서울굿의 사제계승에 따른 [유파](/topic/유파)를 구분할 때에 동문 밖의 유파를 이르는 말.
  • 굿
    773 2023.02.27
    무당이 굿상을 차려 제물을 신에게 바치고 가무악희로 인간의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제의. 풍물을 울리는 메굿도 굿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으나 대개는 무당이 신에게 바치는 제의를 가리킨다. 굿은 굿을 의뢰하는 인간과 굿을 받는 신, 중간존재로서 무당이 있어야 진행된다. 굿은 신과 인간이 만나는 소통의 장이다.
  • 대모
    681 2023.02.27
    경상도 남해안 지역에서 여자 무당 가운데 큰 무당을 일컫는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