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제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라남도 진도군 동부 지역에서 병충해 방지와 [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여름철에 행하는 동제.
definition
전라남도 진도군 동부 지역에서 병충해 방지와 [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여름철에 행하는 동제.
mp3Cnt
0
wkorname
이옥희
Chungje, literally meaning, “insect ritual, ” is a summer village ritual held for the prevention of damage on crops by insects and to pray for peace in the village.

It is believed that pest control rituals have been observed throughout history, with records that date back to Joseon on state- or locally-organized village rituals (poje) held to address severe insect damage.

In most villages, chungje takes place on the first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when rice stalks have begun bearing grains under harsh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heavy rains or drought, a crucial point in farming since insect proliferation at this time will ruin the prospects for a good harvest. Pest prevention rites were held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Jeju Island, where locusts caused much damage.

The rituals were held on th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or facing the village entrance, which is related to the fact that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Mountain God) was the deity worshipped in the ritual. Procedures followed the formal Confucian tradition, without accompanying music, and participated by three male officials or less.

Simple sacrificial foods were offered, including steamed rice (me), wine, fruits, and jerky. One notable sacrifice was a beheaded chicken, observed in most villages. The prayer text reflected the wishes of the villagers, including insect extermination, good harvest and peace in the village.
夏季举行的祈祷村庄平安及防止病虫害的洞祭。

“虫祭”历史悠久。据诸史料载,朝鲜王朝时代也在害虫猖獗时由国家或地方举行[酺祭](/topic/酺祭)。

大部分村庄在阴历六月一日举办虫祭。该日期处于稻粒日渐饱满的夏季,暴雨或干旱等天气因素会对其产生影响。若此时害虫繁殖,人们对丰收的憧憬将成泡影,所以应在该时期举行。全国都举行虫祭,济州岛也不例外,人们以此防止蝗害。

因为虫祭的神祗几乎都是[山神](/topic/山神),祭仪一般在村庄后山腰或前山举行。祭仪采取严肃的儒教祭仪形式,不击打农乐乐器;至多三名参加,且只有男性。

祭品很简单,一般包括[祭饭](/topic/祭饭),酒,水果,牛肉脯。但特殊之处在于大部分村庄将砍了头的鸡作为供奉的祭品。[祭文](/topic/祭文)则表达百姓心愿,如消灭害虫,五谷丰登,村庄平安等。
Chungje que significa literalmente “ritual de insectos” se refiere a un ritual aldeano de verano para evitar los daños causados por insectos en el cultivo y para rezar por la paz en el pueblo.

Se cree que el ritual del control de plagas ha sido observado a lo largo de la historia, Existen unos registros de la dinastía Joseon, en los que se trata del ritual que se efectuaba por el gobierno para solventar los daños causados por insectos, conocido como poje.

En la mayoría de las aldeas, el chung je tiene lugar el 1 de junio del calendario lunar, cuando empiezan a aparecer granos de arroz bajo duras condiciones climáticas incluyendo lluvias intensas o sequía. Entonces, la proliferación de insectos en ese momento podrá hacer perder las perspectivas de la próxima cosecha, por lo que el ritual se lleva a cabo en un día de los más importantes de la agricultura. Los ritos de la prevención de plagas, en el pasado, se realizaban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incluyendo en la isla de Jeju-do, donde las langostas ocasionaron muchos daños.

El chungje se practica generalmente en una montaña que está detrás de la villa o una que está frente a la entrada de la aldea, lo que se relaciona con el hecho de que el dios de la montaña,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es la deidad más venerada en el chung je.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iguen la tradición confuciana sin acompañamiento de la música, donde participan solamente tres hombres oficiantes o menos.

Se prepara la comida que se utiliza como ofrenda sacrificial, incluyendo arroz cocido al vapor llamado me, frutas y chargui. Un sacrificio notable es cabeza de pollo, observado en la mayoría de las aldeas. El texto de oraciones refleja los deseos de los aldeanos como desinsectación, abundantes cosechas y paz en la aldea.
정의전라남도 진도군 동부 지역에서 병충해 방지와 [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여름철에 행하는 동제.
정의전라남도 진도군 동부 지역에서 병충해 방지와 [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여름철에 행하는 동제.
Chungje, literally meaning, “insect ritual, ” is a summer village ritual held for the prevention of damage on crops by insects and to pray for peace in the village.

It is believed that pest control rituals have been observed throughout history, with records that date back to Joseon on state- or locally-organized village rituals (poje) held to address severe insect damage.

In most villages, chungje takes place on the first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when rice stalks have begun bearing grains under harsh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heavy rains or drought, a crucial point in farming since insect proliferation at this time will ruin the prospects for a good harvest. Pest prevention rites were held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Jeju Island, where locusts caused much damage.

The rituals were held on th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or facing the village entrance, which is related to the fact that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Mountain God) was the deity worshipped in the ritual. Procedures followed the formal Confucian tradition, without accompanying music, and participated by three male officials or less.

Simple sacrificial foods were offered, including steamed rice (me), wine, fruits, and jerky. One notable sacrifice was a beheaded chicken, observed in most villages. The prayer text reflected the wishes of the villagers, including insect extermination, good harvest and peace in the village.
夏季举行的祈祷村庄平安及防止病虫害的洞祭。

“虫祭”历史悠久。据诸史料载,朝鲜王朝时代也在害虫猖獗时由国家或地方举行[酺祭](/topic/酺祭)。

大部分村庄在阴历六月一日举办虫祭。该日期处于稻粒日渐饱满的夏季,暴雨或干旱等天气因素会对其产生影响。若此时害虫繁殖,人们对丰收的憧憬将成泡影,所以应在该时期举行。全国都举行虫祭,济州岛也不例外,人们以此防止蝗害。

因为虫祭的神祗几乎都是[山神](/topic/山神),祭仪一般在村庄后山腰或前山举行。祭仪采取严肃的儒教祭仪形式,不击打农乐乐器;至多三名参加,且只有男性。

祭品很简单,一般包括[祭饭](/topic/祭饭),酒,水果,牛肉脯。但特殊之处在于大部分村庄将砍了头的鸡作为供奉的祭品。[祭文](/topic/祭文)则表达百姓心愿,如消灭害虫,五谷丰登,村庄平安等。
Chungje que significa literalmente “ritual de insectos” se refiere a un ritual aldeano de verano para evitar los daños causados por insectos en el cultivo y para rezar por la paz en el pueblo.

Se cree que el ritual del control de plagas ha sido observado a lo largo de la historia, Existen unos registros de la dinastía Joseon, en los que se trata del ritual que se efectuaba por el gobierno para solventar los daños causados por insectos, conocido como poje.

En la mayoría de las aldeas, el chung je tiene lugar el 1 de junio del calendario lunar, cuando empiezan a aparecer granos de arroz bajo duras condiciones climáticas incluyendo lluvias intensas o sequía. Entonces, la proliferación de insectos en ese momento podrá hacer perder las perspectivas de la próxima cosecha, por lo que el ritual se lleva a cabo en un día de los más importantes de la agricultura. Los ritos de la prevención de plagas, en el pasado, se realizaban en todas las partes del país incluyendo en la isla de Jeju-do, donde las langostas ocasionaron muchos daños.

El chungje se practica generalmente en una montaña que está detrás de la villa o una que está frente a la entrada de la aldea, lo que se relaciona con el hecho de que el dios de la montaña,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es la deidad más venerada en el chung je.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iguen la tradición confuciana sin acompañamiento de la música, donde participan solamente tres hombres oficiantes o menos.

Se prepara la comida que se utiliza como ofrenda sacrificial, incluyendo arroz cocido al vapor llamado me, frutas y chargui. Un sacrificio notable es cabeza de pollo, observado en la mayoría de las aldeas. El texto de oraciones refleja los deseos de los aldeanos como desinsectación, abundantes cosechas y paz en la aldea.
내용충제의 전승 양상을 제의 지역, 제의 명칭, 제의 시기, 제의 신격, 제의 장소, [축문](/topic/축문) 유무, 현행 유무 등으로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 구분 | 제의 지역 | 제의 명칭 | 제의 시기 | 제의 신격 | 제의 장소 | 축문 유무 | 현행 유무 |
| -------- | -------- | -------- | -------- | -------- | -------- | -------- | -------- |
| 1 | 진도읍 수역[마을](/topic/마을) | 충제(산신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당솔나무 | 유 | 유 |
| 2 | 진도읍 전두마을 | 산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정상수목 | 무 | 유 |
| 3 | 진도읍 포산마을 | 충제(산제) | 음6월, 7월1일 중 택일 | 산신 | 앞산중턱소나무숲 | 유 | 무 |
| 4 | 진도읍 해창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짓봉우리 | 무 | 무 |
| 5 | 군내면 덕병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유 | 유 |
| 6 | 군내면 용장마을 | 충제(산제) | 음6월1일 | 산신 | 앞산정상 | 유 | 무 |
| 7 | 군내면 정자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마을뒷산 | 유 | 유 |
| 8 | 의신면 거룡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유 | 유 |
| 9 | 의신면 신정마을 | 충제 | 음6월1일 | 후토지신수호천룡 | 뒷산중턱 | 유 | 유 |
| 10 | 의신면 옥[대마](/topic/대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유 | 무 |
| 11 | 의신면 중리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무 | 무 |
| 12 | 의신면 칠전마을 | 충제(풍년제) | 음6월1일 | 산신 | 앞산정상 | 유 | 무 |
| 13 | 의신면 만[길마](/topic/길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천신, 지신 | 뒷산중턱짓바우 | 유 | 유 |


진도 지역 충제의 전승현황

충제의 제의 시기는 거의 모든 마을에서 음력 유월 초하룻날을 채택하고 있으며, 포산마을의 경우에는 음력 유월 초하룻날과 칠월 초하룻날 가운데 택일하였다. 시간대는 대부분의 마을에서 0시 전후를 택하고 있다. 근래에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시간대를 전날 밤 9시대로 앞당기고 있는 마을이 있지만 밤이라는 시간성에는 변함이 없다. 음력 유월 초하룻날은 하절기로 벼가 낟알을 키우고 있을 시기이며, 여름철 폭우와 가뭄 등으로 날씨의 영향을 받을 때이다. 이 시기에 [해충](/topic/해충)이 번식하면 그해 농사는 풍작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충제의 제의 시기로서의 당위성을 지닌다. 제의 명칭은 충제를 대표명으로 하지만 산제 또는 산신제와도 통용되고 있는 마을이 세 곳 있으며, 풍년제와 통용하는 마을도 한 곳 있다.

제의 장소는 대체로 마을 뒷산 중턱 또는 마을의 앞산으로 산에 위치하고 있다.이는 충제의 신격이 거의 산신인 점과 연관을 맺고 있다. 예외적으로 의신면 신정마을의 경우 신격을 후토지신과 수호천룡으로 구체화하였고, 의신면 만길마을에서는 천신과 지신이라고 하였다.

충제의 제의 방식은 엄숙한 유교식 제의절차를 따른다. 이에 따라 풍물은 따르지 않는다. 제의에 참여하는 사람도 세 명 이내로 소수이며, 남자만 참여할 수 있다. 충제에 올리는 제물은 마을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메와 [주과포](/topic/주과포)로 간단하다. 특별한 점은 대부분의 마을에서 닭의 모[가지](/topic/가지)를 쳐서 제물로 바친다는 점이다. 산 닭을 제물로 바치는 것은 다른 지역 산신제에서도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제의절차이다.

축문은 진도읍 전두마을․해창마을, 의신면 옥대마을을 제외한 9개 마을에 존재한다. 충제의 축문에는 해충 소멸, 농사 풍년, 마을 안녕을 기원하는 주민들의 염원이 반영되어 있다. 여기서 충제의 구조를 세밀히 들여다보면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사항을 발견하게 된다. 즉 충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에 지내는 [거리제](/topic/거리제) 또는 망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시간적 차원에서 볼 때 망제는 정월대보름날, 충제는 음력 유월 초하룻날에 각각 지내고 있어 겨울과 여름으로 분화되어 있다. 공간적 차원에서 볼 때 망제는 마을 끝이나 마을 앞 삼거리, 충제는 마을의 산에서 각각 지내고 있어 마을 내부와 마을 외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제의에서 모셔지는 신격을 보면 망제의 경우 당할머니나 객귀, 충제에서는 산신을 각각 위하고 있다. 제의 방식이나 제의 수행 태도 면에서 보면 망제는 풍물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주민들의 동참이 장려되는 등 축제적 경향을 띤다. 그러나 충제는 유교식 제의절차에 충실하며, 주민들의 참여가 제한되고, 마을에서 선정한 소수의 남자만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성향을 띤다.

충제를 지내는 마을에서는 충제를 지내지 않는 다른 마을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충제를 지내는 마을의 제보자들은 예전부터 충제를 지낼 수 있는 마을은 반촌(班村)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진도읍 수역마을에서는 수역리에 속하는 5개 마을(수역마을, 매향마을, 신흥마을, 월평마을, 북치마을)이 연합해 충제를 지냈다고 한다. 당산제와 거리제는 마을별로 지내더라도 충제는 여러 마을이 연합해 지냈는데 5개 마을 가운데 주도적인 역할을 맡은 마을은 예전부터 반촌이었다고 하며, 수역마을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즉 충제를 지낸다는 것은 반촌이라는 점과 일치한다. [농약](/topic/농약) 발달로 충제를 통해 해충을 막기 위한 현실적 요구는 더 이상 설 자리를 잃게 되었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는 동제 전승 의지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충제라는 명칭은 진도군에서만 보고되었다.
내용충제의 전승 양상을 제의 지역, 제의 명칭, 제의 시기, 제의 신격, 제의 장소, [축문](/topic/축문) 유무, 현행 유무 등으로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 구분 | 제의 지역 | 제의 명칭 | 제의 시기 | 제의 신격 | 제의 장소 | 축문 유무 | 현행 유무 |
| -------- | -------- | -------- | -------- | -------- | -------- | -------- | -------- |
| 1 | 진도읍 수역[마을](/topic/마을) | 충제(산신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당솔나무 | 유 | 유 |
| 2 | 진도읍 전두마을 | 산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정상수목 | 무 | 유 |
| 3 | 진도읍 포산마을 | 충제(산제) | 음6월, 7월1일 중 택일 | 산신 | 앞산중턱소나무숲 | 유 | 무 |
| 4 | 진도읍 해창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짓봉우리 | 무 | 무 |
| 5 | 군내면 덕병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유 | 유 |
| 6 | 군내면 용장마을 | 충제(산제) | 음6월1일 | 산신 | 앞산정상 | 유 | 무 |
| 7 | 군내면 정자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마을뒷산 | 유 | 유 |
| 8 | 의신면 거룡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유 | 유 |
| 9 | 의신면 신정마을 | 충제 | 음6월1일 | 후토지신수호천룡 | 뒷산중턱 | 유 | 유 |
| 10 | 의신면 옥[대마](/topic/대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유 | 무 |
| 11 | 의신면 중리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산신 | 뒷산중턱 | 무 | 무 |
| 12 | 의신면 칠전마을 | 충제(풍년제) | 음6월1일 | 산신 | 앞산정상 | 유 | 무 |
| 13 | 의신면 만[길마](/topic/길마)을 | 충제 | 음6월1일 | 천신, 지신 | 뒷산중턱짓바우 | 유 | 유 |


진도 지역 충제의 전승현황

충제의 제의 시기는 거의 모든 마을에서 음력 유월 초하룻날을 채택하고 있으며, 포산마을의 경우에는 음력 유월 초하룻날과 칠월 초하룻날 가운데 택일하였다. 시간대는 대부분의 마을에서 0시 전후를 택하고 있다. 근래에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시간대를 전날 밤 9시대로 앞당기고 있는 마을이 있지만 밤이라는 시간성에는 변함이 없다. 음력 유월 초하룻날은 하절기로 벼가 낟알을 키우고 있을 시기이며, 여름철 폭우와 가뭄 등으로 날씨의 영향을 받을 때이다. 이 시기에 [해충](/topic/해충)이 번식하면 그해 농사는 풍작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충제의 제의 시기로서의 당위성을 지닌다. 제의 명칭은 충제를 대표명으로 하지만 산제 또는 산신제와도 통용되고 있는 마을이 세 곳 있으며, 풍년제와 통용하는 마을도 한 곳 있다.

제의 장소는 대체로 마을 뒷산 중턱 또는 마을의 앞산으로 산에 위치하고 있다.이는 충제의 신격이 거의 산신인 점과 연관을 맺고 있다. 예외적으로 의신면 신정마을의 경우 신격을 후토지신과 수호천룡으로 구체화하였고, 의신면 만길마을에서는 천신과 지신이라고 하였다.

충제의 제의 방식은 엄숙한 유교식 제의절차를 따른다. 이에 따라 풍물은 따르지 않는다. 제의에 참여하는 사람도 세 명 이내로 소수이며, 남자만 참여할 수 있다. 충제에 올리는 제물은 마을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메와 [주과포](/topic/주과포)로 간단하다. 특별한 점은 대부분의 마을에서 닭의 모[가지](/topic/가지)를 쳐서 제물로 바친다는 점이다. 산 닭을 제물로 바치는 것은 다른 지역 산신제에서도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제의절차이다.

축문은 진도읍 전두마을․해창마을, 의신면 옥대마을을 제외한 9개 마을에 존재한다. 충제의 축문에는 해충 소멸, 농사 풍년, 마을 안녕을 기원하는 주민들의 염원이 반영되어 있다. 여기서 충제의 구조를 세밀히 들여다보면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사항을 발견하게 된다. 즉 충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에 지내는 [거리제](/topic/거리제) 또는 망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시간적 차원에서 볼 때 망제는 정월대보름날, 충제는 음력 유월 초하룻날에 각각 지내고 있어 겨울과 여름으로 분화되어 있다. 공간적 차원에서 볼 때 망제는 마을 끝이나 마을 앞 삼거리, 충제는 마을의 산에서 각각 지내고 있어 마을 내부와 마을 외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제의에서 모셔지는 신격을 보면 망제의 경우 당할머니나 객귀, 충제에서는 산신을 각각 위하고 있다. 제의 방식이나 제의 수행 태도 면에서 보면 망제는 풍물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주민들의 동참이 장려되는 등 축제적 경향을 띤다. 그러나 충제는 유교식 제의절차에 충실하며, 주민들의 참여가 제한되고, 마을에서 선정한 소수의 남자만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폐쇄적이고 보수적인 성향을 띤다.

충제를 지내는 마을에서는 충제를 지내지 않는 다른 마을과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충제를 지내는 마을의 제보자들은 예전부터 충제를 지낼 수 있는 마을은 반촌(班村)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진도읍 수역마을에서는 수역리에 속하는 5개 마을(수역마을, 매향마을, 신흥마을, 월평마을, 북치마을)이 연합해 충제를 지냈다고 한다. 당산제와 거리제는 마을별로 지내더라도 충제는 여러 마을이 연합해 지냈는데 5개 마을 가운데 주도적인 역할을 맡은 마을은 예전부터 반촌이었다고 하며, 수역마을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즉 충제를 지낸다는 것은 반촌이라는 점과 일치한다. [농약](/topic/농약) 발달로 충제를 통해 해충을 막기 위한 현실적 요구는 더 이상 설 자리를 잃게 되었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는 동제 전승 의지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충제라는 명칭은 진도군에서만 보고되었다.
역사진도 지역에서 언제부터 충제를 지내기 시작했는지를 알 수 있는 문헌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촌로들에 따르면 예전부터 지내 오던 것을 계승했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따르면 황충(蝗蟲) 등 벌레가 기승을 부릴 때 국가나 지역 차원에서 포제(酺祭)를 지내는 일이 자주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진도의 충제는 전통사회의 포제와 그 성격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문헌으로 처음 정착된 것은 1987년에 발행된 『진도군의 문화유적』이고, 다음으로 2007년에 발행된 『진도군 [마을](/topic/마을)굿』에도 조사된 내용이 수록되었다. 『진도군의 문화유적』에는 충제 전승 지역이 진도읍 수역마을․전두마을․포산마을․해창마을, 군내면 덕병마을․용장마을, 의신면 거룡마을․신정마을․옥[대마](/topic/대마)을․칠전마을․만[길마](/topic/길마)을 등 모두 11개 마을에서 전승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7년에 발행된 『진도군 마을굿』에는 진도읍 수역마을․전두1리, 군내면 덕병마을․정자마을, 의신면 만길마을․신정마을․중리마을 등 모두 7개 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대사회로 올수록 점점 전승 지역이나 전승 내용 면에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역사진도 지역에서 언제부터 충제를 지내기 시작했는지를 알 수 있는 문헌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촌로들에 따르면 예전부터 지내 오던 것을 계승했다고 한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따르면 황충(蝗蟲) 등 벌레가 기승을 부릴 때 국가나 지역 차원에서 포제(酺祭)를 지내는 일이 자주 있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진도의 충제는 전통사회의 포제와 그 성격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문헌으로 처음 정착된 것은 1987년에 발행된 『진도군의 문화유적』이고, 다음으로 2007년에 발행된 『진도군 [마을](/topic/마을)굿』에도 조사된 내용이 수록되었다. 『진도군의 문화유적』에는 충제 전승 지역이 진도읍 수역마을․전두마을․포산마을․해창마을, 군내면 덕병마을․용장마을, 의신면 거룡마을․신정마을․옥[대마](/topic/대마)을․칠전마을․만[길마](/topic/길마)을 등 모두 11개 마을에서 전승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7년에 발행된 『진도군 마을굿』에는 진도읍 수역마을․전두1리, 군내면 덕병마을․정자마을, 의신면 만길마을․신정마을․중리마을 등 모두 7개 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현대사회로 올수록 점점 전승 지역이나 전승 내용 면에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지역사례충제라는 명칭은 진도군에서만 보고되었다.
지역사례충제라는 명칭은 진도군에서만 보고되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