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도 무속음악

한국무속신앙사전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현재 평안도 무속음악으로 알려진 것은 평양 지역의 무속음악이다. 평양 출신의 이선호와 정대복이 연행한 것 외에 다른 지역 자료는 없다. 함경도 원산 출신 무당들이 무속음악을 공연한 적이 있다. 그들은 평양 출신 무당에게 무속음악을 배웠기 때문에 그것이 이선호와 정대복의 평양 무의식과 같았다. 현재 평양 이외에 평안도의 다른 지역, 특히 평안북도 무속음악 자료가 없어 평양 무속음악과 어떻게 다른지 알 길이 없다. 무의식 음악에는 장구ㆍ바라ㆍ징 등 악기가 주로 쓰이며, 3소박 4박 [장단](/topic/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황해도와 유사하고 다른 지역과 다르다.
definition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현재 평안도 무속음악으로 알려진 것은 평양 지역의 무속음악이다. 평양 출신의 이선호와 정대복이 연행한 것 외에 다른 지역 자료는 없다. 함경도 원산 출신 무당들이 무속음악을 공연한 적이 있다. 그들은 평양 출신 무당에게 무속음악을 배웠기 때문에 그것이 이선호와 정대복의 평양 무의식과 같았다. 현재 평양 이외에 평안도의 다른 지역, 특히 평안북도 무속음악 자료가 없어 평양 무속음악과 어떻게 다른지 알 길이 없다. 무의식 음악에는 장구ㆍ바라ㆍ징 등 악기가 주로 쓰이며, 3소박 4박 [장단](/topic/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황해도와 유사하고 다른 지역과 다르다.
mp3Cnt
0
wkorname
이보형
정의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현재 평안도 무속음악으로 알려진 것은 평양 지역의 무속음악이다. 평양 출신의 이선호와 정대복이 연행한 것 외에 다른 지역 자료는 없다. 함경도 원산 출신 무당들이 무속음악을 공연한 적이 있다. 그들은 평양 출신 무당에게 무속음악을 배웠기 때문에 그것이 이선호와 정대복의 평양 무의식과 같았다. 현재 평양 이외에 평안도의 다른 지역, 특히 평안북도 무속음악 자료가 없어 평양 무속음악과 어떻게 다른지 알 길이 없다. 무의식 음악에는 장구ㆍ바라ㆍ징 등 악기가 주로 쓰이며, 3소박 4박 [장단](/topic/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황해도와 유사하고 다른 지역과 다르다.
내용평안도 무가의 선율 토리는 수심가토리가 주가 되고 때로 [경토리](/topic/경토리)가 쓰인다. [수심가토리](/topic/수심가토리)는 선율틀의 구성음이 Re, Mi, Sol, La, do이고 주요 음은 Re, La, do의 5도+단3도 구조로 되어 있다. 종지음은 Re나 La로 나타난다. [시김새](/topic/시김새)는 La에서 떠는 목(요성)을 쓰며, do에서 흘러내리는 목(퇴성)을 쓴다. 경토리의 선율틀은 Sol, La, do, re, mi로 구성되었고 주요음이 Sol, do, mi의 4도+장3도 구조로 되어 있다. 종지음은 Sol과 do이다. 시김새는 대체로 re에서 떠는 목(용성)을 쓰고, mi에서 re로 흘러내리는 목(퇴성)을 쓴다.

평안도 무의식 음악에 쓰이는 악기에는 장구, 바라, 징 등이 있다. 때로는 굉정이 쓰이기도 하는 점에서 황해도의 [무악](/topic/무악)과 유사하며, 평안도에서는 장구 치는 기대를 ‘술맞이’라 이른다. 큰굿에서는 [피리](/topic/피리), 젓대, [해금](/topic/해금) 등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을 썼다고 하지만 지금은 평안도 잽이가 없어 서울 잽이를 동원하기 때문에 평안도 삼현육각에 대해서는 알 길이 없다. 평안도굿 장구는 알 수 없다. 현재 쓰는 것은 서울굿의 여느 장구와 같다. 오른손에 가는 대나무로 된 열채를 쓰며, 왼손에는 막대기에 천을 싸서 만든 장구 방망이를 쓴다. 징은 작게 만들어 나무에 매달아 들고 채로 친다. 절에서 쓰는 광쇠와 비슷하다. 바라는 방짜 놋쇠로 여러 번 쳐서 중간 크기로 만들며, 무가나 무무(巫舞)의 반주로 쓰이기도 하지만 때로 만신이 손에 들고 [바라춤](/topic/바라춤)을 추기도 한다.

평안도굿에 쓰이는 장단은 만신(萬神)이 ‘무슨 무슨 장구’라고 이른다. 평안도굿에 쓰이는 장단에는 푸넘장구, 청배장구, 비나수장구, 당울림장구, [염불](/topic/염불)장구, 자진넘불장구, 감응장구, 방애장구, 돈 실러 가는 장구, [덕담](/topic/덕담)장구, 절장구 등이 있다. 장단은 대부분 소박이 3집합되는 4박자가 많고, 2집합되는 것과 혼합 집합되는 장단은 아주 드물다.

1. 푸넘장구: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가 장단. 푸넘이라는 말은 ‘푸념’이라는 말의 사투리로 보인다. 조금 느린 3소박 4박(12/8박자)이며, 만신이 반 장단을 ‘오늘날이야’ 하고 메기면 장구 치는 술맞이가 ‘오늘날이야’ 하고 받는다. 장구는 ‘덩-기딱/딱-기딱//덩-기딱/딱-기딱/ ’ 하고 친다. 이 장단은 [영정](/topic/영정), 서낭굿, 사제거리, 시왕가르기, 뒷전 등 여러 거리에서 쓰인다.

2. 앉은청배: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앉아서 부르는 청배 무가’라는 뜻이다. 소박이 3ㆍ2ㆍ3ㆍ3ㆍ2ㆍ3으로 집합되는 혼소박 6박(16/8박자)으로 특수한 장단이다. 청배라는 이름에서 보듯이 만신이 주요 거리에서 앉아 손수 장구를 치며 ‘신을 청하는 무가’를 부르는 것으로 청신 기능을 한다. 이 장단은 까다로워 현재 부르는 이가 드물다,

3. 비나수장구: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축원[고사](/topic/고사)를 곁말로 비나리라고 이르듯이 비나수는 축원이라는 말로 해석된다. 조금 빠른 3소박 8박(24/8박자)으로, 글자 그대로 축원 성격을 띤다. 장구는 ‘덩-다/딱-딱//덩-따/딱-따/ ’ 하고 친다.

4. 덕담장구: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의식의 춤 장단. ‘덕담’이라는 말은 ‘축원’이라는 말이다. 조금 느린 3소박 4박(12/8)인데, 장구는 ‘덩ㅡ딱/딱 궁 딱//덩-따/딱 궁 딱/ ’ 하고 친다.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만신이 서서 춤추며 기자(祈者)에게 복을 주는 오신기능을 한다.

5. 긴넘불(긴염불):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넘불(염불)이라는 말은 ‘나무아미타불’이라는 불교의 염불에서 나온 것으로, [다리굿](/topic/다리굿)에서 만신이 불러 망자를 천도하는 기능을 한다. 황해도 염불의 경우와 같이 2소박 조금 빠른 12박(12/4박자)으로, [판소리](/topic/판소리)의 중모리장단에 맞는다.

6. 자진넘불(자진염불):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긴염불에 이어 부르는 빠른 염불이라는 뜻이다. 3소박 조금 빠른 4박으로 판소리의 [중중모리장단](/topic/중중모리장단)에 맞는다. 만신이 서서 조상의 넋을 천도하며 를 부르는 축원 기능을 한다.

7. 당울림장구: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당울림’이라는 말은 ‘굿당에서 타악기를 쳐 울린다’는 뜻이다. 이 장단은 불규칙 장단이다. 굿에서 맨 먼저 만신이 타악기를 울려 악령을 물리치는 기능을 한다.

8. 감응장구: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소박이 3ㆍ2ㆍ3ㆍ3ㆍ2ㆍ3으로 집합되는 혼소박 6박자이다. 만신이 앉아서 손수 장구를 치며 신을 청하는 무가를 부른다. 이 장단은 까다로워 부르는 이가 드물다,

9. 방애장구: 평안도 지역에 전승되는 장단. 3소박 4박자(12/8박자)이다. 장구는 춤 장단과 같다. 만신이 서서 [방아](/topic/방아) 찧는 노래를 기자(祈者)의 복을 빌고 축원(祝願)하면서 부른다.

10. 돈 실러 가는 장구: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만신이 기자의 복을 축원하며 ‘돈 실러 가는 노래’를 부르는 데서 나온 말이다. 황해도에도 이런 장단이 있다. 3소박 느린 4박자(2/8박자)이다. 장구는 ‘덩 궁 딱/딱 궁 딱//덩 궁 딱/딱 궁 딱/ ’ 하고 친다. 만신이 축원 절차에서 이 장단으로 된 무가를 부른다.

11. 절장구: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장단. 3소박 4박자(12/8박자)이다. 만신이 앉아서 손수 장구를 치며 신을 청하는 무가를 부른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