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벌림춤

한국무속신앙사전
경기도당굿에서 터벌림거리나 군웅거리에서 추는 춤.
definition
경기도당굿에서 터벌림거리나 군웅거리에서 추는 춤.
mp3Cnt
0
wkorname
이애주
정의경기도당굿에서 터벌림거리나 군웅거리에서 추는 춤.
내용터벌림춤은 ‘터벌림’이란 말 그대로 터를 벌려 다지는 춤으로 ‘터잽이’라고도 한다. 땅을 밟으며 하는 독특한 발놀림춤으로 ‘망수밟음 춤’이라고도 한다. 발뻐드레를 하면서 사방을 돌아 [사방치기](/topic/사방치기)를 하고 축귀하는 춤이다. 터벌림춤은 굿판의 터를 지신밟기로 씻김을 하고 부정한 것을 몰아내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터벌림춤은 군웅굿이나 손굿의 처음에 좁아진 굿판을 넓히면서 굿터를 정비하는 춤이다. 무녀는 [철릭](/topic/철릭) 자락으로, 화랭이는 [꽹과리](/topic/꽹과리)를 치면서 지신을 밟아주는 ‘지신밟기’의 전형으로, 동서남북 사방으로 터를 밟으며 춤춘다. 이 춤은 ‘[처용무](/topic/처용무)’의 발춤인 ‘발바딧무’와도 그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발바딧무’를 ‘밟아 딛는 춤’으로 풀이한다면 터벌림의 발춤과 발바딧무는 서로 같은 의미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터벌림춤의 [장단](/topic/장단)으로는 다음과 같다.

![무속신앙 터벌림춤](/upload/img/20170106/20170106180119_t_.jpg)

터벌림춤에서 여무(여자무당)는 철릭 자락을 흔들기도 하고 부채를 펴들고 방울을 흔들기도 하면서 사방치기로 발뻐드레 동작을 하며 춤춘다. 잽이인 화랭이는 꽹과리를 치면서 사방치기를 한다. 이 춤의 [춤사위](/topic/춤사위)는 다음과 같다.

1. 발뻐드레-한 발을 짚으며 무릎을 굽히고 반대 발을 안으로 접었다가 순간적으로 밖으 로 내뻗는 동작이다.

2. 사방재배-동서남북 사방으로 절을 하며 예를 드린다.

3. 삼진삼퇴-앞으로 세 걸음 나가고 뒤로 세 걸음 물러난다.

4. 사방치기-‘발뻐드레’를 하며 굿상 주위를 사각으로 돈다.

터벌림춤은 터를 다지면서 그 터를 정리하고 확장하는 의미를 갖는다. 터벌림춤의 핵심 춤사위인 발뻐드레에 그 의미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 곧 발을 내뻗으면서 액과 살을 퇴치하고 잡귀를 몰아내며 정화하는 춤이다. 곧 액을 물리치고 내치는 동시에 터를 벌리고 확장하여 새 판을 일구는 결의를 담고 있다.
지역사례터벌림춤은 경기도 남부 지방의 수유리도당굿(들놀이굿)·동막도당굿·[장말도당굿](/topic/장말도당굿) 등에서 집중적으로 행해지는데, 군웅굿에서는 본격적으로 판을 벌여 [사방치기](/topic/사방치기)를 하게 된다. 특히 손굿에서는 잽이인 화랭이가 [꽹과리](/topic/꽹과리)를 잡고 반서름 [장단](/topic/장단)을 치면서 신을 즐겁게 하고 손님을 위한 여흥의 발놀림춤을 신명나게 추기도 한다.
참고문헌안성무속(경기시나위춤)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12 (이보형·심우성, 문화재관리국, 1976)
무무 (문화재연구소, 문화재관리국, 1987)
서울 진오기굿 (김수남, 열화당, 1993)
한국무속과 연희 (이두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한국의 샤머니즘 (조흥윤,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샤머니즘 연구 (한국샤머니즘학회, 문덕사, 2002)
경기도 남부 도당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특징 (박정경, 한국무속학 7, 한국무속학회, 2003)
경기도당굿의 굿춤 (이애주, 제8회 동양음악학국제학술회의, 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