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타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ㆍ경기 지역의 굿에서 사용되는 [무악](/topic/무악). 비교적 규모가 큰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서울진오귀굿,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에서 연주한다. 굿 연행에 있어서 길군악, 길타령 등과 함께 행악(行樂)으로 사용된다. 서울새남굿과 진오귀굿의 ‘별상거리’ 및 ‘도령거리’, 경기도도당굿의 ‘돌돌이-장문잡기’라는 의식에서 취타가 연주된다.
definition
서울ㆍ경기 지역의 굿에서 사용되는 [무악](/topic/무악). 비교적 규모가 큰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서울진오귀굿,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에서 연주한다. 굿 연행에 있어서 길군악, 길타령 등과 함께 행악(行樂)으로 사용된다. 서울새남굿과 진오귀굿의 ‘별상거리’ 및 ‘도령거리’, 경기도도당굿의 ‘돌돌이-장문잡기’라는 의식에서 취타가 연주된다.
mp3Cnt
0
wkorname
김소리
정의서울ㆍ경기 지역의 굿에서 사용되는 [무악](/topic/무악). 비교적 규모가 큰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서울진오귀굿,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에서 연주한다. 굿 연행에 있어서 길군악, 길타령 등과 함께 행악(行樂)으로 사용된다. 서울새남굿과 진오귀굿의 ‘별상거리’ 및 ‘도령거리’, 경기도도당굿의 ‘돌돌이-장문잡기’라는 의식에서 취타가 연주된다.
내용취타는 원래 ‘불고[吹] 치는[打] 음악’이라는 뜻으로, 예부터 임금의 거둥[擧動]이나 군대의 행진 및 개선 때 사용하는 행악을 말한다. 현재 취타는 군영음악인 대취타(大吹打)의 [태평소](/topic/태평소) 선율을 변주하여 구성한 것으로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이라고도 하며, [무악](/topic/무악)이나 민속악에서는 ‘취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굿에서 취타는 사슬을 세워 별상 신령을 모실 때,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가 망자의 혼을 천도할 때, 굿패가 [마을](/topic/마을)을 돌고 굿당에 도착했을 때 등 주로 신령이나 사람의 거동을 반주하는 행악으로 사용된다.

취타는 목피리, 곁피리, [대금](/topic/대금), [해금](/topic/해금), 장구, 북의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한다. 취타는 7장 21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장단이 12박이다. 특히 무악에서 취타장단에는 관현악이나 민속악 취타의 12박 장단과 달리 허튼타령장단이 사용된다. 허튼타령장단은 한 장단이 4박이며, 별상장단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무악의 취타장단은 허튼타령장단을 변주하여 세 번 친다.

![무속신앙 취타 1](/upload/img/20170106/20170106175831_t_.jpg)

![무속신앙 취타 2](/upload/img/20170106/20170106175755_t_.jpg)

![무속신앙 취타 3](/upload/img/20170106/20170106175738_t_.jpg)
![무속신앙 취타 4](/upload/img/20170106/20170106175724_t_.jpg)
지역사례취타는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과 진오귀굿,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 등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큰 굿에서 행악으로 연주된다. 서울 지역에서는 죽은 사람을 위한 굿인 새남굿(서울 지역에서 보통 망자천도굿을 진오기 또는 진오귀라 하며, 특별히 상류층이나 부유층을 위하여 베풀어질 때에는 규모를 크게 하여 새남굿이라 한다)이나 진오귀굿에서 사용된다. 별상거리에서는 비극적으로 왕위를 잃은 신령인 별상을 모시기 위해 도령거리에서는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가 망자의 혼을 극락세계로 천도하는 과정에서 각각 연주된다. 특별히 임금의 거둥에 사용하는 취타를 연주함으로써 별상과 바리공주를 다른 신과 구별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에서는 [마을](/topic/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도당굿에서 굿을 하기 전에 굿패들이 마을 장승에게 [고사](/topic/고사)를 지내고 마을의 공동[우물](/topic/우물)을 돈다. 그리고 집집마다 다니는 돌돌이를 마치고 굿당에 도착하였을 때 장문잡기라는 의식에서 군웅마마님께 취타 연주를 올린다. 예부터 서울ㆍ경기 지역의 큰굿은 궁중과 관련이 있어 왕의 거둥에 따라 연주되던 취타가 굿에서 연주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4-무의식편 (문화재관리국, 1983)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경기도 도당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서울굿 음악연구 (하을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서울새남굿의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 연구 (김소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취타계열 음악 연구 (김정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