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중고사

한국무속신앙사전
백중날에 성주나 조상을 위해 제물을 장만하여 올리는 [고사](/topic/고사).
definition
백중날에 성주나 조상을 위해 제물을 장만하여 올리는 [고사](/topic/고사).
mp3Cnt
0
wkorname
나경수
정의백중날에 성주나 조상을 위해 제물을 장만하여 올리는 [고사](/topic/고사).
정의백중날에 성주나 조상을 위해 제물을 장만하여 올리는 [고사](/topic/고사).
내용백중은 음력으로 7월 15일이며, ‘[머슴](/topic/머슴)날’이라고도 한다. 농사가 거의 마[무리](/topic/무리)되는 시기로서 이날 [[호미](/topic/호미)씻이](/topic/호미씻이)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많은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이 행해진다. 가정을 단위로 하며 [고사](/topic/고사)나 천신 또는 차례를 지내는 곳이 많다.

집안에서는 [보리](/topic/보리)를 빻아 개떡을 쪄서 [성주상](/topic/성주상)에 올리고 가족이나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다. 지역에 따라서는 조상께 차례상을 차려 올리기도 한다. 차례상에는 다른 [제물](/topic/제물)과 더불어 새로 난 [참외](/topic/참외)나 [오이](/topic/오이) 등을 올린다. 이는 천신(薦新)의 의미이다.

불교에서는 이날을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4대 명절의 하나로 꼽는다. 돌아가신 조상과 외롭게 떠돌아다니는 불쌍한 영혼들의 극락왕생을 위해 [우란분재](/topic/우란분재)(盂蘭盆齋)를 올린다. 불교를 믿는 신도들은 이날 절에 가서 조상의 천도를 위해 기도한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총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내용백중은 음력으로 7월 15일이며, ‘[머슴](/topic/머슴)날’이라고도 한다. 농사가 거의 마[무리](/topic/무리)되는 시기로서 이날 [[호미](/topic/호미)씻이](/topic/호미씻이)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많은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이 행해진다. 가정을 단위로 하며 [고사](/topic/고사)나 천신 또는 차례를 지내는 곳이 많다.

집안에서는 [보리](/topic/보리)를 빻아 개떡을 쪄서 [성주상](/topic/성주상)에 올리고 가족이나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다. 지역에 따라서는 조상께 차례상을 차려 올리기도 한다. 차례상에는 다른 [제물](/topic/제물)과 더불어 새로 난 [참외](/topic/참외)나 [오이](/topic/오이) 등을 올린다. 이는 천신(薦新)의 의미이다.

불교에서는 이날을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4대 명절의 하나로 꼽는다. 돌아가신 조상과 외롭게 떠돌아다니는 불쌍한 영혼들의 극락왕생을 위해 [우란분재](/topic/우란분재)(盂蘭盆齋)를 올린다. 불교를 믿는 신도들은 이날 절에 가서 조상의 천도를 위해 기도한다.
참고문헌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총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