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전무당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굿과 경기북부 지역 굿에서 뒷전을 전담하는 무당.
definition
서울굿과 경기북부 지역 굿에서 뒷전을 전담하는 무당.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서울굿과 경기북부 지역 굿에서 뒷전을 전담하는 무당.
내용예전에는 굿에서 일정한 거리를 맡아 연행하는 무당을 구분하였다. 이 구분은 엄격하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거리마다 전문적인 예능을 바탕으로 특정 거리를 맡아서 하는 무당을 뒷전무당이라고 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조상거리 전담자는 조상방, 불사거리 전담자는 불사방, 대감거리 전담자는 대감방으로 일컫는다. 마찬[가지](/topic/가지)로 뒷전무당은 뒷전을 전담하는 무당이다. 넋대신이라고 해서 자리걷이 무당도 따로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무당의 위계가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는데 원무당, 창부무당, 뒷전무당으로 나누었다. 원무당은 신이 내린 집단으로 이들이 진정한 의미의 무당으로 [가망](/topic/가망)ㆍ산마누라ㆍ별성ㆍ제석ㆍ천왕ㆍ호귀ㆍ군웅ㆍ말명 등의 여덟 거리를 행하는 무당이라고 한다. 창부무당은 기예와 가무를 전담하는 무당으로 신이 내리지 않은 무당을 이른다. 뒷전무당 역시 뒷전만을 전담하는 무당이며 창부무당과 뒷전무당을 모두 합쳐서 정성무당이라고 한다.

일제강점기 이후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서울의 만신은 위계가 있다. 상속임 또는 불사방이라는 계층은 남무는 선관이라고 하고, 여무는 보살이라고 한다. 중속임은 전내 또는 전안이라고 한다. 상당주와 중당주가 다음의 계층에 속하는데 상당주는 [박수](/topic/박수)이고, 중당주는 만신이다. 뒷전무당이 다음의 위계에 속한다. 넋무당, 넋대신, 걸레 등은 모두 자리걷이를 전담하는 무당의 별칭이다. 태주방이라고 해서 다음의 위계가 있으며, 이들보다 격이 낮은 [명도](/topic/명도), 흠치암치, 무성패가 있다.

뒷전무당이 필요한 이유는 굿 속에서 이루어지는 가무악희(歌舞樂戱)의 재능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뒷전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지만, 뒷전이 온성주받이를 하거나 [마을](/topic/마을)굿에서 황제풀이를 했을 때에는 뒷전무당이 등장하여 안당뒷전, 가진뒷전, 안당사경뒷전 등의 [굿놀이](/topic/굿놀이)를 신명나게 펼쳤다. 이 때문에 뒷전무당이 전담해서 두 시간 가까이에 걸쳐서 굿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뒷전무당이 벌이는 무당굿놀이는 주로 [재담](/topic/재담)이 풍부하고, 타령과 같은 노래가 다수 동원되고, 특정 인물의 구실에 따라 탁월한 연기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신령이 내린 무당과 다르게 문서와 행동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 뒷전무당들이 생겨날 수밖에 없었다.

뒷전무당은 신령이 내리지 않았으므로 이들이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무당들은 허천ㆍ걸구ㆍ걸립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이들은 평복을 입고 굿상에서 물려진 음식을 한데 합쳐서 이것을 전물 삼아 굿을 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신복을 입지 않고 기대와 둘이서 하는 굿거리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경기도 남부의 산이제굿에서는 특히 마을굿에서는 뒷전무당이 두드러지는 구실을 한다. 뒷전무당은 흔히 산이 또는 선증애꾼들이 다수 등장해서 극적 역할을 나누어서 진행하는 특징이 있다. 깨낌꾼과 산이들이 춤도 추고 노래도 하면서 풍부한 놀이를 전하는 것이 이 굿거리이다. 여기에서 뒷전무당은 연기력과 소리 등을 내세우면서 이 놀이를 진행한다.

다른 고장의 굿에도 뒷전무당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있어서 비교의 기준이 된다. 이 인물들 가운데 특히 주목을 요하는 집단이 동해안의 양중들이다. 뒷전에 해당하는 거리는 이른 바 대거리 또는 [거리굿](/topic/거리굿)이다. 이 거리를 남성들이 맡아서 진행하는데 탁월한 연기력과 재담, 무가 등이 이 집단의 특징이다.

뒷전무당은 두 가지로 살펴보아야 한다. 한 가지는 지역적 분포와 [변이](/topic/변이)가 지니는 의미이다. 특히 신이 내리지 않은 인물들이 이 굿거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남성과 여성이 있어서 비교가 가능하다. 다른 한 가지는 무당집단의 분화 과정에서 뒷전무당의 특징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朝鮮巫俗の硏究 (赤松智城ㆍ秋葉隆, 屋號書店, 1937)
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연구 (김헌선, 집문당, 1995)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