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풀이

한국무속신앙사전
망자(亡者)가 순탄하게 저승길로 가도록 비는 전라도 지역 씻김굿의 한 과정.
definition
망자(亡者)가 순탄하게 저승길로 가도록 비는 전라도 지역 씻김굿의 한 과정.
mp3Cnt
0
wkorname
차수정
정의망자(亡者)가 순탄하게 저승길로 가도록 비는 전라도 지역 씻김굿의 한 과정.
내용우리나라에서는 죽음을 부정한 것으로 보고 죽은 자의 영혼이 살아있는 자에게 해를 끼치지 못하게 시신을 결박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러한 시신을 묶은 매듭을 ‘고’라고 한다. ‘고’는 이승에서 풀지 못한 원한을 의미하며, 고풀이는 매듭을 [기둥](/topic/기둥)에 묶어 놓았다가 하나씩 풀어가면서 영혼을 달래주는 대목의 굿을 말한다. 또한 ‘고’는 매듭을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한 가닥을 고리 모양으로 잡아 뺀 것을 말하는 순우리말이다. 이는 ‘인고’의 옛말이기도 하며, ‘괴로움’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고풀이’의 ‘고’는 이 세 [가지](/topic/가지) 의미를 모두 상징한다.

고풀이는 씻김의 종류에 따라 의례를 행하는 형태가 약간씩 다르다. 우선 고를 묶기 위한 질베가 필요하며, 이때 망자를 씻기기 위한 준비를 해둔다. 곽머리 위에서 씻길 경우에는 관 위에 망자의 옷을 놓고, [영돈](/topic/영돈)을 말 경우에는 돗[자리](/topic/자리) 위에 망자의 옷을 차례대로 놓는다. 망자의 옷은 생존 시 입었던 것과 같이 차례대로 관 혹은 돗자리 위에 올리며, [속옷](/topic/속옷)과 [양말](/topic/양말)은 새것으로 준비하고 겉옷은 생존 시에 입던 옷을 준비한다. 그리고 망자의 넋과 돈을 놓는다. [마당](/topic/마당) 한쪽에 긴 대나무 기둥을 세워놓고 그 대나무에 하얀 [무명](/topic/무명)천이나 베로 6m~7m 정도 묶어 늘어뜨린 매듭을 만들어 여무(女巫)가 다른 한쪽 끝을 잡아 당겨 [춤사위](/topic/춤사위)를 추면서 풀어나간다. 여무는 천 끝을 쥐어 높이 들어 올렸다가 내려 당긴다. 매듭지어진 고를 풀기 위해 한 팔이나 양팔로 천을 쳐서 올리거나 힘있게 휘돌려 고를 풀리게 한다. 여무는 한 매듭을 풀 때 마다 무가(巫歌)와 축원을 곁들이며 고가 다 풀리면 두 손을 받쳐 들고 어른다. 이는 죽은 영혼이 살아 있을 때 맺혀있던 원한이나 한을 매듭을 풀 때마다 함께 풀어주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불상한 금일 近者 어느 苦에 맺었는가
성주고에 맺었는가
•••••• (중략) ••••••
고고에 맺힌 고를 설서리나 풀어보세
성주고에 맺었으며 성주님이 감동하사 설서리나 풀어보세

이러한 내용의 무가를 고(苦)의 이름만 바꾸어 일곱 번 반복한다. 이때 어느 한 고가 풀리지 않으면 그것이 망자의 넋이 엉긴 곳을 지시한다고 믿고 무녀는 다시 그 고를 새롭게 풀어준다. 이러한 절차는 죽은 자를 망령의 상태에서 깨끗한 존재, 저승에 안주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로 부활시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고풀이에서는 망자의 한을 풀어주는 [지전춤](/topic/지전춤)과 고풀이춤이 있다. 고풀이베를 들고 추는 고풀이춤은 겁을 푸는 고풀이에서 액막이로 추는 것으로 진혼(鎭魂)과 오신(娛神)적 제의 기능이 있다. 또한 질베를 들고 추는 지전춤은 망자의 넋을 목욕시키는 제의적 기능을 하는 춤이다. 두 가지 모두 고풀이에 속하며, 흰 천으로 ‘고’를 일곱 개 정도 매어주고 살풀이로 넘어가면서 ‘고’를 푼다. 이 의식은 사령(死靈)이 묶여 있는 상태에 그치지 않고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탈피할 수 있다는 관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사자가 고풀이를 통해 원한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으로, 어떤 의미에서는 재생, 즉 신으로 환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고풀이는 생사(生死)의 모티브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진도 씻김굿의 무무에 관한 연구 (이명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한국무용사 (송수남, 도서출판 금광, 1988)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살풀이춤](/topic/살풀이춤)과 무속 연관성 연구 (이유나, 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한국 무용민속학 개론 (이병옥, 도서출판 노리, 2005)
공연예술적 측면에서 본 진도 씻김굿 연구 (금나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전북지역 무당굿의 전반적 성격과 공연학적 특성 (이영금, 공연문화연구, 2005)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