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오기굿

한국무속신앙사전
진오기굿
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 ‘진혼귀굿’, ‘지노귀굿’, ‘지로귀굿’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definition
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 ‘진혼귀굿’, ‘지노귀굿’, ‘지로귀굿’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mp3Cnt
92
wkorname
홍태한
정의서울 지역에서 행해지는 망자천도굿. ‘진혼귀굿’, ‘지노귀굿’, ‘지로귀굿’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首尔地区举行的引领亡者顺利进入阴曹的[巫祭](/topic/巫祭)。

“镇恶鬼巫祭”这个词的起源说法不一,有人认为是来自“镇魂鬼”,意指安慰亡魂;有人认为是来自“指路鬼”,意指为魂灵指路。不过,镇恶鬼巫祭的韩文“jinogigut”很可能不是来自汉字词,而是固有词。镇恶鬼巫祭有多种。根据举行的时间分为“就地镇恶鬼巫祭”(在亡者死去的地方举行的镇恶鬼巫祭,三[虞祭](/topic/虞祭)(亡者死后的第三次祭祀)开始前举行),“近镇恶鬼”(亡者死后[百日](/topic/百日)内举行的巫祭,如今大多指一年以内举行的巫祭),“陈镇恶鬼”(亡者死后很长一段时间后举行的巫祭)。

镇恶鬼巫祭亦可按照规模划分。按由小到大的顺序,依次为平镇恶鬼,鄂塞南(音),平塞南,天根塞南,双溪塞南。镇恶鬼巫祭由以下几个部分组成:1. [净化](/topic/净化)巫祭会场, 2. 准备送亡者, 3. 送亡者, 4. 确认亡者是否已走, 5. 整理巫祭会场。虽然活动内容较多,但目的都是荐度亡者。

镇恶鬼巫祭是首尔地区代表性的巫俗祭仪,融合了服饰,饮食,音乐,叙事歌,诙谐之语等多种元素。在镇恶鬼巫祭中,有口诵叙事巫歌《[钵里公主](/topic/钵里公主)》(音)的环节。身着盛装的巫师摆好杖鼓,击鼓的同时唱叙事巫歌,唱歌的时间很长。通过镇恶鬼巫祭,生动的神话得以完好地传承。
Jinogigut refers to rituals held in the Seoul area to guide the dead to the underworld.

The etymology of the term is conflicted. Some claim it originated from jinhongwi, a Chinese characterbased term meaning, “to appease the spirit of the dead, ” while some claim it came fom jinogwi, meaning, “to guide the path for the spirit.” Generally, however, jinogigut is perceived as a purely Korean word that did not originate from a singular concept.

There are many types of underworld entry rituals in Korean folk religion and various ways to categorize them. Jarigeoji (venue cleansing) jinogigut is held prior to samuje (“third grieving, ” held three days after the funeral), at the site of the death; jin (main) jinogi is held within 100 days of the death, which nowadays has been extended to a year; and mugeun (old) jinogi is held after an extensive period of time has passed since the death. By the scale of the ritual, jinogigut can be categorized, from the most humble to most elaborate, into pyeongjinogi, eolsaenam (saenam also meaning death-appeasing ritual), pyeongsaenam, cheongeunsaenam, and ssanggyesaenam.

The procedure for a jinogigut comprises the following stages: 1. [Cleansing](/topic/Cleansing) of the ritual venue; 2. Preparations to send off the dead; 3. Sending off the dead; 4. Confirmation of the departure of the dead; 5. Clean-up of the venue. The segments are complexly interwoven, but the direction of the ritual is singularly focused on guiding the dead to the underworld.

Jinogigut is representative of rituals held in the Seoul area, a colorful and complex mix of costumes, food, music, soliloquy and exchange of jokes. The shamanic song “[Barigongju](/topic/SongofAbandonedPrincessBari) (Song of Abandoned Princess Bari)” is recited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by the shaman, who also plays the janggu (hourglass drum), standing dressed in full formal attire. These impressive performances themselves become living myths that are preserved and passed down for generations.
내용진오기굿의 의미는 명확하지 않다. 진혼귀(鎭魂鬼)로 보아 죽은 영혼을 달랜다고 보기도 하고, 지노귀(指路鬼)로 보아 혼령이 가는 길을 알려준다는 의미로 보기도 하지만 한자어가 아닌 순우리말일 가능성이 높다.

진오기굿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먼저 진오기굿을 하는 시기에 따라 [[자리](/topic/자리)걷이](/topic/자리걷이) 진오기(망자가 죽은 곳에서 하는 진오기굿으로, 삼우재를 지내기 전에 하는 진오기굿), 진진오기( 망자가 죽은 지 백일 이내에 하는 진오기굿. 지금은 대개 1년 이내에 하는 경우에 진진오기라 한다), 묵은진오기(망자가 죽은 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하는 굿)로 나눈다. 규모에 따라서는 평진오기([재가집](/topic/재가집)이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 간단한 격식을 갖추어 하는 진오기굿), [얼새남](/topic/얼새남)(평진오기보다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재가집에서 하는 진오기굿으로, 상차림이 화려하고, 가시문을 안에 세운다), 평새남(가시문을 밖에 세운다), 천근새남(부자들만이 하는 진오기굿으로 상차림이 매우 화려하고 가시문을 안팎에 세운다), 쌍계새남(천근새남을 쌍계새남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도령을 둘이 도는 것으로 구분된다. 안당사경은 전날 하고 이튿날에 진오기를 한다) 으로 나누기도 한다. 최근 서울 지역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진오기굿은 [평진오기굿](/topic/평진오기굿)으로, [진진오기굿](/topic/진진오기굿) 아니면 [묵은진오기굿](/topic/묵은진오기굿)이다.

묵은진오기굿은 재수굿에 진오기굿을 더한 형식이며, 흔히 안안팎굿이라고 부른다. 묵은진오기굿의 제차는 다음과 같다. 주당물림, 부정청배-[가망](/topic/가망)청배-불사-산-조상-대안주 거리-성주-창부-뜬대왕-[사재삼성](/topic/사재삼성)-말미-[도령돌기](/topic/도령돌기)-상식-베가르기-뒷영실-뒷전. 여기에서 불사, 산, 조상, 창부를 빼고 대안주거리를 진행하다가 영실을 중간에 놀면 진진오기굿이 된다. 묵은진오기굿이 이승굿과 저승굿의 복합이라면 진진오기굿은 저승굿을 중심에 두는 굿이다.

진오기굿은 대략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성된다. 1. 굿판의 정화, 2. 망자 보낼 준비, 3. 망자 보내기, 4. 망자 보낸 후 확인하기, 5. 굿판 정리하기. 이러한 일련의 구조는 발단, 전개, 절정, 위기, 결말이라는 널리 알려진 구조를 연상시킬 정도로 매우 유기적이다. 어느 한 거리를 빼고서는 굿판이 온전하게 지탱될 수 없을 만큼 밀접한 관련 양상을 보인다. 주당을 물리면서 시작된 진오기굿은 망자를 극락으로 보낸다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고서야 끝이 난다. 복잡하게 얽힌 굿거리지만 망자 천도라는 목적 하나로 통일된 흐름을 가질 수 있다.

굿판의 정화 부분은 진오기굿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리는 부분으로, 주당물림·부정청배·가망청배가 여기에 속한다. 신의 영역인 굿이 시작되어 온갖 부정을 물리고 망자의 혼을 저승으로 천도시킬 준비를 갖추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진오기굿과 서울의 다른 굿의 양상이 동일하다.

망자를 보낼 준비를 하는 부분은 아직 본격적인 진오기굿이 아니다. 여러 신격을 차례로 불러 한바탕씩 놀려주는데 무가에서는 다른 굿과 차이가 발견되지 않고 ‘공수 부분’에서만 차이가 보인다. 이러한 것은 서울 지역 굿의 일반적인 특징이라 할 만한 것으로, 동일한 무가를 구송하면서 신들을 부르지만 그날의 굿판 목적에 맞추어 공수를 각각 다르게 주어 굿판의 본래 목적이 무엇인지를 나타낸다.

망자를 보내는 부분은 진오기굿의 가장 핵심으로서 다음에 이어지는 망자를 보낸 후 확인하기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망자를 저승으로 데려갈 사자가 우선 등장한다. 가족들은 사자에게 인정을 써서 망자가 무사히 저승으로 가기를 기원한다. 말미 거리에서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가 구송되면서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신의 유래담이 굿판에 자리한다. 그리고 도령을 돌면서 망자는 저승으로 간다. 때에 따라서는 [한삼](/topic/한삼)도령, 부채도령, 칼도령을 돌면서 망자가 여러 험한 것을 걷어 젖히면서 저승으로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망자가 저승으로 갔음을 확인하는 의식은 말미 거리에서 세발심지에 불을 붙이는 것으로 진행된다. 세발심지가 타 들어가면 무당은 [말미상](/topic/말미상)의 촛불을 제외한 불을 끄고 쌀에 나타나는 무늬를 통해 망자가 극락왕생했음을 확인시킨다. 자리걷이의 경우에는 시루에 있는 세발심지의 불을 밝힌 뒤 그 위에 [한지](/topic/한지)를 덮어씌우고 물을 뿌린 후 한지에 나타나는 그을음을 통해 망자의 천도를 확인하기도 한다. 재가집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의식을 통해 함께 생활하던 망자가 이제는 자신들과는 다른 영역의 세계에 도달했음을 느끼는 것이다. 상식을 올려서 망자는 고인이 되었음을 다시 확인하고 베를 갈라 저승으로 가는 모든 제약이 사라졌음을 눈으로 확인시킨다.

굿판을 정리하는 부분은 다른 굿과 동일하게 뒷전에서 이루어진다. 굿판에 오기는 했지만 정식으로 부름을 받지 못한 수비 영산들을 풀어먹인다. 마지막으로 북어나 칼을 던져서 굿판이 온전하게 일상의 공간으로 돌아왔음을 확인함으로써 굿은 끝난다.이러한 진오기굿은 복식, 음식, 음악, [사설](/topic/사설), [재담](/topic/재담)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진행되는 서울지역의 대표적인 무속의례이다. 최근에는 굿을 바라보는 관념이 과거와 달라져서 진오기굿의 연행 시간이 4~5시간으로 줄었지만 앞에서 기술한 모든 제차를 진행한다.

서울진오기굿에서는 말미거리에서 서사무가인 바리공주가 구송된다. 성장(盛裝)을 한 무당이 장구를 세워 놓고 치면서 장시간에 걸쳐 서사무가를 부른다. 살아 있는 신화가 온전하게 전승되고 있는 현장이 바로 진오기굿이다. 도령돌기에서는 음악의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삼도령을 돌 때에는 [굿거리장단](/topic/굿거리장단), 부채도령을 돌 때에는 별상장단, 칼도령을 돌 때에는 [당악](/topic/당악)장단이 각각 연주된다. 점점 저승으로 가까이 가는 모습을 음악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령을 도는 무당도 음악에 맞추어 춤동작이 점점 빨라진다.

진오기굿을 마친 재가집은 굿을 시작하기 전보다 훨씬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죽음의례를 통해 망자를 온전하게 저승으로 보냈다는 위안의 기능과 함께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 일상적인 생활이 영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현실 회복의 기능을 진오기굿이 수행했기 때문이다. 재수굿에는 재가집이 오지 않고도 굿을 연행하지만, 진오기굿에는 반드시 재가집이 참가하는 점에서 진오기굿이 아직도 종교의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서울진오기굿 (홍태한, 민속원, 2004)
서울지역 안안팎굿 무가자료집 (김헌선, 보고사, 2006)
서울지역진진오기굿 무가자료집 (김헌선, 보고사, 2007)
Jinogigut se refiere a un ritual que tiene lugar en las áreas del Seúl para gui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al inframundo.

Según la etimología del término, es posible que la palabra “jinogwigut” se originó del jinhongwi, un término basado en caracteres chinos que significa “apaciguar al espíritu del fallecido”, mientras algunos argumentan que el término es un derivado del “jinogwi” que tiene un significado de “guiar el camino hacia dónde debe ir el espíritu del muerto”.No obstante, el jinogigut se suele percibir como una palabra meramente coreana que no se originó de un solo concepto.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existen muchos tipos de rituales para guiar a las almas de los muertos hacia el submundo y hay varias maneras de categorizarlos. El jarigeoji jinogigut121 tiene lugar antes del samuje en el lugar de la muerte, el jin jinogi se realiza dentro de los 100 días de la muerte, que, en la actualidad, el plazo de los 100 días se ha prorrogado por un año, y el mugeun jinogi se lleva a cabo cuando se ha pasado un período de tiempo considerable tras la muerte.

El jinogigut puede ser categorizado, desde lo más simple hasta lo más elaborado, en el pyeongjinogi, eolsaenam, pyeongsaenam, cheongeunsaenam y ssanggyesaenam. Los procedimientos del jinogigut comprende las siguientes fases: 1. Limpieza del sitio del ritual, 2. Preparación para despedirse del muerto, 3. Despedida del fallecido, 4. Confirmación de la partida del muerto, y 5. Limpieza final del lugar del ritual. Los segmentos son interrelacionados de manera compleja, pero la dirección del ritual se concentra en un propósito que es guiar a los espíritus de los difuntos al submundo.

El jinogigiut es uno de los rituales representativos que tienen lugar en las zonas de Seúl, con una mezcla colorida y compleja de trajes, comida, música, soliloquios y bromas. Un chamán vestido con un traje completo recita la canción narrativa chamánica que se llama “[Barigongju](/sp/topic/detail/2132)” y toca también el janggu a la vez por un período de tiempo extendido. Estas actuaciones impresionantes llegan a ser leyendas vivas que son conservadas y transmitidas de generación en generación.
역사진오기굿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기 어렵다. 사람의 죽음의례가 오래전부터 있었음을 고려하면 진오기굿의 역사도 오래된 것으로 보이지만 문헌에서는 전거를 찾을 수 없다. 1937년에 간행된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에 경성 무녀 배경재의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가 수록된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서울 지역의 대표적인 의례로 거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진오기굿
73075
진오기굿
진오기굿
73074
진오기굿
진오기굿
73073
진오기굿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조상 공수 남편과 외가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장단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영실 망자와 가족들의 대화 04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영실 망자와 가족들의 대화 03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영실 망자와 가족들의 대화 02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영실 망자와 가족들의 대화 01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영실 곡소리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영실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시왕군웅거리 만세받이
한국민속신앙사전진오기굿 시왕군웅거리 노랫가락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