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집

한국무속신앙사전
무속제의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의식을 결정하는 주체인 신도.
definition
무속제의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의식을 결정하는 주체인 신도.
mp3Cnt
0
wkorname
이정재
정의무속제의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의식을 결정하는 주체인 신도.
내용재가집은 무속제의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무속을 이루는 구성 요소는 신관, 무당, 신도, 굿 혹은 의식 등이다. 재가는 굿이나 의식을 의뢰하거나 요구하는 주체다. 굿이나 의식은 대체로 무당을 위한 의식, 신도나 일반인을 위한 의식, 공동체를 위한 의식 혹은 굿으로 나뉜다. 신도의 경우는 죽은 자와 산 자로 나누어 의식을 구분한다. 굿이나 의식을 결정하는 주체는 무당, 신도, 공동체장 등이다. 일반적으로는 신도가 재가집이 된다.

재가집은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굿과 죽은 사람을 위한 굿으로 대별된다. 죽은 사람의 경우는 대부분 [천도굿](/topic/천도굿)이나 영혼결혼굿 등이 이루어지고, 산자에게는 재수굿, [병굿](/topic/병굿), 치성, [비손](/topic/비손) 등 다양한 재가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 행해진다.

재가는 자신의 가족 내 문제를 고민하다가 무당과 상담을 한다. 무당은 여러 처방을 내리게 되는데 그중의 하나가 굿이다. 굿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로 결정하는 쪽, 즉 신도가 재가집이 되는 것이다. 재가집이 굿을 하기로 하면 우선 날을 받고, 굿의 규모와 그에 따른 절차와 규모를 정한다. 이것을 결정하는 기준은 획일화되어 있지 않다. 문제의 경중과 재가집의 상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때 가장 큰 기준은 재가집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굿비)이다. 비용이 타협이 되지 않을 때는 굿이 취소되기도 한다. 비용은 재가집이 의뢰한 문제의 심각성 정도와 재가집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되면 무당은 굿청(굿을 할 장소)을 알아보고, 함께 할 다른 무당과 제비들의 구성을 주선한다. 이외에 제의에 필요한 제물, 의상, 차량 등을 준비한다.

보통 재가집이 치러야 하는 굿비는 무당에 따라 그 값은 또한 다양하다. 무당이 유명하거나, 무당의 능력이 두루 인정을 받고 평판이 좋을 경우 그 값은 훨씬 높아질 수 있다. 유명 연예인이나 정치인 등이 의뢰한 굿비의 경우 2009년 현재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이 굿비가 소요되는 내역은 앞서 제시했듯이 여러 준비물과 교통수단 등도 상당하지만 굿에 참여하는 무당들과 제비 도우미 등에 드는 인건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재가집은 굿을 하는 당일 관련 일가친척이 모두 참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도 상황에 따라 다르며 심할 경우는 재가집의 참여 없이 무당이 혼자 굿을 하기도 한다. 굿판에서 재가집의 위치는 대단히 중요하다. 어떻게 상호 소통이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굿의 효용성이 배가된다. 홍태한의 「재가집의 관점에서 바라 본 오구굿의 의미」라는 논문은 서울의 오구굿의 경우 영실, 대감, [사재삼성](/topic/사재삼성), 말미, 베가르기 등의 제차에 따른 재가의 적극적인 참여가 굿의 결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교통사고로 갑자기 딸과 손자를 잃은 재가는 딸의 영혼이 무당에 실리어 그 사고경위와 평소에 맺힌 한을 어떻게 순조로우면서도 적극적으로 풀어갔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굿은 인간에게 맺혀 있는 응[어리](/topic/어리)와 풀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사연을 효과적으로 풀어주는 역할과 기능을 훌륭하게 실현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때 재가의 역할과 자세는 대단히 중요하다.

재가집에 대한 연구는 실로 일천하다. 김태곤이 『한국무속연구』에서 그 중요성을 이미 언급하였고 일부 연구의 시도를 하였으나 이어진 연구가 적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차옥숭의 『한국인의 종교경험-무교』와 홍태한의 「재가집의 관점에서 바라본 오구굿의 의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역시 만족할 정도는 아니다.
참고문헌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한국인의 종교경험-무교 (차옥숭, 서광사, 1997)
재가집의 관점에서 바라 본 오구굿의 의미 (홍태한, 민속학연구 9, 국립민속박물관, 2002).)
한국문화인류학회한국 무신의 계통김태곤1970
정음사한국의 무조흥윤1983
대원사한국의 무속김태곤1991
목원사무속신앙박정례1994
한국 무속신 고찰양종승199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