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영해별신굿놀이는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한 지역 유형의 굿. 이 굿은 1980년 12월 30일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
---|---|
mp3Cnt | 0 |
wkorname | 조정현 |
정의 | 영해별신굿놀이는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한 지역 유형의 굿. 이 굿은 1980년 12월 30일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 每隔三年,五年或十年,向村庄守护神祈愿保佑村庄的平安和丰收的巫祭。 在海岸地区,又称为“丰渔祭”,而内陆地区又称为“别神祭”。内陆地区以安东河回别神祭,[恩山别神祭](/topic/恩山别神祭),堤川吾峙别神祭等为代表,海岸地区以[东海岸别神巫祭](/topic/东海岸别神巫祭)和[南海岸别神巫祭](/topic/南海岸别神巫祭)等为代表。 河回村庄的别神巫祭是在庆尚北道安东市丰川面河回里守郎堂(音),于正月初一至十五,由庶民进行的别神巫祭。该巫祭以河回里丰山柳氏的同姓村庄,即朝鲜宣祖时代名臣柳成龙的村庄最为著名。平常祭又称为“洞祭”或“祭祀”,每五年或十年降下神托时进行别神巫祭。进行别神巫祭时,要举行假面戏,这时进行的[河回别神巫祭假面戏](/topic/河回别神巫祭假面戏),于1980 年被指定为重要非物质文化遗产,而河回假面,则于1964 年被指定为国宝。 恩山别神祭是在忠清南道扶余郡恩山面恩山里举行的村庄共同祭仪,是由儒教式祭礼和巫祭相结合的复合形式的祭仪,它每年举行一次,每三年举行一次大祭,在正月或阴历二月举行,此时举行的祭礼称为别神祭。 堤川五峙别神祭,是忠清北道堤川市水山面五峙里传承至今的别神祭,于2001 年被指定为地方非物质文化遗产。它是由山神祭和守郎祭组成的洞祭,山神祭是安静而严肃的儒教式祭祀,只有男人为主的祭官们参加,不伴随农乐。守郎祭是开放性的,以守郎(音)直接确认神意。守郎祭是伴有农乐的庆典气氛的祭祀。如果某年度只进行山神祭,那么第二年就进行山神祭和守郎祭。东海岸别神祭是在东海岸地区自然村中,以一定周期举行的村庄巫祭,1985 年被指定为重要非物质文化遗产。东海岸别神巫祭由世袭巫集团主持进行,沿着东海岸地区海岸线,包括江原道北端至釜山沿线地区。祭仪程序是,将村庄守护神从祭堂请到巫祭祭堂,把降神竿捆绑到柱子上开始进行巫祭。以杖鼓,大锣,小锣等打击乐器做伴奏是东海岸巫乐所具有的重要特征之一,其中的杖鼓举足轻重,进行巫祭时,一般是由巫女的丈夫敲杖鼓。 南海岸别神巫祭是在以巨济和统营为中心的海岸村庄和岛屿地区进行的村庄巫祭,于1987 年被指定为重要非物质文化遗产。该别神巫祭一般在正月初一至十五期间进行。南海岸别神巫祭的特点是与庆尚道和全罗道巫俗具有相同的属性。 | Byeolsingut is a communal ritual held every three, five, or ten years to pray for peace and prosperity to the village tutelary spirit. Such rituals are also called pungeoje (big catch ritual) on the coastal regions and byeolsinje in inland regions. Byeolsingut from Hahoe villag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Eunsan in South Chungcheong, and Oti in North Chungcheong are the biggest among those held in inland regions, while rituals from the eastern and southern coasts are also widely recognized. Hahoe Village Byeolsingut from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is held from the fir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to the fifteenth, traditionally carried out by common people. Hahoe is a single-lineage village of the Pungsan clan of the Ryu family, the hometown of Ryu Seong-ryong, a revered court 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At Hahoe, the annual village rituals are called dongje (village tutelary ritual) or jesa (memorial ritual), while byeolsingut is held every five or ten years, upon the reception of an oracle. Hahoe Byeolsingut includes a mask dance performance, which w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in 1980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masks used in the performance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in 1964. [[Eunsan Byeolsinje](/topic/RiteforTutelarySpiritofEunsan)](/topic/EunsanByeolsinje) is a communal rite from Buyeo, South Chungcheong, which comprises both the Confucian memorial service and the shamanic ritual. It is an annual event, with the grand ceremony (daeje) held every three years on the first or second lunar month. Oti Byeolsinje from Jecheon in North Chungcheong was designated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in 2001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a village ritual comprising a mountain god ritual (sansinje) and village guardian deity ritual (seonangje): The former is a quiet and solemn Confucian memorial rite with only male ritual officials taking part, without the accompaniment of farmers’ music, while the latter is more open, the divine intent confirmed directly through the sacred pole seonangdae, and with elaborate festivities that include music. The mountain god ritual is held annually, while the ritual for the village guardian deity is included in the program every other year. Eastern Coast Byeolsingut is a regular village ritual designated in 1985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itual is organized by a hereditary shaman group and is observed all along the eastern coast, from the northern end of Gangwon Province to the Busan area on the southern coast. The ceremony begins by carrying the village guardian deity from its shrine to the ritual venue and tying the sacred pole (sindae), which embodies the deity, on a column of the shaman’s ritual shrine, after which the shamanic ritual can start. The shamanic music of the eastern coast is performed only with percussion instruments, including janggu (hourglass drum), jing (gong) and kkwaenggwari (small gong), among which the hourglass drum is featured most prominently, performed generally by the husband of the officiating shaman. Southern Coast Byeolsingut, designated in 1987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observed annually in coastal and island villages around Geoje and Tongyeong between the first and fifteenth days of the first lunar month. The ritual shares characteristics of the shamanic rites of both the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 Byeolsingut se refiere a un ritual que tiene lugar cada tres, cinco o diez años para pedir a la deidad tutelar del pueblo la paz y prosperidad en la comunidad. Tales rituales se llaman también pungeoje en las regiones costeras; pero se dominan byeolsnje en las regiones interiores. El byeolsingut que se lleva a cabo en Hahoe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buk-do, en Eunsan de la provincia de Chungcheongnam-do y en Oti de la provincia de Chungcheongbuk-do son los más grandes entre aquellos rituales que se realizan en las regiones interiores, mientras los rituales que se practican en las zonas costeras del este y del oeste también se reconocen ampliamente. El byeolsingut de Hahoe es un ritual celebrado en un santuario ubicado en Pungcheon-myeon de Hahoe-ri de la ciudad de Andong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bukdo en el primer día del enero del calendario lunar. El byeolsingut se lleva a cabo tradicionalmente por la gente corriente. La aldea de Hahoe-ri es una residencia de un único clan(comunidad social formada por personas con un mismo apellido y origen común), el clan Pungsan de la familia Ryu en el caso de Hahoe, donde nació Ryu Seong-ryong, un funcionario famoso en la época del rey Seonjo de la dinastía Joseon. En Hahoe-ri, los rituales aldeanos llamados “dongje” o “jesa” se efectúan anualmente mientras el byeolsingut se realiza cada cinco o diez años, al recibir un oráculo del cielo. La danza de máscaras que se denomina como “talnori” se efectúa como parte del byeolsingut de Hahoe, la que fue designada como Importante bien Cultural Intangible de Corea en 1980 y la máscara usada en la actuación de esta danza fue declarada como Tesoro Nacional en 1964 por el gobierno coreano. El byeolsinje de Eunsan es un rito comunal que se practica en Eunsan-ri de Eunsan-myeon de la ciudad de Buyeo de la provincia de Chungcheongnam-dom donde se pueden observar cultos confucianos y rituales chamánicos al mismo tiempo. Es un evento anual con una gran ceremonia que se realiza cada tres años en el primer o el segundo mes del calendario lunar. El byeolsinje de Oti que se celebra en la ciudad de Jecheon de la provincia de Chungcheongbuk-do fue designado como Patrimonio Cultural Intangible de la Provincia de Corea en 2001. Es un ritual aldeano que comprende el sansinje que se refiere al ritual del dios de la montaña y el seonanje que es el ritual de la deidad tutelar del pueblo. El sansinje sigue formalidades en un ambiente de solemnidad según la tradición confuciana sin el acompañamiento de la música de agricultores, mientras el seonanje es un ritual que tiene un carácter más abierto donde se confirma la intención divina de manera directa a través del palo sagrado seonangdae. El ritual está compuesto por distintas festividades que incluyen la música. El sansinje tiene lugar anualmente, mientras el seonangje se incluye en el programa del sansinje cada dos años. El byeolsingut de la costa de este es un ritual regular que fue declarado como Importante Bien Cultural Intangible de Corea en 1985. El ritual se encabeza por un grupo de chamanes hereditarios y se observa a lo largo de la costa oriental, desde las regiones norteñas de la provincia de Gangwon-do hasta las zonas de Busan que se encuentran en la costa del sur. La ceremonia del byeolsingut de la costa este se inicia con un rito de mover la deidad tutelar del pueblo, de su santuario gutdang, lugar donde se realiza el ritual y atar el sindae, palo sagrado que encarna la deidad a una columna del gutdang. Luego, la música chamánica se interpreta solamente con los instrumentos de percusión incluyendo janggu, jing, y kkwaenggwari que es un gong pequeño, de los cuales el janggu es el más destacado y tocado generalmente por el marido del chamán femenino que oficia el ritual. El byeolsingut de la costa oeste, designado como Importante Bien Cultural Intangible de Corea en 1987 se practica cada año en las zonas costeras e interiores que se encuentran alrededor de la cuidad de Geoje y la de Tongyeong. Este ritual se lleva a cabo entre el 1 y el 15 d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El byeolsingut de la costa meridional lleva características de ritos chamánicos efectuados en la provincia de Gyeongsang-do y la de Jeolla-do. | 내용 | 영해별신굿놀이는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한 종류로, 음력 3월에 행해진다. 굿은 굿이 행해지는 곳의 나쁜 기운을 씻어내는 부정굿, [마을](/topic/마을)의 수호신을 모셔오는 골매기 청좌굿, 신과 인간을 화해시키는 화해굿, 시준굿 또는 중굿이라고도 불리는 세존굿, [조상신](/topic/조상신)에 대한 조상굿, 가옥을 관장하는 성주신에게 바치는 [성주굿](/topic/성주굿), 천왕신에 대한 천왕굿, 눈병을 없애주는 굿거리인 심청굿, 무녀가 축원을 한 뒤 놋대야를 입에 무는 [놋동이](/topic/놋동이)굿, 마마를 앓게 하는 손님신에 대한 손님굿, 용왕신에 대한 용왕굿, 신들을 따라 다니는 수비들을 풀어먹이는 [거리굿](/topic/거리굿)의 순서로 진행된다. 영해별신굿은 세습무당의 굿이다. 조상대대로 전승되어 동해안 어촌 일대에서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이 굿은 일명 풍어제라고도 한다. 그 이유는 해안은 육지보다 [생업](/topic/생업)의 현장에서 생명의 위험성이 많기 때문이다. 음력 3월이 되면 마을의 평안과 수호, 사자(死者)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본격적인 별신굿놀이가 시작된다. 영해별신굿 보[유자](/topic/유자)였던 [송동숙](/topic/송동숙)(宋東淑)은 온갖 조화술에 능해 칼과 [송곳](/topic/송곳), 노끈, 종이만 있으면 온갖 꽃을 만들어 내는 등 이 부문에 있어서 그를 따를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현재는 맏딸인 송명희 무녀와 사위인 [김장길](/topic/김장길) 화랭이가 보유자로 지정되어 맥을 이으면서 활발하게 전승활동을 벌이고 있다. 1. 제장(굿당) : 마을에는 으레 골맥이당과 [서낭당](/topic/서낭당)이 있으나 이곳에서 무제를 올리는 일이 없었다. 당에서 굿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당은 산 위 또는 마을과 떨어진 외딴곳에 있어서 주민들이 모일 만한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굿당은 언제나 마을에서 가깝고 가장 넓은 해변사장에 천막을 쳐서 임시 굿당을 마련하는 것이 상례이다. 제단은 으레 바다 쪽을 향하여 가설하고 제물을 진설한다. 무녀는 [제상](/topic/제상) 앞에서 강신·청배·축원 등을 하고 무가를 할 때에는 관중 쪽을 향하여 굿을 하며, 반주자는 제단 쪽을 향하여 앉는다. 마을의 유지이며 별신굿의 임원들(이장, 어촌계장과 집사 등)은 굿청 한쪽 옆에 자리를 잡고 무녀들의 상담에 응하면서 접빈의 일을 본다. 나머지 삼면은 관중석이 된다. 굿청 밖 차일 [기둥](/topic/기둥) 옆(바다쪽)에는 신기와 신간(神杆)이 세워진다. 신간은 보통 네 개를 세운다. 그 명칭은 ① 너름 받는 대([마루](/topic/마루)대) ② 손대(2개) ③ 골매기 대 등이다. 이 가운데 골매기 대는 당(堂)맞이 굿을 할 때 제주(祭主)로 뽑힌 사람이 [신대](/topic/신대)를 들고 당을 찾아갈 때 사용되며, 마을의 길흉을 물을 때에도 이 신대를 내려서 점을 친다. 대의 모양은 큰 대나무이며, 종이로 만든 등(燈)이나 여러 [가지](/topic/가지) 무늬를 새겨 오린 것으로 술을 달아 놓는다. 골매기 대는 여러 개의 대나무로 묶어서 만들기도 한다. 2. 무구와 [무복](/topic/무복) : 무구로는 장구, 북, 징, 꽹쇠(매구) 등 악기가 필수적이다. 신기(神器)로서는 작은 신칼[神刀]과 신간이 있다. 무복은 접신무(接神巫)처럼 다양하지 않고 극히 단순하다. [쾌자](/topic/쾌자)(袂子)와 [장삼](/topic/장삼)(長衫) 그리고 갓과 [고깔](/topic/고깔)이 있을 뿐이다. 다만 무녀나 남격(男覡, 화랭이)들도 예쁜 비단옷을 곱게 차려 입는다. 무녀들의 머리 모양은 매우 특이하지만 얇고 흰 수건을 머리중간(귀위)에 한바퀴 돌리고 약간 긴 끝을 가지고 작약꽃 모양을 만들어 왼쪽 귀의 옆에 붙도록 한다. 그리고 처녀는 일할 때처럼 수건을 머리 위를 덮어서 뒤에다 맴으로써 기혼녀와 미혼녀를 반드시 구별하고 있다. 3. 제물과 제상 : 제물의 진설은 마을 또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 진설방법이나 제물의 종류는 엄격한 규정 없이 일상적인 차림에 한두 가지 찬(饌)이 더 있는 정도로 극히 간편하여 제상의 모양을 갖추는 데 지나지 않는다. 거리마다 음식을 잘지도 않아 일절 낭비가 없는 것이 특색이다. 무당들이 특별한 요구를 하는 경우도 전혀 없다. 다만 약속에 의하여 굿을 성의껏 하면 그만이다. 4. 굿의 차례 : 제일이 결정되면 5일 내지 7일 전에 제주를 선정하고 당 주변에 [금줄](/topic/금줄)을 친다. 제주는 당에 소지를 올리고 제가 있음을 고하고 제일까지 목욕재계하며 근신해야 한다. 굿이 진행되면서부터 모든 것은 무당의 지시에 따른다. 굿은 대략 부정굿, 골매기청좌굿, 당맞이, 화해굿, 세존굿, 조상굿, 성주굿, [장군](/topic/장군)굿, 천왕굿, 심청굿, 놋동이굿, 손님굿, 계면굿, 용왕굿, [탈굿](/topic/탈굿), 거리굿 순으로 진행된다. 각 거리의 개요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정굿 : 부정을 친다고들 흔히 말하는데, 글자 그대로 정결하지 못한 것을 깨끗이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장에 제신을 모셔 오기 위한 준비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무녀가 평복으로 제상 앞에서 재배를 하고 부정굿의 무가를 부른다. 이때에는 관객도 없고 제배, 축원 등으로 간단하게 끝낸다. 이어 정수(淨水)를 들고 신칼에 정수를 묻혀 제상 주변에 뿌린다. 이것으로 제장이 정결하게 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2) 골매기 청좌 : 골매기신은 한자로 동구(洞口)막이, 지역에 따라서는 수구(水口)막이·수살막이 등으로 불린다. 대개 이 신은 수구, 즉 동구에 있는 신을 말한다. 청좌는 청하여 좌정시킨다는 말로, 곧 가장 먼저 동구신을 초청한다. 여기에서 강신 행위가 진행된다. 포(脯)와 신칼을 두 손에 쥐고 제단을 향하여 묵념한 후 약간 몸을 비칠하는 것으로 강신의 의미를 표현하며, 이후 무당의 말은 신의 말로 바뀌어 권능을 지니고 모든 사람에게 지시를 한다. 3) 당맞이 : [서낭기](/topic/서낭기)를 가지고 당신(堂神)을 모시러 간다. 당제가 거행되는 것이다. ① 무축(巫祝) : 제물 진설이 끝나면 [제관](/topic/제관)(祭官)들이 늘어서는 동안 무당이 축원한다. ② [헌작](/topic/헌작)(獻酌) : 배례(拜禮)이다. 제단에 술잔을 부어 놓고 절을 한다. ③ 무축(巫祝) : 제관들의 배례가 끝난 후 무녀의 [덕담](/topic/덕담)과 축원이 이어진다. ④ 소지(燒紙) : 무녀가 마을에서 요구하는 대로 소지를 올려 길흉을 점쳐 준다. ⑤ [음복](/topic/음복)(飮福) : 제물을 조금씩 모아 바다에 내던지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당맞이가 끝나면 굿청으로 돌아온다. 4) 화해굿 : 여러 신들의 화해와 동중의 화해를 도모하는 굿이다. 5) 세존굿(중굿) : 세존굿은 석가여래의 세존에서 온 말로, 불교와 결합해 승화된 신격에 대한 굿이다. 무녀가 [승복](/topic/승복)을 하고 장편 서사무가를 부른다. 이것이 끝나면 굿 중에서 비중이 큰 굿인 걸립과 중도둑잽이놀이가 진행된다. 가장 인기있는 종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굿은 수석 무당이 한다. 6) 조상굿 : 조상굿은 조상신들을 초청하여 접대하는 비교적 단조로운 굿이다. 7)성주굿 : 성주는 가옥의 주신이며 남신이다. 개인의 가정에 행과 불행을 관장하는 [가신](/topic/가신)이다. 굿은 주무가 쾌자를 입고 갓을 쓰며 부채를 들어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 무가를 연창하고, 가옥 건축의 시종을 연희로 재현시켜 보인다. 8) 장군굿 또는 군웅굿 : 국가를 수호하는 영웅들의 위대성을 찬양하는 무가를 연창한다. 9) 천왕굿 : 조선국조신인 환웅천왕을 비롯하여 도교의 오천왕과 불교의 제천왕을 숭상하여 국가민족 수호의 덕을 찬양하는 굿이다. 10) 심청굿 : 인간의 안질(眼疾)을 없애고 눈총을 밝게 하는 굿이다. 무가로는 [심청가](/topic/심청가)를 연창하며, [봉사놀이](/topic/봉사놀이)(장님놀이)가 연출된다. 11) 놋동우굿 : 놋동이 놋양푼을 입에 물고 춤을 추는 굿이다. 12) 손님굿 : 손님은 마마를 앓게 하는 역신(疫神)을 말한다. 역병신이 외방에서 왔기 때문에 손님이라고 호칭한다. 무녀는 손대를 메고 부채를 들어 무가를 연창한다. 13) 계면굿 : 계면은 무의 [단골](/topic/단골)구역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 굿은 단골을 위한 것이다. 14) 용왕굿 : 어촌에서 용왕굿을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어업의 번성과 생명의 보전에 의미를 둔 굿이다. 15) 탈굿 : 이 굿은 놀이굿으로, [가면극](/topic/가면극)이다. 가면은 종이로 만들어 썼다가 극이 끝나면 소각한다. 일반적인 탈놀이의 [할미](/topic/할미) 과장에 해당하는 굿놀이이다. 16) 거리굿(뒷전거리) : 거리굿은 파장굿이라 할 수 있다. 뒷전거리라고 하는 것과 뒷전에서 어른을 모시고 따라온 졸개 귀신들을 먹여 풀어보내는 굿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굿은 여무가 하지 않고 화랭이가 맡아 하며, 반주자 모두 남자들만이 참여하는 굿이다. 굿청에 있는 굿상을 모두 치우고 제물로 놓았던 밥, 탕, 반찬 등을 섞어서 비빔밥을 만들고 탁주 한 말을 놓고 시작한다. 한 거리가 끝날 때마다 비빔밥과 술을 들고 바닷가에 나가 뿌려준다. | 역사 | 별신굿은 3년이나 5년 혹은 10년마다 [마을](/topic/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기원하는 굿이다. 고대에는 부여의 [영고](/topic/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topic/동맹)(東盟)과 같이 국가에서 행해지던 제사의식이었다. 그러다가 나중에 [하회마을](/topic/하회마을)별신굿과 같은 마을행사로 축소되었고 또한 용왕과 산신 등에게 마을의 평화와 풍어(豊漁)를 기원하고 바다에서 죽은 자의 영혼을 위로하는 해변 어촌의 행사로 변천해 갔다. 우리나라 해안 지방에서는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과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으로 나뉘어 전해지고 있다. 별신굿의 연원은 『위지 동이전(魏志 東夷傳)』 「마한조 별읍(馬韓條 別邑)」에서 “立蘇塗 建大木 懸鈴鼓 事鬼神”하였다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전통은 면면히 유전되어 동해안 어촌 일대에 있으며, 일명 풍어제라고 한다. 농촌에 전해 오던 별신굿은 이제 거의 자취를 감춘 상태이다. 이처럼 농촌의 별신굿이 전멸 상태인데 비해 해안 일대에 별신굿이 남아 있다는 사실은 지역적 특성에서 온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즉 해안은 육지보다 [생업](/topic/생업)의 현장에 생명의 위험성이 많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이 위험성의 극복은 오로지 해신을 비롯한 제신(祭神)의 가호(加護)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별신굿의 종교적 행사가 더욱 요청되었던 것이다. 별신굿의 연원이 고대에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오랜 세월 동안 시대가 바뀌고 문화가 진전함에 따라 외형이나 내용에 많은 변화를 거쳐 현금까지 전래된 것임이 틀림없다. 그러나 무제(巫祭)가 지니는 심층의 원형구조만은 변함이 없다고 [사료](/topic/사료)된다. 즉 신성성을 지키기 위한 ‘세습제’라든가, 가오무신(歌舞娛神)의 형식이라든가, 여무(女巫)가 굿의 주역(主役)이 된다든가 하는 것들은 원형을 그대로 보존한 부분들이다. | 지역사례 | 영해별신굿놀이는 지역에서 다양한 행사에 활용되고 있다. 삼사해상공원에서 벌어지는 해돋이축제 때나 영덕군민들이 화합하여 [복숭아](/topic/복숭아)의 풍년과 활성화를 기원하는 복사꽃 축제 등 지역 행사에는 거의 빠짐없이 등장하여 굿이 연행된다. 물론 본래 연행되던 방식의 별신굿 형태는 아니지만 굿의 대중화란 측면에서 볼 때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지정보고서 (경상북도, 1980) |
---|
집문당 |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 연구 | 김헌선 | 199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