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전통적인 민간처방으로 액막이 방법의 하나로 예방․방법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며 방술이나 술법이라고도 함. |
---|---|
mp3Cnt | 1 |
wkorname | 백민영 |
정의 | 전통적인 민간처방으로 액막이 방법의 하나로 예방․방법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며 방술이나 술법이라고도 함. | 정의 | 전통적인 민간처방으로 액막이 방법의 하나로 예방․방법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며 방술이나 술법이라고도 함. | 내용 | 예나 지금이나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예기치 못한 액운이 닥쳐오고, 조금이라도 이러한 액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위태롭게 하는 생활상의 변수들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topic/가지) 방법을 강구한다. 민간신앙은 현실의 액운을 당장 풀고자 하는 데서 비롯되기 때문에, 어떠한 내적 수련 없이 일정한 절차에 의한 제의를 행하면 무언가 초월적인 힘에 의해 구제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양밥은 개인의 액과 화를 막기 위해 간단하게 행하는 주술행위이므로 전문 사제자의 힘을 빌리기보다는 집안의 주부가 직접 행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에 따라 명칭은 다르지만 거의 모든 지역에서 음력 정초가 되면 일 년간의 액과 화를 막기 위해 무당이나 점쟁이, 또는 [법사](/topic/법사)를 불러서 방액을 위한 [액막이굿](/topic/액막이굿)을 하였다. 그러나 정월에 신수를 보아 수가 좋지 않으면 부적을 써 주거나 가벼운 경우 양밥을 일러준다. 지역과 상황에 따라 갑자기 발생한 잔병을 주술적으로 치유하는 ‘[객귀물리기](/topic/객귀물리기)’나 ‘[잔밥먹이기](/topic/잔밥먹이기)’와 동일한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칠월칠석날 저녁에 어머니들이 색실을 꿰어 자식의 오지랖에 꽂아 두는 것을 ‘양밥한다’라고도 하며 이렇게 하면 자식의 과거운(科擧運)이 트인다고 믿었다. [바늘에 실꿰기](/topic/바늘에실꿰기) 풍속과 마찬가지로 ‘색실 달기’, ‘골무 물에 띄워 보내기’ 풍속도 모두 자손을 위하는 마음이 담긴 풍속이며 특히 경남 지역에서 다수 발견된다. 전남, 경북 지역에서도 이러한 풍속이 행해졌는데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신수를 보고 액이 가벼운 경우에는 양밥을 일러준다. 만일 몇 월에 차사고가 있을 수가 있으면 소금과 팥, 고춧가루를 섞어서 봉지 안에 넣고 자리 밑에 놓으라고 일러주거나 몸에 지니게 한다. 혹은 몇 월에 초상집 등 어디를 가지 말라고 일렀는데 갔다 와서 좋지 않으면 객구를 쳐주기도 한다. | 내용 | 예나 지금이나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예기치 못한 액운이 닥쳐오고, 조금이라도 이러한 액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위태롭게 하는 생활상의 변수들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topic/가지) 방법을 강구한다. 민간신앙은 현실의 액운을 당장 풀고자 하는 데서 비롯되기 때문에, 어떠한 내적 수련 없이 일정한 절차에 의한 제의를 행하면 무언가 초월적인 힘에 의해 구제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양밥은 개인의 액과 화를 막기 위해 간단하게 행하는 주술행위이므로 전문 사제자의 힘을 빌리기보다는 집안의 주부가 직접 행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에 따라 명칭은 다르지만 거의 모든 지역에서 음력 정초가 되면 일 년간의 액과 화를 막기 위해 무당이나 점쟁이, 또는 [법사](/topic/법사)를 불러서 방액을 위한 [액막이굿](/topic/액막이굿)을 하였다. 그러나 정월에 신수를 보아 수가 좋지 않으면 부적을 써 주거나 가벼운 경우 양밥을 일러준다. 지역과 상황에 따라 갑자기 발생한 잔병을 주술적으로 치유하는 ‘[객귀물리기](/topic/객귀물리기)’나 ‘[잔밥먹이기](/topic/잔밥먹이기)’와 동일한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칠월칠석날 저녁에 어머니들이 색실을 꿰어 자식의 오지랖에 꽂아 두는 것을 ‘양밥한다’라고도 하며 이렇게 하면 자식의 과거운(科擧運)이 트인다고 믿었다. [바늘에 실꿰기](/topic/바늘에실꿰기) 풍속과 마찬가지로 ‘색실 달기’, ‘골무 물에 띄워 보내기’ 풍속도 모두 자손을 위하는 마음이 담긴 풍속이며 특히 경남 지역에서 다수 발견된다. 전남, 경북 지역에서도 이러한 풍속이 행해졌는데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신수를 보고 액이 가벼운 경우에는 양밥을 일러준다. 만일 몇 월에 차사고가 있을 수가 있으면 소금과 팥, 고춧가루를 섞어서 봉지 안에 넣고 자리 밑에 놓으라고 일러주거나 몸에 지니게 한다. 혹은 몇 월에 초상집 등 어디를 가지 말라고 일렀는데 갔다 와서 좋지 않으면 객구를 쳐주기도 한다. | 지역사례 | 경북 봉화군 명호면 양곡리에서는 가족 중 갑자기 아픈 사람이 생기면 무당을 통해 점을 본다. 귀신이 붙어 아픈 것이라는 점괘가 나오면 무당이 이를 풀어주거나 주부가 귀신을 쫓는데 이를 양밥이라고 한다. 주로 집안 여성들이 양밥을 하는데 바[가지](/topic/가지)에 고춧가루를 물에 타서 넣은 다음 [부엌](/topic/부엌)칼로 아픈 사람의 몸을 위에서 아래로 훑은 후 머리카락을 조금씩 뜯어 넣는다. 허공에 대고 무언가를 잡아내는 시늉을 한 후 마지막으로 [마당](/topic/마당)에 칼을 던진다. 이때 칼날 끝이 [대문](/topic/대문) 쪽을 향하면 액이 나간 것이고 집 안을 향하면 액이 나가지 않은 것으로 여긴다. 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에서는 ‘홍역양밥’이라고 하여 아이가 홍역에 걸리면 [마을](/topic/마을)에 홍역을 하다 죽은 아이가 있는 집에 가서 콩나물 시루에 아기 옷을 넣어 엎어둔다. 이는 홍역으로 죽은 귀신을 가두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아이에게 해를 입히지 못한다고 믿었다. 경북 예천군 유천면 광전리에서는 밭제를 할 때 가져간 음식은 반드시 밭에서 다 먹어야 좋다고 한다. 이때 음식을 조금씩 떼어내 밭에 뿌린다. 시루를 찌지 않을 경우는 찹쌀부꾸미를 굽거나 [감자](/topic/감자)로 적을 한다. 이는 기름 냄새를 풍겨 벌레가 끓지 말라는 뜻이 있고 쥐가 벼를 쏠지 않게 하기 위해 양밥으로 하는 것이다. 충북 괴산에서는 귀신불을 놓기 전에 대문 밖에 [황토](/topic/황토)를 여섯 군데 뿌려 미리 귀신의 접근을 예방하고, 경북 영덕에서는 귀신 쫓는 불이라 해서 달봉나무 수염에 불을 붙여서 윙윙 돌렸는데 이를 ‘양밥한다’고 한다. | 참고문헌 |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한국민속학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2004) 한국의 가정신앙-경상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민속신앙사전-[마을](/topic/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 지역사례 | 경북 봉화군 명호면 양곡리에서는 가족 중 갑자기 아픈 사람이 생기면 무당을 통해 점을 본다. 귀신이 붙어 아픈 것이라는 점괘가 나오면 무당이 이를 풀어주거나 주부가 귀신을 쫓는데 이를 양밥이라고 한다. 주로 집안 여성들이 양밥을 하는데 바[가지](/topic/가지)에 고춧가루를 물에 타서 넣은 다음 [부엌](/topic/부엌)칼로 아픈 사람의 몸을 위에서 아래로 훑은 후 머리카락을 조금씩 뜯어 넣는다. 허공에 대고 무언가를 잡아내는 시늉을 한 후 마지막으로 [마당](/topic/마당)에 칼을 던진다. 이때 칼날 끝이 [대문](/topic/대문) 쪽을 향하면 액이 나간 것이고 집 안을 향하면 액이 나가지 않은 것으로 여긴다. 경북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에서는 ‘홍역양밥’이라고 하여 아이가 홍역에 걸리면 [마을](/topic/마을)에 홍역을 하다 죽은 아이가 있는 집에 가서 콩나물 시루에 아기 옷을 넣어 엎어둔다. 이는 홍역으로 죽은 귀신을 가두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아이에게 해를 입히지 못한다고 믿었다. 경북 예천군 유천면 광전리에서는 밭제를 할 때 가져간 음식은 반드시 밭에서 다 먹어야 좋다고 한다. 이때 음식을 조금씩 떼어내 밭에 뿌린다. 시루를 찌지 않을 경우는 찹쌀부꾸미를 굽거나 [감자](/topic/감자)로 적을 한다. 이는 기름 냄새를 풍겨 벌레가 끓지 말라는 뜻이 있고 쥐가 벼를 쏠지 않게 하기 위해 양밥으로 하는 것이다. 충북 괴산에서는 귀신불을 놓기 전에 대문 밖에 [황토](/topic/황토)를 여섯 군데 뿌려 미리 귀신의 접근을 예방하고, 경북 영덕에서는 귀신 쫓는 불이라 해서 달봉나무 수염에 불을 붙여서 윙윙 돌렸는데 이를 ‘양밥한다’고 한다. | 참고문헌 |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한국민속학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2004) 한국의 가정신앙-경상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민속신앙사전-[마을](/topic/마을)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010) |
---|
화산문화 | 진도씻김굿 | 황루시 | 2001 | 민속원 | 진도 세습무 박씨가계도 재구성연구 | 박미경, 박주언 | 2007 |
---|
한국민속신앙사전 | 배 아플때 하는 소리 | |
---|---|---|
한국민속신앙사전 | 배 아플때 하는 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