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무당과 [단골](/topic/단골)사이에 수양(收養) 관계를 맺는 표시로 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수양자의 생(生), 시(時), 성명과 ‘수명장수(壽命長壽)’ 또는 ‘수명장수 재수발원(壽命長壽 財數發願)’, ‘칠성님전 수명장수 발원’이라고 써서 신에게 바치는 [무명](/topic/무명)천. |
---|---|
mp3Cnt | 0 |
wkorname | 김태우 |
정의 | 무당과 [단골](/topic/단골)사이에 수양(收養) 관계를 맺는 표시로 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수양자의 생(生), 시(時), 성명과 ‘수명장수(壽命長壽)’ 또는 ‘수명장수 재수발원(壽命長壽 財數發願)’, ‘칠성님전 수명장수 발원’이라고 써서 신에게 바치는 [무명](/topic/무명)천. | Myeongdari es un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punta de la vida” y se refiere a una tira de tela que sirve como un marcador de la paternidad de acogida entre un chamán y su creyente llamado dangol, ofrecida a los dioses para pedirles por la longevidad. El myeongdari comprende una tira de tela blanca de algodón, madejas de hijos y papel de morera. Las madejas de hijos se colocan en los pliegues de la tela, las que se doblan y envuelven con papel de morera otra vez, y se guardan apiladas. Cuando el niño cumple 1, 3, 5 u otros años impares de edad, sus pares dan el myeongdari a su chamán. Entonces el chamán ofrece este paquete de tela a la deidad de las siete estrellas,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para rezar por la longevidad del niño y lo guarda en un arcón ubicado en el pie del santuario o debajo del altar. Estos puentes de la vida son eficaces durante un período de tiempo limitado y deben ser reemplazados por unos nuevos para ampliar sus poderes. Esta práctica del ofrecimiento del myeongdari a un chamán se llama aipalgi que significa literalmente “vender niños”. En este caso, “vender” es un acto simbólico de que un chamán acepta a ese niño o niña como hijo o hija de acogida, entonces el chamán será su padre adoptivo para establecer una relación exclusiva entre la familia y su chamán. La tradición chamánica del myeongdari se arraiga en la creencia de que un chamán con poderes especiales puede vigilar la vida de los niños, y cuando el chamán oficia su ritual para adorar a sus dioses llamado sindanggut, él efectúa una danza con una tela blanca utilizada en los paquetes de myeongdari y eleva sus plegarias. Si el chamán se muda a otro lugar, él puede vender los puentes de la vida a otros, asimismo si el chamán ha muerto, otro chamán que ha tomado el lugar del fallecido puede heredar o quemar estos puentes de la vida. | 내용 | 명다리는 부모들이 태어난 아이의 나이가 홀수인 1살, 3살, 5살 등에 [단골](/topic/단골)무당에게 바친다. 바친 명다리는 칠성님 전에 놓고 아이의 수명장수를 빌어주며 이후 칠성님 아래 함이나 신단 밑에 보관한다. 한 번 바치면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다시 갱신하여야 하며 새로이 만들어 바쳐야 영험이 지속된다고 믿는다. 이러한 행위를 일컬어 어린아이의 무병장수를 위하여 무녀에게 ‘아이를 파는 것’이라 한다. 이렇게 무당에게 팔린 어린아이는 무당의 자녀가 되어 무당의 ‘[신딸](/topic/신딸)’과 ‘신아들’이 되고 무당은 ‘신어머니’가 되는 단골관계가 성립된다. 이것은 어린아이의 수명장수를 신력(神力)이 있는 무당이 책임진다는 신앙에서 나온 것이다. 무당은 단골 아이들의 수명장수를 빌어주어야 하는 의무가 있어서 무녀 자신의 신당굿(진적)을 할 때 반드시 이 어린아이들의 명다리를 [가지](/topic/가지)고 춤을 춘 다음 축원을 한다. [내림굿](/topic/내림굿) 중에 칠성거리 등에서 명다리를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무당이 [이사](/topic/이사)를 하게 되면 명다리를 팔 수도 있고, 죽었을 때에는 무계를 계승받은 무당이 명다리를 인계받거나 소각한다. 명다리는 단골들이 명을 길게 해 달라고 바친 것이므로 그 규모를 통해 무당들의 단골 판도를 알 수 있다. 어떤 무당은 따로 명다리 방을 마련하여 방 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그만큼 많은 단골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시 마포구 밤섬부군당 당주 [김춘강](/topic/김춘강)의 경우는 면포 1필을 차곡차곡 접어 그 안에 [실타래](/topic/실타래)를 넣었다. 면포 겉에는 ‘칠성님전 수명장수 발원’이라고 쓰고 주소와 생년월일을 적어 놓았다. 강화군 외포리 곶창굿 당주 [정정애](/topic/정정애)의 경우 [무명](/topic/무명) 안에 타래실을 넣고 무명을 접어 다시 [한지](/topic/한지)로 포장해 두었다. 무명의 총 길이는 15마로 약 1,350㎝이며, 천의 가로 길이는 43.5㎝이다. 포장해 둔 상태에서 길이는 가로 48.5㎝, 세로 23㎝이다. 이 한 세트가 한 사람의 단골을 위한 것으로 이 명다리를 보관하는 방을 신당 바로 옆에 마련해 놓고 있다. 강원도 영월군 덕포 3리의 고재만의 경우, 신당 문을 열면 마주 보이는 벽에 줄을 쳐서 그 줄에 명다리와 실타래를 걸어 놓았다. 단골들은 명다리를 바치면서 [고깔](/topic/고깔)도 같이 바친다고 한다. | 참고문헌 | 경기도지역무속 (장주근·최길성, 문화재관리국, 1967)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경기도·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 表示在巫师和[丹骨](/topic/丹骨)(音)之间结成收养关系,为祈求长寿而向神供奉的粗布。 命桥由粗布,线和韩纸等组成。通常会在粗布中置入绞线,将置入绞线的粗布折叠后再用韩纸包装后卷好。通常父母在孩子出生后长到一岁,三岁,五岁等奇数年龄时,会向丹骨巫供奉命桥。人们会将供奉的命桥放在[七星](/topic/七星)前,祈求孩子长命百岁并置于七星下方箱子或神坛下方保管。此外,人们认为命桥并非供奉一次即可持续永久,而需经过一定时间后更新,重新制作并供奉才能使灵验保持下去。 这种为祈求孩子无病长寿的行为被称作向巫师“卖孩子”。被“卖给”巫师的孩子成为巫师的子女,即“养子”或“养女”。而巫师则成为“养父母”,双方间成立丹骨关系。该做法出自于将孩子的长寿交由有神力之巫师负责的信仰中。 巫师有着祈求丹骨人家孩子长寿的义务。巫师在进行神堂祭时,必须带着自己所负责的孩子们的命桥跳舞后祈祷。巫师搬家时,可以将命桥卖掉;死亡时则可交由继承巫系的巫师或烧掉。 | Myeongdari, a term that literally means, “life bridge, ” is a strip of fabric that serves as a marker of foster parenthood formed between a shaman and her follower (dangol), offered to the gods to pray for longevity. Myeongdari comprises a strip of white cotton cloth, skeins of thread and mulberry paper, the thread inserted into the folds of the cloth, which is folded up and wrapped with mulberry paper, and kept in a pile. This offering is made by parents to their regular shaman on the years their child turns one, three, five or other odd-numbered years of age. The shaman offers the package of cloth to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to pray for the longevity of the child, and keeps it in a chest at the foot of the shrine or under the altar. These life bridges are effective for a limited time and must be replaced with a new one in order to extend their powers. This practice of offering myeongdari to a shaman is called “child selling (aipalgi), ” and the “sold” child becomes the shaman’s foster daughter or son, and the shaman the foster parent, thereby forming an exclusive relationship as follower and family shaman. The practice is rooted in the belief that a shaman with special powers oversees the lifespan of a child. As a foster parent, the shaman is responsible for praying for the longevity of her foster children, and when she holds her ritual of thanksgiving to her gods (sindanggut), she performs a dance using the white cloths from the myeongdari packages and offers prayers. When a shaman moves away, she can sell the life bridges, and when a shaman dies, the shaman who succeeds her position can inherit or burn the cloths. | 형태 | 명다리는 [무명](/topic/무명)천, 실, [한지](/topic/한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평소에는 무명천 안에 타래실을 넣고 이 타래실을 넣은 무명천을 접어서 다시 한지로 포장해 쌓아 둔다. 혹은 벽에 줄을 쳐 놓고 명다리와 [실타래](/topic/실타래)를 함께 걸어 놓는 경우도 있다. 면포의 양은 많을수록 좋지만 적을 경우 7척 7촌(약 223㎝) 혹은 1필을 사용한다고도 하지만 일정치는 않다. |
---|
명다리 | 64632 명다리 |
---|---|
명다리 | 64631 명다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