떵떵이장단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라도 씻김굿의 [장단](/topic/장단) 가운데 신의 내력을 풀어내는 ‘○○풀이’형 무가에서 [동살풀이](/topic/동살풀이)(흘림), 풀이살과 함께 사용되는 장단의 명칭. 대왕놀이장단 또는 대학놀이장단, 업중모리 등으로 혼용되어 불리고 있다.
definition
전라도 씻김굿의 [장단](/topic/장단) 가운데 신의 내력을 풀어내는 ‘○○풀이’형 무가에서 [동살풀이](/topic/동살풀이)(흘림), 풀이살과 함께 사용되는 장단의 명칭. 대왕놀이장단 또는 대학놀이장단, 업중모리 등으로 혼용되어 불리고 있다.
mp3Cnt
0
wkorname
김만석
정의전라도 씻김굿의 [장단](/topic/장단) 가운데 신의 내력을 풀어내는 ‘○○풀이’형 무가에서 [동살풀이](/topic/동살풀이)(흘림), 풀이살과 함께 사용되는 장단의 명칭. 대왕놀이장단 또는 대학놀이장단, 업중모리 등으로 혼용되어 불리고 있다.
어원우리나라 무속음악의 전승방법이 그렇듯이 체계적인 악보를 통한 전승이나 세습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무악](/topic/무악) 전반에 걸친 용어들의 정확한 어원이나 유래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명칭의 정확한 어의를 알아내기란 쉽지 않다. 다만 진도 지역에서 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떵떵이’는 타악기의 소리를 구음으로 흉내 내서 만든 말이다. 파생원리를 따져보면 우선 ‘떵’은 ‘덩’의 된소리이다. ‘덩’은 장구나 북으로 연주할 때 합(雙)장단을 의미한다. 여기에 접미사 ‘-이’가 붙어 ‘떵떵이’가 된 것이다. 참고로 우리 전통 장단 가운데 비슷한 파생원리를 가진 장단으로는 자진모리([삼채](/topic/삼채))를 덩더궁이라고 부르는 예가 대표적이다. 떵떵이장단은 3소박과 2소박이 3+2+3+2로 혼합된 혼소박 4박 장단(10/8박자)이라는 특별함 때문에 별칭할 필요에 의해 이름 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떵떵이장단은 현재 국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엇모리장단](/topic/엇모리장단)형과 같다. 무속장단에서는 대학놀이나 대왕(대황)놀이 같은 용어로 더 많이 불리고 있으며, 엇모리의 용어가 사용되게 된 것은 [판소리](/topic/판소리)의 영향인 듯하다. 떵떵이장단의 별칭인 대학놀이나 대왕놀이의 어원을 살펴보면 대학놀이는 대왕놀이가 오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학놀이는 이 엇모리장단을 연주하기가 대학(大學)에 들어가기보다 힘들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는 3소박과 2소박의 혼용으로 인한 불규칙 때문에 연주하기에 까다로운 장단의 특성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소박한 남도 사람들의 정서를 읽을 수 있다.

대왕놀이의 ‘대왕’은 ‘대왕신(大王神)’에서 나온 말인 듯하다. 한국의 신에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숭상하는 가택신(家宅神), [마을](/topic/마을)에서 숭상하는 동신(洞神), 무속에서 숭상하는 무신(巫神) 및 잡신 등이 있다. 대왕신은 당연히 무속에서 숭상하는 염라대왕(閻羅大王), 사천대왕(四天大王), 사해용왕(四海龍王) 등이 해당된다. 대왕놀이 장단이 신의 내력을 풀어내는 풀이형 무가에서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왕놀이의 대왕은 여기에서 파생된 것이라 고 추측한다.
내용떵떵이장단의 기본형은 [판소리](/topic/판소리)나 [산조](/topic/산조)음악 등에서 쓰이는 엇모리의 형태와 같다. 하지만 잔가락이 훨씬 화려하고 복잡한 것이 판소리나 산조와의 큰 차이다. 특히 무녀가 이 대왕놀이 장단의 무가를 부를 때 [사설](/topic/사설)의 어미가 한 장단을 뛰어넘는 괴대죽 부분이 등장하면 고인(鼓人)들은 여지없이 복잡하고 화려한 잔가락을 구사한다. 징과 장구의 연주에서 화려함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장구는 채편의 리듬을 잘게 분할해 화려함의 극치를 이룬다.

![무속신앙 떵떵이장단 1](/upload/img/20170106/20170106154449_t_.jpg)
이견떵떵이장단을 조금 느린 박자로 치는 [자진모리장단](/topic/자진모리장단)이나 다른 지방의 덩덕궁이장단과 같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진도에서는 이것을 살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 가운데 [굿거리장단](/topic/굿거리장단)의 [제석춤](/topic/제석춤)에 이어 복개를 들고 추는 복개춤에서 이 장단이 사용된다. 떵떵이장단은 자진굿거리장단으로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굿거리장단은 3소박 4박(12/8박자)장단이다. 약간 느린 템포(M.M.♩= 55~65)로 연주하는 것이 굿거리장단이라면 이를 빠르게 연주하는 것이 자진굿거리장단으로서의 떵떵이장단이 된다. 전북 무가의 살풀이와 박수는 같지만 고법과 강약이 다르다. 떵떵이라는 표현은 큰 쇠붙이나 딴딴한 물건이 잇따라 세게 부딪쳐 울리는 소리의 의성어로, 타악의 마찰음이 마치 ‘떵떵거린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무속신앙 떵떵이장단 2](/upload/img/20170106/20170106154503_t_.jpg)
참고문헌호남지역의 [무악](/topic/무악)과 굿의식의 성격 (윤화중, 한국음악연구 29, 한국국악학회, 2001)
채정례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 (국립남도국악원, 2006)
전남지역 씻김굿의 지역별 [장단](/topic/장단)사용과 음악적 특성 (김혜정, 한국무속학 16, 한국무속학회, 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