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속신앙사전
떡
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쪄서 만든 증병(蒸餠), 시루에 찐 다음 안반에 놓고 쳐서 만든 도병(搗餠), 소댕에 지져서 만든 전병(煎餠), 가루를 반죽하여 빚어 모양을 만들어서 삶아 건져 고물을 묻힌 경단류 등의 총칭.
definition
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쪄서 만든 증병(蒸餠), 시루에 찐 다음 안반에 놓고 쳐서 만든 도병(搗餠), 소댕에 지져서 만든 전병(煎餠), 가루를 반죽하여 빚어 모양을 만들어서 삶아 건져 고물을 묻힌 경단류 등의 총칭.
mp3Cnt
0
wkorname
김상보
정의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쪄서 만든 증병(蒸餠), 시루에 찐 다음 안반에 놓고 쳐서 만든 도병(搗餠), 소댕에 지져서 만든 전병(煎餠), 가루를 반죽하여 빚어 모양을 만들어서 삶아 건져 고물을 묻힌 경단류 등의 총칭.
정의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쪄서 만든 증병(蒸餠), 시루에 찐 다음 안반에 놓고 쳐서 만든 도병(搗餠), 소댕에 지져서 만든 전병(煎餠), 가루를 반죽하여 빚어 모양을 만들어서 삶아 건져 고물을 묻힌 경단류 등의 총칭.
举行祭仪时上供的一种祭品,蒸熟[谷物](/topic/谷物)粉或通过打或捏蒸熟的谷物粉制成的食物。

根据青铜器时代出土的[甑子](/topic/甑子)推测,最初的米糕大致从这时开始存在。随着三国时代稻田的普及,[大米](/topic/大米)产量随之增加,加之甑子等的推广,甑糕也广泛扩散开来。起初的米糕是将大米浸泡后放进甑子蒸熟制成的,呈米饭形状,之后出现用甑子蒸熟大米粉制成的白米糕。据推测,随着红豆的传入,出现了使用红豆沙制成的甑糕。

米糕成为祭祀中最重要的食物之后,被赋予了特别的意义。红色的红豆甑糕有驱逐杂鬼之意,白色的白米糕则具有整洁和[净化](/topic/净化)之意。祭仪时上供的米糕主要为甑糕,白米糕,白饼,糯米打糕等,均为各种祭仪必不可少的祭品。

甑糕是米糕粉掺上黄豆或红豆,层层放入甑子蒸熟的米糕,是家宅信仰中供奉家神最常用的祭品。举行除厄仪式时主要使用红色的红豆甑糕。

白米糕呈纯白色,是上供给天神,[山神](/topic/山神),龙神等上级神的代表性米糕。之所以给山神和龙神上供白米糕,是因为民众认为这些神是仅次于天神的洁净之神。白米糕可谓是最高级的祭品。

白饼又称片糕,济命糕,将粳米用水充分浸泡后磨成粉,再用细筛筛出粳米粉,之后将蒸熟的粳米粉放到按板拍打到粘稠状,最后做成各种形状的米糕。白饼通常与糯米打糕一起上供给三佛[帝释](/topic/帝释),十大王等与佛家有缘的神。另外,巫师在每家乞粒做成的片糕称作济命糕,人们相信吃济命糕能长生不老,享荣华富贵。

糯米打糕的做法是先蒸熟用水浸泡的粘米,之后放到案板用糕杵捶打,最后蘸上熟黄豆粉切成一定大小即可。糯米打糕也是上供给与佛家有缘的神的米糕。

此外,在江原道和济州岛等地制作米糕时用荞麦粉或小米粉代替其他材料。在济州岛,一般把“扁圆糕”和“小米糕”摆放在祭案。“扁圆糕”是用和好的荞麦粉或小米粉捏成扁平圆状,在开水中煮熟后蘸上芝麻油制成的;“小米糕”是把和好的粘小米粉捏成扁平圆状,在中间做眼煮熟,并蘸上红豆沙或熟黄豆粉制成的。
내용함북 회령군 오동과 나진시 초도 패총 등지 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시루를 미루어 볼 때 초기의 [시루떡](/topic/시루떡)은 시루에 [곡물](/topic/곡물)을 담아 찐 지에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의 시루는 다분히 예기(禮器)로서 매일매일 상용된 조리기구가 아니라 찜기이자 제기인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초기의 논벼 보급과 확산에 따라 쌀이 증산되고 시루 등 경질토기도 널리 보급되었다. 시루떡이 민중 속에 확산되어 보급된 것도 이때쯤이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의 시루는 지배계층의 전용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최초의 떡 형태인 지에밥에 이어 등장한 것이 시루에 쌀가루를 넣어 찐 백설기 형태인 것으로 추측된다. 팥의 전래에 따라 팥고물을 사용한 시루떡도 생겨났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떡은 가장 귀한 제사 음식으로 [자리](/topic/자리) 잡으면서 우리 민중과 함께 살아온 역사적 산물이다. 떡과 관련된 다음의 전래 속담은 이를 반영한다.

귀신도 떡 하나로 쫓는다.
귀신 떡 먹듯 한다.
귀신에게 비는 데는 시루떡이 제일이다.
귀신은 떡으로 사귀고 사람은 정으로 사귄다.
떡 본 귀신이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떡 없는 제사에 절만 한다.
떡이 있어야 굿도 한다.
떡이 있어야 제사도 지낸다.
제사 떡도 커야 귀신이 좋아한다.
[서낭당](/topic/서낭당) 떡을 먹으면 재수가 있다.
떡시루번을 먹으면 허리가 아프질 않다.
떡시루 김이 오르기 전에 남이 들어서면 떡이 선다.
떡 찌다가 [뒷간](/topic/뒷간)에 갔다 오면 부정탄다.

제사와 떡은 불가분의 관계이고, 귀신에게 공양하는 떡은 정(淨)하게 다루어야 복(福)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언덕 위에 서 있는 작은 [사당](/topic/사당)이나 동신(洞神)나무·동신바위 같은 [마을](/topic/마을)의 성스러운 장소에다 제단을 만들어 놓고 행하는 마을제는 동제(洞祭), 동신제(洞神祭), 산신제, 산천제, 당제(堂祭), 당산제, 서낭제[城隍祭], [거리제](/topic/거리제), 길신제, 장생제(長栍祭), 부군제(府君祭), 목신제(木神祭), 천제, 대동치성(大同致誠), 대동신사, 산제, [별신굿](/topic/별신굿), 도당굿, 당굿 등으로 마을마다 다르게 부른다. 마을제의 명칭이 다른 것은 마을마다 각각 모시는 신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격에 따른 제사 방법이나 제사 음식도 다른 특징을보인다.

액막이, 살맥이, [수구맥이](/topic/수구맥이), 수살맥이라는 명칭이 마을제에서 등장하는 것은 살기(殺氣)나 흉재(凶災)의 기운을 막는다는 의미가 있다. 마을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마을의 재액을 몰아내고 마을을 구성하는 모든 집안의 행복과 번영을 기도하는 데에 있다.

마을제는 대개 두 부류이다. 마을에 거주하는 사람 가운데에서 선택된 남자 [제관](/topic/제관)을 주재자(主祭者)로 하는 제례 형태와 마을에서 뽑힌 남자 제관이 주재자이면서도 직업 무당이 참여하는 형태이다. 대개 전자는 동제라 부르는 소제(小祭)이다. 후자는 당굿, 도당굿, 별신굿 등으로 불리는 대제(大祭)이다. 소제에서 주재자는 집안에 출산이나 사망 등부정(不淨)이 없고 덕망이 있는 나이든 정인(淨人) 남자가 선택된다. 여자는 부정(不淨)하다고 여겨 참여하지 못한다. 남자에 의하여 주관되는 경우 대개는 유교 형식의 의례절차를 행한다. 모시는 신도 산신, 용신 등 같은 상위의 신을 대상으로 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에 대재인 때에는 사방천왕, 군웅, 별성, 장헌세자, 산신, 용신,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 [가망](/topic/가망), [칠성신](/topic/칠성신), 삼불제석, [서낭신](/topic/서낭신), 서낭부인, 용왕, 용왕부인, 천연두귀신 등 다양한 복수의 신을 섬기게 된다. 신에 따라 올리는 제사 음식도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떡도 예외가 아니다.


붉은팥시루떡충분히 물에 불려 가루로 빻아 고운 체에 내린 멥쌀가루에 붉은팥을 고물로 하여 켜켜로 안쳐서 찐, 잡귀에게 먹여 보내는 대표적인 떡이다. 잘씻은 팥에 물을 넉넉히 붓고 속까지 무르게 익도록 삶아서 뜨거울 때 [절구](/topic/절구)에 쏟아 대강 찧어 [어레미](/topic/어레미)에 내려 팥고물을 만든다. 시루밑을 깐 시루에 팥고물을 골고루 뿌리고 물 내린 떡가루를 4㎝ 정도의 두께로 안친 다음 위에 팥고물을 고루 얹는다. 이어서 떡가루·팥고물 순으로 반복하여 안치고 맨 위에 팥고물을 뿌려서 베보자기로 덮은 다음 물이 끓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낸다.

중국 남조(南朝)인 양(梁, 502~557) 시기의 종름이 저술한 『형초세시기』는 초(楚, 기원전 704~202) 문화를 계승한 중국의 남방 풍속을 묘사하고 있다. 여기에는 붉은팥으로역귀(疫鬼)를 쫓는 붉은팥 민속의례가 기록되어 있다. 이 붉은팥 의례는 소두(小豆, 팥)의 원산지인 조엽수림지대에 속하는 남중국 강남에서 토착신앙에 [음양오행](/topic/음양오행)사상의 적(赤)에 대한 신앙이 결합하여 기원했다는 보고도 있다.

조엽수림지대에 속하는 중국의 강남에서 한반도로 팥이 전래될 때 붉은팥 의례도 함께 수용되고, 이 수용된 의례 위에 불교와 유교사상이 뿌리를 내림으로써 이중 구조의 문화를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이 논리로 보면 붉은팥시루떡이 잡귀를 물리치는 떡으로 된 역사는 팥의 전래 시기인 청동기시대 정도가 될 것이다.


백설기떡 충분히 물에 불려서 가루로 빻아 고운 체에 내린 멥쌀가루를 켜가 없이 찐 떡이다. 백설기 또는 흰[무리](/topic/무리)라고도 한다. 순백색이어서 상위의 신인 천신, 산신, 용신에게 올려지는대표적인 떡이다.

시루밑을 깐 시루에 물 내린 떡가루를 고루 펴서 담고 위를 평평하게 하여 베보자기로 덮은 다음 물이 끓고 있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낸다.

도작(稻作)[농업](/topic/농업)과 권력자가 연계된 이후 주곡식으로 된 벼는 처음에는 [화전](/topic/화전)인 밭에서 생산되었다. 이때의 [밭벼](/topic/밭벼)는 논벼보다 지극히 소량이었는 데다 맛이 탁월하여 아주 귀한 상등의 곡류로서 대접받았다. 화전인 밭에서 생산된 소량의 벼는 각지(各地) 수장(首長)이 권위 계승을 위해 하늘의 신[天神]에게 바치는 의례적 상징음식으로 만들어져 올렸다. 현재에도 그 정신을 면면히 계승하고 있다고 보는 은산별신제에서‘[녹음이시루](/topic/녹음이시루)’라고 하여 백설기를 산신에게 시루째 올리는 모습이 보인다. 산신과 용신에게 백설기가 바쳐지는 것은 이들 신이 천신에 버금가는 깨끗한 신이라는 민중의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백설기는 제사 음식 가운데 최상위의 제물이다.


거피팥시루떡 [맷돌](/topic/맷돌)을 이용해 절반으로 타갠 거피(去皮)팥을 충분히 물에 불려서 손으로 여러 번 문질러 껍질을 깨끗이 없앤 다음 찜통에 담아 무르도록 푹 쪄낸 뒤 체에 내려 거피팥고물을만든다. 시루밑을 깐시루에 거피팥고물을 뿌리고 물 내린 떡가루(찹쌀 또는 멥쌀가루)를 4㎝ 정도 두께로 안치고는 위에 거피팥고물을 고루 얹는다. 이어서 떡가루, 거피팥고물 순으로 반복하여 안치고 맨 위에 거피팥고물을 뿌려서 베보자기로 덮은 다음 물이 끓고 있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내는 떡이다.

이 떡은 흰 거피팥을 사용해 백설기 같은 순백색은 아니지만 흰색에 가까운 시루떡이라는 것이 붉은팥시루떡과 다른 점이다. 이에 따라 [조상신](/topic/조상신), 별성, 군웅, 장헌세자, 최영장군 등과 같은 산신보다는 하위의 신에게 올려지는 공물이 된다.


백병 [증편](/topic/증편), 백편, 절편, [계면떡](/topic/계면떡) 등으로도 불리는 백병은 충분히 물에 불려 가루로 빻아 고운 체에 내린 멥쌀가루를 쪄서 안반에 담아 끈기가 나도록 친 다음 다양한 모양으로 만든떡이다.

시루밑을 깐 시루에 물 내린 떡가루를 담아 베보자기로 덮고 물이 끓고 있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 낸 것을 안반에서 차[지게](/topic/지게) 될 때까지 친다. 안반에서 치는 이유는‘절구질로 친 흰떡은 제사에 안쓴다’는 속설에 따름이다. 이 차진 떡을 큰 도마에 올려놓고 양손으로 밀어 원통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백병(白餠)을 만든다.

백병은 대개 [인절미](/topic/인절미)와 함께 삼불제석, [십대왕](/topic/십대왕) 등 불가(佛家)와 인연이 있는 신들에게 바쳐진다. 백병이 시루떡보다 한 단계 높은 조리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점은 불교가 이 땅에 전래된 이래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각종 공양에 올려진 정병(淨餠)을 무가사회에서 받아들여 마을제 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걸립승(乞粒僧)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걸립무당이 집집에서 걸립(乞粒)하여 만든 절편류를 계면떡이라 하여 계면떡을 먹으면 수명장수와 부귀영화를 누린다고 믿었다. 속담에도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나오도록 하랬다’라고 하였다. ‘먹을 복이 있으면 [우물](/topic/우물)가에서 백설기를 얻어 먹는다’고 하였듯이 용신에게는 백설기이지만 때로는 풍어제 때 용의 모양이 되도록 백병을 서리어 담아 용왕님께 올리는 용떡이 되기도 한다.


인절미 충분히 물에 불린 찹쌀을 시루밑을 깐 시루에 담아 베보자기로 덮고 1시간 정도 속까지 무르게 찌면서 도중에 물을 뿌려 위와 아래를 고르게 섞는다. 잘 쪄진 찹쌀밥을 안반에쏟아서 떡메로 밥알이 없어질 때까지 친다. 씻어서 잘 볶은 대두를 맷돌에 반으로 타개서 껍질을 까불리고는 절구에 넣고 곱게 빻아 고운 체에 내린 것이 콩가루고물이다. 넓은도마에 콩가루고물을 고루 뿌려 놓고 이에 앞서 친 떡을 얹어 길게 막대 모양으로 빚어 위에도 콩가루를 고루 뿌려서 적당한 크기로 썰어(대개는 방형) 다시 콩가루고 물을 덧묻힌다. 인절미 역시 불가와 인연이 있는 신들에게 바쳐지는 떡이다. 때로는 부산 [기장](/topic/기장)의 별신굿에서도 보여 주듯이 용떡이 되기도 한다.

인절미는 ‘평생 소원이 콩고물인절미다’, ‘아닌 밤중에 웬 찰시루떡이냐’와 같은 속담에도 보인다. 은산별신제에서도 불가와 관계 있는 토진대사신에게 올리는 제물에서 멥쌀로 만든 절편류를 백편, 찹쌀로 만든 인절미류를 진편이라고 한다. 이는 백편보다 인절미를 더 귀하게 여겼음을 뜻한다. 진편은 한자로 ‘진병(眞餠)’일 가능성도 엿보인다.

지금까지 열거한 떡들은 모두 도작지대에서 산출되는 멥쌀 또는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공물이다. 비도작 지대인 강원도나 제주도 등지에서는 [메밀](/topic/메밀)가루나 좁쌀가루 등으로 떡을만들어 대체하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메밀가루 또는 좁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빚어 끓는 물에 삶아 건진 다음 참기름으로 발라 만든 돌래떡이나 차좁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빚은 다음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서 삶아 건진 뒤 팥고물이나 콩고물을 묻혀 만든 오메기떡을 [제상](/topic/제상)에 올리기도 한다.
참고문헌荊楚歲時記(宗懍), 朝鮮巫俗の硏究(赤松智城⋅秋葉隆, 朝鮮印刷株式會社, 1938)
한국의 음식용어 (윤서석, 민음사, 1991)
한국의 음식생활문화사 (김상보, 광문각, 1997)
음식속담[사전](/topic/사전) (송재선, 동문선, 1998)
은산별신제 (김상보, 무․굿과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기장](/topic/기장)두모포풍어제 (김상보, 무·굿과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Tteok, or steamed rice cake, is a sacrificial food offered at rituals, made by steaming powdered rice, then pounding or rolling the dough.

A steamer from the Bronze Age serves as evidence of the earliest rice cake, and with the spread of rice plants and farming in the Three Kingdoms era (57 B.C.E.–676), rice production increased and the use of earthenware steamers spread as well. It is believed that the earlier form of tteok was close to steamed rice, then plain white rice cake was steamed with fine rice powder, similar to what we today call baekseolgi,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red beans, fillings were used to make layered cake called sirutteok.

Eventually tteok became the most important sacrificial food in a ritual, taking on additional meaning. Layered rice cake with red bean fillings was believed to chase away evil spirits and the plain white cake baekseolgi symbolized cleanness and purity. The types of rice cake can vary by occasion but no ritual is held without a plate of rice cake offered as sacrifice.

Sirutteok is a layered cake steamed with fillings made of beans or red beans, and the most basic sacrifice offered in rituals for household gods. This cake is generally used for bad fortune preventional rituals (aengmagi). Baekseolgi is pure white, and thus offered to the higher gods, including [[Cheonsin](/topic/NewOfferingsRitual)](/topic/Cheonsin) (Celestial God),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Mountain God) and Yongsin (Dragon God), reflecting the folk belief that the latter two are considered to be as immaculate as Cheonsin. Baekseolgi is the highest among the sacrificial foods. Baekbyeong, which is also called jeolpyeon or gyemyeontteok, is made with finely ground nonglutinous rice, steamed, then pounded on a wooden board to make it sticky, then molded into various shapes. This rice cake is offered to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Siwang (Ten Kings) and other gods related to Buddhism. The term gyemyeontteok is used for this type of cake made by a shaman with rice collected from house to house, believed to bring longevity and prosperity. Finally, injeolmi is made with glutinous rice powder, pounded after steaming, then rolled in bean powder. This cake is also offered to gods that are related to Buddhism.

In Gangwon Province and on Jeju Island, buckwheat powder or millet powder is also used to make tteok for rituals, including dollaetteok, made by shaping the dough into flat, round pieces, which are cooked in boiling water, then glazed with sesame oil; and omegitteok, made by shaping millet dough into flat round pieces with holes in the center, which are then cooked in boiling water and rolled in crushed red beans or bean powder.
Tteok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pastel hecho machacando una masa y arroz cocido al vapor. El que se ofrece como comida sacrificial en los rituales.

Se supone que existía el pastel de arroz aun en la Edad del Bronce, dado que se han descubierto las ollas vaporeras de aquel período. Con la cultivación muy extendida en el período de Tres Reinos (57 a.C. –676 d.C.), la producción de arroz ha aumentado y el uso de vaporeras de barro para hacer pastel de arroz se ha extendido también. Se cree que la forma más antigua de tteok se parecía al arroz cocido al vapor, luego el pastel simple se hacía con harina fina de arroz, similar al tteok llamado hoy en día como baekseolgi. Además, con la introducción de frijoles rojos en la península coreana, el polvo de estos granos cocidos se han utilizado como relleno del pastel de arroz que cuentan de capas llamado sirutteok.

El tteok se convirtió finalmente en la comida sacrificial más importante en un ritual adquiriendo un significado especial. Se cree que el pastel de arroz que cuentan de capas con relleno de frijoles rojos ahuyenta los espíritus malignos y el pastel de arroz blanco simboliza la limpiea y pureza. Los tipos de pastel de arroz pueden variar según las ocasiones pero no tienen lugar rituales sin esta comida ofrecida como sacrificio.

El sirutteok es un pastel de varias capas al vapor con relleno hecho con sojas o frijoles rojos que es el sacrificio más fundamental en los rituales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omésticos. Este pastel se utiliza generalmente en los rituales que se llevan a cabo para evitar la mala fortuna llamados aengmagi. El baekseolgi es de color blanco puro, por lo tanto se ofrece a los dioses superiores incluyendo el dios celestial llamado [[Cheonsin](/topic/RitualdeNuevasOfrendas)](/topic/Cheonsin), el dios de la montaña llamado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y el dios del dragón, Yongsin, en lo que se refleja la creencia popular de que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y Yongsin se consideran tan inmaculados como Cheonsin. El baekseolgi es el alimento más importante entre la comida sacrificial. El baekbyeong que se llama también como gyemyeontteok se hace cociendo al vapor y machacando harina fina de arroz en una tabla de madera para hacerla más pegajosa, a la que luego se moldea en diferentes formas. Dicho pastel de arroz se ofrece al dios del parto conocido como [[Jeseok](/topic/DiosdelParto)](/topic/Jeseok), los diez reyes llamados Siwang y otros dioses relacionados con el budismo. El término gyemyeontteok es usado para este tipo de pastel hecho por un chamán con el arroz recogido de cada casa. Se cree que el gyemyeontteok brinda la longevidad y prosperidad. Por último, el injeolmi se prepara cociendo al vapor y machacando harina de arroz glutinoso, a la que luego se cubre con judías secas vaporizadas en polvo. El citado pastel de arroz se ofrece también a los dioses relacionados con el budismo. En la provincia de Gangwon-do y la isla de Jeju-do, la harina de alforfón y la de mijo se utilizan para hacer tteok para rituales incluyendo el dollaetteok preparado cocinando piezas redondas de masa de harina en agua hirviendo a las que luego se cubren con aceite de sésamo; y el omegitteok, hecho cociendo la masa plana de harina de mijo con un agujero en el centro en agua hirviendo, a la que luego se cubre con polvo de frijoles rojos u otra variedad.
举行祭仪时上供的一种祭品,蒸熟[谷物](/topic/谷物)粉或通过打或捏蒸熟的谷物粉制成的食物。

根据青铜器时代出土的[甑子](/topic/甑子)推测,最初的米糕大致从这时开始存在。随着三国时代稻田的普及,[大米](/topic/大米)产量随之增加,加之甑子等的推广,甑糕也广泛扩散开来。起初的米糕是将大米浸泡后放进甑子蒸熟制成的,呈米饭形状,之后出现用甑子蒸熟大米粉制成的白米糕。据推测,随着红豆的传入,出现了使用红豆沙制成的甑糕。

米糕成为祭祀中最重要的食物之后,被赋予了特别的意义。红色的红豆甑糕有驱逐杂鬼之意,白色的白米糕则具有整洁和[净化](/topic/净化)之意。祭仪时上供的米糕主要为甑糕,白米糕,白饼,糯米打糕等,均为各种祭仪必不可少的祭品。

甑糕是米糕粉掺上黄豆或红豆,层层放入甑子蒸熟的米糕,是家宅信仰中供奉家神最常用的祭品。举行除厄仪式时主要使用红色的红豆甑糕。

白米糕呈纯白色,是上供给天神,[山神](/topic/山神),龙神等上级神的代表性米糕。之所以给山神和龙神上供白米糕,是因为民众认为这些神是仅次于天神的洁净之神。白米糕可谓是最高级的祭品。

白饼又称片糕,济命糕,将粳米用水充分浸泡后磨成粉,再用细筛筛出粳米粉,之后将蒸熟的粳米粉放到按板拍打到粘稠状,最后做成各种形状的米糕。白饼通常与糯米打糕一起上供给三佛[帝释](/topic/帝释),十大王等与佛家有缘的神。另外,巫师在每家乞粒做成的片糕称作济命糕,人们相信吃济命糕能长生不老,享荣华富贵。

糯米打糕的做法是先蒸熟用水浸泡的粘米,之后放到案板用糕杵捶打,最后蘸上熟黄豆粉切成一定大小即可。糯米打糕也是上供给与佛家有缘的神的米糕。

此外,在江原道和济州岛等地制作米糕时用荞麦粉或小米粉代替其他材料。在济州岛,一般把“扁圆糕”和“小米糕”摆放在祭案。“扁圆糕”是用和好的荞麦粉或小米粉捏成扁平圆状,在开水中煮熟后蘸上芝麻油制成的;“小米糕”是把和好的粘小米粉捏成扁平圆状,在中间做眼煮熟,并蘸上红豆沙或熟黄豆粉制成的。
내용함북 회령군 오동과 나진시 초도 패총 등지 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시루를 미루어 볼 때 초기의 [시루떡](/topic/시루떡)은 시루에 [곡물](/topic/곡물)을 담아 찐 지에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의 시루는 다분히 예기(禮器)로서 매일매일 상용된 조리기구가 아니라 찜기이자 제기인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초기의 논벼 보급과 확산에 따라 쌀이 증산되고 시루 등 경질토기도 널리 보급되었다. 시루떡이 민중 속에 확산되어 보급된 것도 이때쯤이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의 시루는 지배계층의 전용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최초의 떡 형태인 지에밥에 이어 등장한 것이 시루에 쌀가루를 넣어 찐 백설기 형태인 것으로 추측된다. 팥의 전래에 따라 팥고물을 사용한 시루떡도 생겨났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떡은 가장 귀한 제사 음식으로 [자리](/topic/자리) 잡으면서 우리 민중과 함께 살아온 역사적 산물이다. 떡과 관련된 다음의 전래 속담은 이를 반영한다.

귀신도 떡 하나로 쫓는다.
귀신 떡 먹듯 한다.
귀신에게 비는 데는 시루떡이 제일이다.
귀신은 떡으로 사귀고 사람은 정으로 사귄다.
떡 본 귀신이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떡 없는 제사에 절만 한다.
떡이 있어야 굿도 한다.
떡이 있어야 제사도 지낸다.
제사 떡도 커야 귀신이 좋아한다.
[서낭당](/topic/서낭당) 떡을 먹으면 재수가 있다.
떡시루번을 먹으면 허리가 아프질 않다.
떡시루 김이 오르기 전에 남이 들어서면 떡이 선다.
떡 찌다가 [뒷간](/topic/뒷간)에 갔다 오면 부정탄다.

제사와 떡은 불가분의 관계이고, 귀신에게 공양하는 떡은 정(淨)하게 다루어야 복(福)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언덕 위에 서 있는 작은 [사당](/topic/사당)이나 동신(洞神)나무·동신바위 같은 [마을](/topic/마을)의 성스러운 장소에다 제단을 만들어 놓고 행하는 마을제는 동제(洞祭), 동신제(洞神祭), 산신제, 산천제, 당제(堂祭), 당산제, 서낭제[城隍祭], [거리제](/topic/거리제), 길신제, 장생제(長栍祭), 부군제(府君祭), 목신제(木神祭), 천제, 대동치성(大同致誠), 대동신사, 산제, [별신굿](/topic/별신굿), 도당굿, 당굿 등으로 마을마다 다르게 부른다. 마을제의 명칭이 다른 것은 마을마다 각각 모시는 신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격에 따른 제사 방법이나 제사 음식도 다른 특징을보인다.

액막이, 살맥이, [수구맥이](/topic/수구맥이), 수살맥이라는 명칭이 마을제에서 등장하는 것은 살기(殺氣)나 흉재(凶災)의 기운을 막는다는 의미가 있다. 마을제의 궁극적인 목적은 마을의 재액을 몰아내고 마을을 구성하는 모든 집안의 행복과 번영을 기도하는 데에 있다.

마을제는 대개 두 부류이다. 마을에 거주하는 사람 가운데에서 선택된 남자 [제관](/topic/제관)을 주재자(主祭者)로 하는 제례 형태와 마을에서 뽑힌 남자 제관이 주재자이면서도 직업 무당이 참여하는 형태이다. 대개 전자는 동제라 부르는 소제(小祭)이다. 후자는 당굿, 도당굿, 별신굿 등으로 불리는 대제(大祭)이다. 소제에서 주재자는 집안에 출산이나 사망 등부정(不淨)이 없고 덕망이 있는 나이든 정인(淨人) 남자가 선택된다. 여자는 부정(不淨)하다고 여겨 참여하지 못한다. 남자에 의하여 주관되는 경우 대개는 유교 형식의 의례절차를 행한다. 모시는 신도 산신, 용신 등 같은 상위의 신을 대상으로 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에 대재인 때에는 사방천왕, 군웅, 별성, 장헌세자, 산신, 용신,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 [가망](/topic/가망), [칠성신](/topic/칠성신), 삼불제석, [서낭신](/topic/서낭신), 서낭부인, 용왕, 용왕부인, 천연두귀신 등 다양한 복수의 신을 섬기게 된다. 신에 따라 올리는 제사 음식도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떡도 예외가 아니다.


붉은팥시루떡충분히 물에 불려 가루로 빻아 고운 체에 내린 멥쌀가루에 붉은팥을 고물로 하여 켜켜로 안쳐서 찐, 잡귀에게 먹여 보내는 대표적인 떡이다. 잘씻은 팥에 물을 넉넉히 붓고 속까지 무르게 익도록 삶아서 뜨거울 때 [절구](/topic/절구)에 쏟아 대강 찧어 [어레미](/topic/어레미)에 내려 팥고물을 만든다. 시루밑을 깐 시루에 팥고물을 골고루 뿌리고 물 내린 떡가루를 4㎝ 정도의 두께로 안친 다음 위에 팥고물을 고루 얹는다. 이어서 떡가루·팥고물 순으로 반복하여 안치고 맨 위에 팥고물을 뿌려서 베보자기로 덮은 다음 물이 끓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낸다.

중국 남조(南朝)인 양(梁, 502~557) 시기의 종름이 저술한 『형초세시기』는 초(楚, 기원전 704~202) 문화를 계승한 중국의 남방 풍속을 묘사하고 있다. 여기에는 붉은팥으로역귀(疫鬼)를 쫓는 붉은팥 민속의례가 기록되어 있다. 이 붉은팥 의례는 소두(小豆, 팥)의 원산지인 조엽수림지대에 속하는 남중국 강남에서 토착신앙에 [음양오행](/topic/음양오행)사상의 적(赤)에 대한 신앙이 결합하여 기원했다는 보고도 있다.

조엽수림지대에 속하는 중국의 강남에서 한반도로 팥이 전래될 때 붉은팥 의례도 함께 수용되고, 이 수용된 의례 위에 불교와 유교사상이 뿌리를 내림으로써 이중 구조의 문화를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이 논리로 보면 붉은팥시루떡이 잡귀를 물리치는 떡으로 된 역사는 팥의 전래 시기인 청동기시대 정도가 될 것이다.


백설기떡 충분히 물에 불려서 가루로 빻아 고운 체에 내린 멥쌀가루를 켜가 없이 찐 떡이다. 백설기 또는 흰[무리](/topic/무리)라고도 한다. 순백색이어서 상위의 신인 천신, 산신, 용신에게 올려지는대표적인 떡이다.

시루밑을 깐 시루에 물 내린 떡가루를 고루 펴서 담고 위를 평평하게 하여 베보자기로 덮은 다음 물이 끓고 있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낸다.

도작(稻作)[농업](/topic/농업)과 권력자가 연계된 이후 주곡식으로 된 벼는 처음에는 [화전](/topic/화전)인 밭에서 생산되었다. 이때의 [밭벼](/topic/밭벼)는 논벼보다 지극히 소량이었는 데다 맛이 탁월하여 아주 귀한 상등의 곡류로서 대접받았다. 화전인 밭에서 생산된 소량의 벼는 각지(各地) 수장(首長)이 권위 계승을 위해 하늘의 신[天神]에게 바치는 의례적 상징음식으로 만들어져 올렸다. 현재에도 그 정신을 면면히 계승하고 있다고 보는 은산별신제에서‘[녹음이시루](/topic/녹음이시루)’라고 하여 백설기를 산신에게 시루째 올리는 모습이 보인다. 산신과 용신에게 백설기가 바쳐지는 것은 이들 신이 천신에 버금가는 깨끗한 신이라는 민중의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백설기는 제사 음식 가운데 최상위의 제물이다.


거피팥시루떡 [맷돌](/topic/맷돌)을 이용해 절반으로 타갠 거피(去皮)팥을 충분히 물에 불려서 손으로 여러 번 문질러 껍질을 깨끗이 없앤 다음 찜통에 담아 무르도록 푹 쪄낸 뒤 체에 내려 거피팥고물을만든다. 시루밑을 깐시루에 거피팥고물을 뿌리고 물 내린 떡가루(찹쌀 또는 멥쌀가루)를 4㎝ 정도 두께로 안치고는 위에 거피팥고물을 고루 얹는다. 이어서 떡가루, 거피팥고물 순으로 반복하여 안치고 맨 위에 거피팥고물을 뿌려서 베보자기로 덮은 다음 물이 끓고 있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내는 떡이다.

이 떡은 흰 거피팥을 사용해 백설기 같은 순백색은 아니지만 흰색에 가까운 시루떡이라는 것이 붉은팥시루떡과 다른 점이다. 이에 따라 [조상신](/topic/조상신), 별성, 군웅, 장헌세자, 최영장군 등과 같은 산신보다는 하위의 신에게 올려지는 공물이 된다.


백병 [증편](/topic/증편), 백편, 절편, [계면떡](/topic/계면떡) 등으로도 불리는 백병은 충분히 물에 불려 가루로 빻아 고운 체에 내린 멥쌀가루를 쪄서 안반에 담아 끈기가 나도록 친 다음 다양한 모양으로 만든떡이다.

시루밑을 깐 시루에 물 내린 떡가루를 담아 베보자기로 덮고 물이 끓고 있는 솥에 시루를 얹어 30분 정도 쪄 낸 것을 안반에서 차[지게](/topic/지게) 될 때까지 친다. 안반에서 치는 이유는‘절구질로 친 흰떡은 제사에 안쓴다’는 속설에 따름이다. 이 차진 떡을 큰 도마에 올려놓고 양손으로 밀어 원통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백병(白餠)을 만든다.

백병은 대개 [인절미](/topic/인절미)와 함께 삼불제석, [십대왕](/topic/십대왕) 등 불가(佛家)와 인연이 있는 신들에게 바쳐진다. 백병이 시루떡보다 한 단계 높은 조리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점은 불교가 이 땅에 전래된 이래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각종 공양에 올려진 정병(淨餠)을 무가사회에서 받아들여 마을제 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걸립승(乞粒僧)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걸립무당이 집집에서 걸립(乞粒)하여 만든 절편류를 계면떡이라 하여 계면떡을 먹으면 수명장수와 부귀영화를 누린다고 믿었다. 속담에도 ‘굿 구경을 하려면 계면떡이나오도록 하랬다’라고 하였다. ‘먹을 복이 있으면 [우물](/topic/우물)가에서 백설기를 얻어 먹는다’고 하였듯이 용신에게는 백설기이지만 때로는 풍어제 때 용의 모양이 되도록 백병을 서리어 담아 용왕님께 올리는 용떡이 되기도 한다.


인절미 충분히 물에 불린 찹쌀을 시루밑을 깐 시루에 담아 베보자기로 덮고 1시간 정도 속까지 무르게 찌면서 도중에 물을 뿌려 위와 아래를 고르게 섞는다. 잘 쪄진 찹쌀밥을 안반에쏟아서 떡메로 밥알이 없어질 때까지 친다. 씻어서 잘 볶은 대두를 맷돌에 반으로 타개서 껍질을 까불리고는 절구에 넣고 곱게 빻아 고운 체에 내린 것이 콩가루고물이다. 넓은도마에 콩가루고물을 고루 뿌려 놓고 이에 앞서 친 떡을 얹어 길게 막대 모양으로 빚어 위에도 콩가루를 고루 뿌려서 적당한 크기로 썰어(대개는 방형) 다시 콩가루고 물을 덧묻힌다. 인절미 역시 불가와 인연이 있는 신들에게 바쳐지는 떡이다. 때로는 부산 [기장](/topic/기장)의 별신굿에서도 보여 주듯이 용떡이 되기도 한다.

인절미는 ‘평생 소원이 콩고물인절미다’, ‘아닌 밤중에 웬 찰시루떡이냐’와 같은 속담에도 보인다. 은산별신제에서도 불가와 관계 있는 토진대사신에게 올리는 제물에서 멥쌀로 만든 절편류를 백편, 찹쌀로 만든 인절미류를 진편이라고 한다. 이는 백편보다 인절미를 더 귀하게 여겼음을 뜻한다. 진편은 한자로 ‘진병(眞餠)’일 가능성도 엿보인다.

지금까지 열거한 떡들은 모두 도작지대에서 산출되는 멥쌀 또는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공물이다. 비도작 지대인 강원도나 제주도 등지에서는 [메밀](/topic/메밀)가루나 좁쌀가루 등으로 떡을만들어 대체하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메밀가루 또는 좁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빚어 끓는 물에 삶아 건진 다음 참기름으로 발라 만든 돌래떡이나 차좁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작하게 빚은 다음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서 삶아 건진 뒤 팥고물이나 콩고물을 묻혀 만든 오메기떡을 [제상](/topic/제상)에 올리기도 한다.
참고문헌荊楚歲時記(宗懍), 朝鮮巫俗の硏究(赤松智城⋅秋葉隆, 朝鮮印刷株式會社, 1938)
한국의 음식용어 (윤서석, 민음사, 1991)
한국의 음식생활문화사 (김상보, 광문각, 1997)
음식속담[사전](/topic/사전) (송재선, 동문선, 1998)
은산별신제 (김상보, 무․굿과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기장](/topic/기장)두모포풍어제 (김상보, 무·굿과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Tteok, or steamed rice cake, is a sacrificial food offered at rituals, made by steaming powdered rice, then pounding or rolling the dough.

A steamer from the Bronze Age serves as evidence of the earliest rice cake, and with the spread of rice plants and farming in the Three Kingdoms era (57 B.C.E.–676), rice production increased and the use of earthenware steamers spread as well. It is believed that the earlier form of tteok was close to steamed rice, then plain white rice cake was steamed with fine rice powder, similar to what we today call baekseolgi,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red beans, fillings were used to make layered cake called sirutteok.

Eventually tteok became the most important sacrificial food in a ritual, taking on additional meaning. Layered rice cake with red bean fillings was believed to chase away evil spirits and the plain white cake baekseolgi symbolized cleanness and purity. The types of rice cake can vary by occasion but no ritual is held without a plate of rice cake offered as sacrifice.

Sirutteok is a layered cake steamed with fillings made of beans or red beans, and the most basic sacrifice offered in rituals for household gods. This cake is generally used for bad fortune preventional rituals (aengmagi). Baekseolgi is pure white, and thus offered to the higher gods, including [[Cheonsin](/topic/NewOfferingsRitual)](/topic/Cheonsin) (Celestial God), [[Sansin](/topic/MountainGod)](/topic/Sansin) (Mountain God) and Yongsin (Dragon God), reflecting the folk belief that the latter two are considered to be as immaculate as Cheonsin. Baekseolgi is the highest among the sacrificial foods. Baekbyeong, which is also called jeolpyeon or gyemyeontteok, is made with finely ground nonglutinous rice, steamed, then pounded on a wooden board to make it sticky, then molded into various shapes. This rice cake is offered to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Siwang (Ten Kings) and other gods related to Buddhism. The term gyemyeontteok is used for this type of cake made by a shaman with rice collected from house to house, believed to bring longevity and prosperity. Finally, injeolmi is made with glutinous rice powder, pounded after steaming, then rolled in bean powder. This cake is also offered to gods that are related to Buddhism.

In Gangwon Province and on Jeju Island, buckwheat powder or millet powder is also used to make tteok for rituals, including dollaetteok, made by shaping the dough into flat, round pieces, which are cooked in boiling water, then glazed with sesame oil; and omegitteok, made by shaping millet dough into flat round pieces with holes in the center, which are then cooked in boiling water and rolled in crushed red beans or bean powder.
Tteok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 pastel hecho machacando una masa y arroz cocido al vapor. El que se ofrece como comida sacrificial en los rituales.

Se supone que existía el pastel de arroz aun en la Edad del Bronce, dado que se han descubierto las ollas vaporeras de aquel período. Con la cultivación muy extendida en el período de Tres Reinos (57 a.C. –676 d.C.), la producción de arroz ha aumentado y el uso de vaporeras de barro para hacer pastel de arroz se ha extendido también. Se cree que la forma más antigua de tteok se parecía al arroz cocido al vapor, luego el pastel simple se hacía con harina fina de arroz, similar al tteok llamado hoy en día como baekseolgi. Además, con la introducción de frijoles rojos en la península coreana, el polvo de estos granos cocidos se han utilizado como relleno del pastel de arroz que cuentan de capas llamado sirutteok.

El tteok se convirtió finalmente en la comida sacrificial más importante en un ritual adquiriendo un significado especial. Se cree que el pastel de arroz que cuentan de capas con relleno de frijoles rojos ahuyenta los espíritus malignos y el pastel de arroz blanco simboliza la limpiea y pureza. Los tipos de pastel de arroz pueden variar según las ocasiones pero no tienen lugar rituales sin esta comida ofrecida como sacrificio.

El sirutteok es un pastel de varias capas al vapor con relleno hecho con sojas o frijoles rojos que es el sacrificio más fundamental en los rituales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omésticos. Este pastel se utiliza generalmente en los rituales que se llevan a cabo para evitar la mala fortuna llamados aengmagi. El baekseolgi es de color blanco puro, por lo tanto se ofrece a los dioses superiores incluyendo el dios celestial llamado [[Cheonsin](/topic/RitualdeNuevasOfrendas)](/topic/Cheonsin), el dios de la montaña llamado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y el dios del dragón, Yongsin, en lo que se refleja la creencia popular de que [[Sansin](/topic/DiosdelaMontaña)](/topic/Sansin) y Yongsin se consideran tan inmaculados como Cheonsin. El baekseolgi es el alimento más importante entre la comida sacrificial. El baekbyeong que se llama también como gyemyeontteok se hace cociendo al vapor y machacando harina fina de arroz en una tabla de madera para hacerla más pegajosa, a la que luego se moldea en diferentes formas. Dicho pastel de arroz se ofrece al dios del parto conocido como [[Jeseok](/topic/DiosdelParto)](/topic/Jeseok), los diez reyes llamados Siwang y otros dioses relacionados con el budismo. El término gyemyeontteok es usado para este tipo de pastel hecho por un chamán con el arroz recogido de cada casa. Se cree que el gyemyeontteok brinda la longevidad y prosperidad. Por último, el injeolmi se prepara cociendo al vapor y machacando harina de arroz glutinoso, a la que luego se cubre con judías secas vaporizadas en polvo. El citado pastel de arroz se ofrece también a los dioses relacionados con el budismo. En la provincia de Gangwon-do y la isla de Jeju-do, la harina de alforfón y la de mijo se utilizan para hacer tteok para rituales incluyendo el dollaetteok preparado cocinando piezas redondas de masa de harina en agua hirviendo a las que luego se cubren con aceite de sésamo; y el omegitteok, hecho cociendo la masa plana de harina de mijo con un agujero en el centro en agua hirviendo, a la que luego se cubre con polvo de frijoles rojos u otra variedad.
옹성당산제 떡
24324
옹성당산제 떡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시루떡
24419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시루떡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8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7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6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5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4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3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2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옹성당산제 떡
24324
옹성당산제 떡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시루떡
24419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시루떡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8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7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6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5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4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3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24412
금곡마을 사장제 제물 준비인 떡을 만드는 모습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