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가신](/topic/가신)(家神)신앙의 한 종류로, 골맥이할배를 모셔 놓은 신체. |
---|---|
mp3Cnt | 0 |
wkorname | 한양명 |
정의 | [가신](/topic/가신)(家神)신앙의 한 종류로, 골맥이할배를 모셔 놓은 신체. | 정의 | [가신](/topic/가신)(家神)신앙의 한 종류로, 골맥이할배를 모셔 놓은 신체. | 내용 | 경북 영덕군 병곡면 백석2리에서는 동제를 마친 뒤 각 가정에서 ‘할배까꾸재제사’를 지낸다. 가정에서 올리는 동신 제사이다. 주로 여성이 이 제사를 담당하기 때문에 [부엌](/topic/부엌)에 모시는 경우가 많다. 간혹 남성이 제사를 지내는 경우도 있다. 백석2리의 할배까꾸재는 선주들이 주로 모신다. 고기를 많이 잡는 데 효험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까꾸재를 모시는 집에서는 비싼 고기나 특별하다고 여기는 고기를 잡으면 홀수로 까꾸재에 걸어서 말린다. 여름에는 벌레가 나기 때문에 걸지 않으며, 주로 가을과 겨울에 건다. [수확](/topic/수확)량과 관계없이 고기를 잡을 때마다 걸기 때문에 한 달만 되면 까꾸재가 꽉 차서 한 짐이 된다. 까꾸재의 고기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지내는 할배까꾸재 제사에 쓴다. 까꾸재에 고기가 가득 찼는데 명절이 없으면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을 받아 걸어둔 고기를 쪄서 할배까꾸재 앞에서 제사를 지낸 뒤 같은 배를 타는 사람 또는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이를 ‘보새’라고 한다. 그러나 반드시 어업을 하는 집에서만 섬기는 것은 아니다. 까꾸재는 식구들의 안녕을 보살펴 주는 [가신](/topic/가신)으로서의 성격도 지니기 때문에 어업을 하지 않는 가정에서도 할배까꾸재를 모신다. 집을 짓거나 경조사가 있을 때, 땅이나 집, [동물](/topic/동물) 등을 살 때, 몸이 아플 때, 선주가 어로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할배까꾸재에게 조용히 빌거나 간단히 제사를 지낸다. 선주의 경우 무당을 불러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귀향할 때 선주가 까꾸재에 걸 고기를 선원들에게 나누어 주면 선원들은 이것을 다시 부인들에게 ‘할배고기’라면서 준다. 부인들은 그것을 받아 날것 또는 찐 것을 까꾸재에 건다. 까꾸재를 없애거나 갈아야 할 때에는 [마을](/topic/마을) 뒷산에 올라가 나무에 걸어 둔다. 까꾸재를 함부로 태우거나 버려서는 안 되며, 산에 걸어 놓고 자연스럽게 없어지기를 기다려야 한다. 까꾸재는 할배신이 좌정한 신체이기 때문에 함부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경북 울진군 기성면 봉산2리 ‘갈매’마을 역시 공동체신앙의 대상인 골맥이할배가 가제화돼 모셔지고 있다. 이를 ‘할배까꾸리’라고 부른다. 할배까꾸리는 현재 어업을 하고 있거나 과거에 한 집에서 대부분 모시고 있다. 주민들은 할배까꾸리가 고기를 많이 몰아주고 식구들의 안녕을 보살펴주는 것으로 여긴다. 까꾸리에는 자신들이 잡은 가장 큰 고기를 제물로 걸어 놓거나 외지에 사는 자식들이 ‘좋은 것(선물)’을 보내면 그 앞에서 먼저 알리고 사용한다. 이 마을의 할배까꾸리 형태는 크게 두 [가지](/topic/가지)이다. 까꾸리라고 부르는 [갈퀴](/topic/갈퀴) 모양의 소나무와 [한지](/topic/한지)를 접은 것이다. 일부 가정에서는 까꾸리에 한지로 묶어 신체로 삼는 경우도 있다. 이런 차이는 그것이 걸려 있는 위치 때문에 나타난다. [마루](/topic/마루)에 좌정한 골맥이할배의 신체는 한지 혹은 까꾸리에 한지를 묶은 형태가 대부분이고, 부엌 뒤편 [추녀](/topic/추녀)나 광에 걸려 있는 것들은 까꾸리에 고기를 매달아 놓는 경우가 많다. 갈매마을 역시 할배까꾸리를 골맥이할배의 신체로 여기기 때문에 함부로 처리하지 않는다. 이 마을에서는 신체를 태우거나 바다에 버리지 않고 산에 올라가 나무에 걸어 둠으로써 자연적으로 없어지기를 바란다. | 참고문헌 | 갈매의 제의에 관한 민속지적 연구 (안혜경,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해촌의 공동체신앙에 대한 연구 (손부영, 민속학연구 4, 안동대학교 민속학과학생회, 1998) 용과 여성, 달의 축제 (한양명, 민속원, 2006) | 내용 | 경북 영덕군 병곡면 백석2리에서는 동제를 마친 뒤 각 가정에서 ‘할배까꾸재제사’를 지낸다. 가정에서 올리는 동신 제사이다. 주로 여성이 이 제사를 담당하기 때문에 [부엌](/topic/부엌)에 모시는 경우가 많다. 간혹 남성이 제사를 지내는 경우도 있다. 백석2리의 할배까꾸재는 선주들이 주로 모신다. 고기를 많이 잡는 데 효험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까꾸재를 모시는 집에서는 비싼 고기나 특별하다고 여기는 고기를 잡으면 홀수로 까꾸재에 걸어서 말린다. 여름에는 벌레가 나기 때문에 걸지 않으며, 주로 가을과 겨울에 건다. [수확](/topic/수확)량과 관계없이 고기를 잡을 때마다 걸기 때문에 한 달만 되면 까꾸재가 꽉 차서 한 짐이 된다. 까꾸재의 고기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지내는 할배까꾸재 제사에 쓴다. 까꾸재에 고기가 가득 찼는데 명절이 없으면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을 받아 걸어둔 고기를 쪄서 할배까꾸재 앞에서 제사를 지낸 뒤 같은 배를 타는 사람 또는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이를 ‘보새’라고 한다. 그러나 반드시 어업을 하는 집에서만 섬기는 것은 아니다. 까꾸재는 식구들의 안녕을 보살펴 주는 [가신](/topic/가신)으로서의 성격도 지니기 때문에 어업을 하지 않는 가정에서도 할배까꾸재를 모신다. 집을 짓거나 경조사가 있을 때, 땅이나 집, [동물](/topic/동물) 등을 살 때, 몸이 아플 때, 선주가 어로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할배까꾸재에게 조용히 빌거나 간단히 제사를 지낸다. 선주의 경우 무당을 불러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귀향할 때 선주가 까꾸재에 걸 고기를 선원들에게 나누어 주면 선원들은 이것을 다시 부인들에게 ‘할배고기’라면서 준다. 부인들은 그것을 받아 날것 또는 찐 것을 까꾸재에 건다. 까꾸재를 없애거나 갈아야 할 때에는 [마을](/topic/마을) 뒷산에 올라가 나무에 걸어 둔다. 까꾸재를 함부로 태우거나 버려서는 안 되며, 산에 걸어 놓고 자연스럽게 없어지기를 기다려야 한다. 까꾸재는 할배신이 좌정한 신체이기 때문에 함부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경북 울진군 기성면 봉산2리 ‘갈매’마을 역시 공동체신앙의 대상인 골맥이할배가 가제화돼 모셔지고 있다. 이를 ‘할배까꾸리’라고 부른다. 할배까꾸리는 현재 어업을 하고 있거나 과거에 한 집에서 대부분 모시고 있다. 주민들은 할배까꾸리가 고기를 많이 몰아주고 식구들의 안녕을 보살펴주는 것으로 여긴다. 까꾸리에는 자신들이 잡은 가장 큰 고기를 제물로 걸어 놓거나 외지에 사는 자식들이 ‘좋은 것(선물)’을 보내면 그 앞에서 먼저 알리고 사용한다. 이 마을의 할배까꾸리 형태는 크게 두 [가지](/topic/가지)이다. 까꾸리라고 부르는 [갈퀴](/topic/갈퀴) 모양의 소나무와 [한지](/topic/한지)를 접은 것이다. 일부 가정에서는 까꾸리에 한지로 묶어 신체로 삼는 경우도 있다. 이런 차이는 그것이 걸려 있는 위치 때문에 나타난다. [마루](/topic/마루)에 좌정한 골맥이할배의 신체는 한지 혹은 까꾸리에 한지를 묶은 형태가 대부분이고, 부엌 뒤편 [추녀](/topic/추녀)나 광에 걸려 있는 것들은 까꾸리에 고기를 매달아 놓는 경우가 많다. 갈매마을 역시 할배까꾸리를 골맥이할배의 신체로 여기기 때문에 함부로 처리하지 않는다. 이 마을에서는 신체를 태우거나 바다에 버리지 않고 산에 올라가 나무에 걸어 둠으로써 자연적으로 없어지기를 바란다. | 참고문헌 | 갈매의 제의에 관한 민속지적 연구 (안혜경,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해촌의 공동체신앙에 대한 연구 (손부영, 민속학연구 4, 안동대학교 민속학과학생회, 1998) 용과 여성, 달의 축제 (한양명, 민속원, 2006) | 형태 | '할배까꾸재’는 ‘골맥이할배’와 ‘까꾸리(갈쿠리)’의 합성어이다. 신체가 까꾸리처럼 생겼다 하여 할배까꾸재라고 부른다. 모시는 대상 신에 따라 ‘영등까꾸재’, ‘삼신까꾸재’ 등이 있다. 지역에 따라 까꾸재를 ‘까꾸지’, ‘까꾸리’ 등으로 달리 부르기도 한다. 까꾸재의 형태는 미역을 건져 올릴 때 쓰는 까꾸리라는 도구와 비슷하다. [가지](/topic/가지)가 많이 벌어진 소나무를 다듬어 거꾸로 매달아 놓은 것이다. 길이는 30∼40㎝이며 [한지](/topic/한지)로 묶어 놓았다. 주민들은 이것을 할배까꾸재라고 부르면서 골맥이할배로 인식한다. 주택을 개량하면서 까꾸재의 크기를 줄여서 걸어 놓거나 큰 못을 하나 박아서 까꾸재를 대신하기도 한다. | 형태 | '할배까꾸재’는 ‘골맥이할배’와 ‘까꾸리(갈쿠리)’의 합성어이다. 신체가 까꾸리처럼 생겼다 하여 할배까꾸재라고 부른다. 모시는 대상 신에 따라 ‘영등까꾸재’, ‘삼신까꾸재’ 등이 있다. 지역에 따라 까꾸재를 ‘까꾸지’, ‘까꾸리’ 등으로 달리 부르기도 한다. 까꾸재의 형태는 미역을 건져 올릴 때 쓰는 까꾸리라는 도구와 비슷하다. [가지](/topic/가지)가 많이 벌어진 소나무를 다듬어 거꾸로 매달아 놓은 것이다. 길이는 30∼40㎝이며 [한지](/topic/한지)로 묶어 놓았다. 주민들은 이것을 할배까꾸재라고 부르면서 골맥이할배로 인식한다. 주택을 개량하면서 까꾸재의 크기를 줄여서 걸어 놓거나 큰 못을 하나 박아서 까꾸재를 대신하기도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