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불교에서 유래한 신으로 가정에서 시준, [시주](/topic/시주) 등으로 불리며 모셔지는 신. 특히 ‘세존’이라는 명칭과 세존신앙은 경상도지역에 강하게 남아 있다. |
---|---|
mp3Cnt | 0 |
wkorname | 황경순 |
정의 | 불교에서 유래한 신으로 가정에서 시준, [시주](/topic/시주) 등으로 불리며 모셔지는 신. 특히 ‘세존’이라는 명칭과 세존신앙은 경상도지역에 강하게 남아 있다. | 정의 | 불교에서 유래한 신으로 가정에서 시준, [시주](/topic/시주) 등으로 불리며 모셔지는 신. 특히 ‘세존’이라는 명칭과 세존신앙은 경상도지역에 강하게 남아 있다. | ___Sejon___ es un dios doméstico que se originó del budismo, y su nombre puede alternar por los de Sijin o Siju. A partir de la adopción del budismo,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y el budismo han tenido gran influencia entre sí de muchas formas distintas. Como el caso del dios del parto, [[Jeseok](/topic/DiosdelParto)](/topic/Jeseok), Sejon era originalmente un término budista, Bhagavat en sánscrito, el más venerado o Buda mismo, pero ha sido adorado como un dios del hogar en la creencia popular en Corea. Sejon es la deidad ancestral, que es la más poderosa entre los dioses domésticos junto con el dios guardián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Como un dios ancestral que se relaciona con el parto, Sejon posee también las características budistas, especialmente respecto a la comida sacrificial donde se excluye cualquier alimento que sea de origen animal como pescados y carnes debido a la vinculación de ___Sejon___ con Buda. En los rituales chamánicos, se incluye un segmento dedicado a Sejon. El culto a ___Sejon___ en el hogar es una práctica que se transmite de suegra a nuera, o que se enclaustra en el hogar según el resultado de una sesión de adivinación o un ritual chamánico. | 来源于佛教的神,家庭中被称为“Sijun”,“Siju”等受供奉的神。 佛教传入韩国以来,佛教和民俗信仰相互受到了不少的影响。“世尊”与[帝释](/topic/帝释)一样虽然是佛教的神,但随着民俗信仰与佛教的融合,成为家神的对象。世尊主要具备“祖神”的性质,与[城主](/topic/城主)一同被认为是家庭神中最高的神。另一方面,世尊既是[三神](/topic/三神),即生产神,又具备祖神的性质,还具有佛教特性。佛教特性从敬献给世尊的祭品中也表现得极为明显。由于世尊是佛教的神,因此需遵守不可敬献鱼类与肉类的[禁忌](/topic/禁忌)。巫俗中也有“世尊[巫祭](/topic/巫祭)”(或帝释祭程)。但与佛教的帝释神有所不同,民俗信仰中世尊呈现出“生产神”的性质。在家庭中供奉世尊的契机,通常是女性嫁人后接过婆婆曾经供奉的世尊,或通过占卜及巫祭而请来供奉。 | Sejon is a household god that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alternate versions of the name include Sijun and Siju.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Korea’s folk religion and Buddhism hav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ach other in many different ways. As in the case of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Sejon was originally a Buddhist term, Bhagavat in Sanskrit, referring to the most revered one, or Buddha himself, but has been worshipped as a household god in Korean folk belief. Sejon is an ancestral deity, that of the highest order among household gods, along with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House Guardian God). As an ancestral god also related to childbearing, Sejon also possesses Buddhist traits, especially in regard to sacrificial offerings, which excludes fish and meat due to the deity’s Buddhist associations. Shamanic rituals include a segment dedicated to Sejon. The household worship of Sejon is a practice that is passed down from mother to daughter, who enshrines the deity in her married home through divination or a shamanic ritual. | 내용 | 세존은 본래 불교의 신이다. 세존은 불법(佛法)을 보존하며, 불법에 귀의하는 구도자를 인도하는 제석과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무속에서도 세존굿(또는 제석거리)이 있다. 그러나 불교의 제석신과는 달리 생산신의 성격을 띤다. [가신](/topic/가신)(家神)으로 섬겨지는 세존은 대체로 [조상신](/topic/조상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세존은 성주와 더불어 집안을 다스리는 신, 가정신 중에서 가장 높은 신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한편 세존은 삼신과 조상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 불교적인 특성도 지니고 있다. 이는 세존에게 올리는 [제물](/topic/제물)에서도 강하게 드러난다. 세존은 불교의 신이기 때문에 생선과 육류를 올려서는 안 된다는 금기가 지켜지고 있다. | 내용 | 세존은 본래 불교의 신이다. 세존은 불법(佛法)을 보존하며, 불법에 귀의하는 구도자를 인도하는 제석과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무속에서도 세존굿(또는 제석거리)이 있다. 그러나 불교의 제석신과는 달리 생산신의 성격을 띤다. [가신](/topic/가신)(家神)으로 섬겨지는 세존은 대체로 [조상신](/topic/조상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세존은 성주와 더불어 집안을 다스리는 신, 가정신 중에서 가장 높은 신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한편 세존은 삼신과 조상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 불교적인 특성도 지니고 있다. 이는 세존에게 올리는 [제물](/topic/제물)에서도 강하게 드러난다. 세존은 불교의 신이기 때문에 생선과 육류를 올려서는 안 된다는 금기가 지켜지고 있다. | 지역사례 | 전라도지역에서는 세존을 흔히 ‘제석’으로 일컫는다. 경상도지역에서는 세존의 와음(訛音)인 ‘시준’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대체로 작은 단지 안에 [곡물](/topic/곡물)을 넣고 [한지](/topic/한지)로 입구를 봉한 후 [안방](/topic/안방) [시렁](/topic/시렁) 위에 모셔놓으며, 집안의 주부가 매년 10월 무렵에 간단히 제물을 장만하여 제사를 올린다. 가정에 [세존단지](/topic/세존단지)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면 평안하다고 여긴다. 단지 형태로 모셔지는 시준은 조상이라는 상징물이다. 경북 경주지역에서는 세존이 [조상신](/topic/조상신)과 삼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성동동의 한 가정에서는 시아버지가 딸만 일곱을 두고 아들을 보지 못하자 백일기도를 해 아들 두 형제를 낳은 후 세존단지를 모시게 되었다. 그 후로 시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시어머니가 세존단지를 없앴다가 손자들이 자주 아파 다시 모셨다. 천군동의 한 가정에서도 세존단지는 자식을 불려 주는 것이라고 여겼다. 이처럼 세존에는 자식을 불려 주고 육아를 관장하는 삼신의 성격이 두드러[지게](/topic/지게) 나타난다. 세존단지의 촬영을 거부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성심성의껏 모시는 석가세존님’이기 때문이라는 까닭에서이다. 세존단지를 모시는 여성들이 인식하는 신앙의 비의성(秘儀性)과 신성성을 볼 수 있다. 세존은 명칭에서 불교의 제석신을 일컫고 있지만 실제 성격은 조상신과 삼신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무속의 제석굿거리에서 기원 내용이 자식발원과 수명장수인 것처럼 [가신](/topic/가신)으로서 제석의 기능 역시 같다. 이러한 기능적 요소로 인해 제석신(조상신)과 삼신이 동일시되어 모셔지고 있다. | ___Sejon___ es un dios doméstico que se originó del budismo, y su nombre puede alternar por los de Sijin o Siju. A partir de la adopción del budismo,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y el budismo han tenido gran influencia entre sí de muchas formas distintas. Como el caso del dios del parto, [[Jeseok](/topic/DiosdelParto)](/topic/Jeseok), Sejon era originalmente un término budista, Bhagavat en sánscrito, el más venerado o Buda mismo, pero ha sido adorado como un dios del hogar en la creencia popular en Corea. Sejon es la deidad ancestral, que es la más poderosa entre los dioses domésticos junto con el dios guardián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Como un dios ancestral que se relaciona con el parto, Sejon posee también las características budistas, especialmente respecto a la comida sacrificial donde se excluye cualquier alimento que sea de origen animal como pescados y carnes debido a la vinculación de ___Sejon___ con Buda. En los rituales chamánicos, se incluye un segmento dedicado a Sejon. El culto a ___Sejon___ en el hogar es una práctica que se transmite de suegra a nuera, o que se enclaustra en el hogar según el resultado de una sesión de adivinación o un ritual chamánico. | 来源于佛教的神,家庭中被称为“Sijun”,“Siju”等受供奉的神。 佛教传入韩国以来,佛教和民俗信仰相互受到了不少的影响。“世尊”与[帝释](/topic/帝释)一样虽然是佛教的神,但随着民俗信仰与佛教的融合,成为家神的对象。世尊主要具备“祖神”的性质,与[城主](/topic/城主)一同被认为是家庭神中最高的神。另一方面,世尊既是[三神](/topic/三神),即生产神,又具备祖神的性质,还具有佛教特性。佛教特性从敬献给世尊的祭品中也表现得极为明显。由于世尊是佛教的神,因此需遵守不可敬献鱼类与肉类的[禁忌](/topic/禁忌)。巫俗中也有“世尊[巫祭](/topic/巫祭)”(或帝释祭程)。但与佛教的帝释神有所不同,民俗信仰中世尊呈现出“生产神”的性质。在家庭中供奉世尊的契机,通常是女性嫁人后接过婆婆曾经供奉的世尊,或通过占卜及巫祭而请来供奉。 | Sejon is a household god that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alternate versions of the name include Sijun and Siju.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Korea’s folk religion and Buddhism hav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ach other in many different ways. As in the case of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Sejon was originally a Buddhist term, Bhagavat in Sanskrit, referring to the most revered one, or Buddha himself, but has been worshipped as a household god in Korean folk belief. Sejon is an ancestral deity, that of the highest order among household gods, along with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House Guardian God). As an ancestral god also related to childbearing, Sejon also possesses Buddhist traits, especially in regard to sacrificial offerings, which excludes fish and meat due to the deity’s Buddhist associations. Shamanic rituals include a segment dedicated to Sejon. The household worship of Sejon is a practice that is passed down from mother to daughter, who enshrines the deity in her married home through divination or a shamanic ritual. | 지역사례 | 전라도지역에서는 세존을 흔히 ‘제석’으로 일컫는다. 경상도지역에서는 세존의 와음(訛音)인 ‘시준’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대체로 작은 단지 안에 [곡물](/topic/곡물)을 넣고 [한지](/topic/한지)로 입구를 봉한 후 [안방](/topic/안방) [시렁](/topic/시렁) 위에 모셔놓으며, 집안의 주부가 매년 10월 무렵에 간단히 제물을 장만하여 제사를 올린다. 가정에 [세존단지](/topic/세존단지)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면 평안하다고 여긴다. 단지 형태로 모셔지는 시준은 조상이라는 상징물이다. 경북 경주지역에서는 세존이 [조상신](/topic/조상신)과 삼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성동동의 한 가정에서는 시아버지가 딸만 일곱을 두고 아들을 보지 못하자 백일기도를 해 아들 두 형제를 낳은 후 세존단지를 모시게 되었다. 그 후로 시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시어머니가 세존단지를 없앴다가 손자들이 자주 아파 다시 모셨다. 천군동의 한 가정에서도 세존단지는 자식을 불려 주는 것이라고 여겼다. 이처럼 세존에는 자식을 불려 주고 육아를 관장하는 삼신의 성격이 두드러[지게](/topic/지게) 나타난다. 세존단지의 촬영을 거부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성심성의껏 모시는 석가세존님’이기 때문이라는 까닭에서이다. 세존단지를 모시는 여성들이 인식하는 신앙의 비의성(秘儀性)과 신성성을 볼 수 있다. 세존은 명칭에서 불교의 제석신을 일컫고 있지만 실제 성격은 조상신과 삼신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무속의 제석굿거리에서 기원 내용이 자식발원과 수명장수인 것처럼 [가신](/topic/가신)으로서 제석의 기능 역시 같다. 이러한 기능적 요소로 인해 제석신(조상신)과 삼신이 동일시되어 모셔지고 있다. | 의의 | 우리나라에 불교가 유입된 이래 불교와 민속신앙은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받았다. 세존은 본래 불교에서 섬기는 신이지만 민속신앙과 불교의 융화로 [가신](/topic/가신)의 대상이 되었다. 제석신앙은 불교 전래 이후에 재래의 천신신앙(天神信仰)과 혼합되어, 현재 가신신앙에서와 같이 명칭은 세존이지만 기능과 성격은 [조상신](/topic/조상신)과 산신(産神)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 참고문헌 | 경주지역의 세존 신앙 (황경순, 불교고고학 3, 위덕대학교박물관, 2003)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 의의 | 우리나라에 불교가 유입된 이래 불교와 민속신앙은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받았다. 세존은 본래 불교에서 섬기는 신이지만 민속신앙과 불교의 융화로 [가신](/topic/가신)의 대상이 되었다. 제석신앙은 불교 전래 이후에 재래의 천신신앙(天神信仰)과 혼합되어, 현재 가신신앙에서와 같이 명칭은 세존이지만 기능과 성격은 [조상신](/topic/조상신)과 산신(産神)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 참고문헌 | 경주지역의 세존 신앙 (황경순, 불교고고학 3, 위덕대학교박물관, 2003) 한국의 가정신앙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2008) |
---|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의 민속지화에 관한 연구 | 강신영 | 1984 | 대구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 한국지화에 관한 연구 Ⅱ- 김석출씨의 기법을 중심으로 | 김태연 | 1985 |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 | 박기복 | 1986 | 집문당 | 한국무가집4 | 김태곤 편 | 1992 | 한국무속학회 | 무화연구 (1) | 김태연 | 2001 |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지화 연구 | 김명희 | 2002 | 한국무속학회 | 서울굿 신화 연구 | 양종승·최진아 | 2002 | 한국무속학회 | 동해안별신굿 지화 연구 Ⅰ | 심상교 | 20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