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시개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 오구굿에서 쓰이는 무가 또는 [장단](/topic/장단)의 한 종류. 오구굿의 초망자굿에서 부르는 무가와 반주 장단을 지칭한다.
definition
동해안 오구굿에서 쓰이는 무가 또는 [장단](/topic/장단)의 한 종류. 오구굿의 초망자굿에서 부르는 무가와 반주 장단을 지칭한다.
mp3Cnt
0
wkorname
윤동환
정의동해안 오구굿에서 쓰이는 무가 또는 [장단](/topic/장단)의 한 종류. 오구굿의 초망자굿에서 부르는 무가와 반주 장단을 지칭한다.
내용쪼시개 1장은 무가와 타악기 합주가 교대하지 않고 무가만을 이어서 부르는 특징이 있다. 1장의 한 칸은 소리듬형이 반복되는 3+2+3(♩.+♩+♩.)소박이다. [사설](/topic/사설)은 5칸을 단위로 제1, 2, 3, 4칸에만 붙고 제5칸에는 비어 있다. 따라서 한 [장단](/topic/장단)은 3+2+3(♩.+♩+♩.)×5칸이고, 한 장단의 제4, 5칸에는 타악기 간주가 들어간다.

쪼시개 1장(M.M♩.+♩+♩.≑25)


| | 1 | 2 | 3 | 4 | 5 |
| -------- | -------- | -------- | -------- | -------- | -------- |
| 무가1 | 돌아-/오소-/-- | 돌아-/-아/아아아 | 오--/--/--- | ---/--/--- | ---/--/--- |
| | ---/--/--- | ---/--/--- | ---/♩♪/♩ | ♪♩/♩♪/♩ | ♩./♩/♩. |
| | | | | | |
| 무가2 | 불쌍코/애참/하는 | 어열신/손씨/영가 | 돌아-/--/--- | 오--/--/--- | ---/--/--- |
| | ---/--/--- | ---/--/--- | ---/--/--- | ---/♩♪/♩ | ♪♩/♩♪/♩ |
| | 징--/--/--- | | | | |



쪼시개 1장의 출현음은 la, do', re', mi', sol'이다. la로 종지하고, 이 음을 떨며, re'-do'의 꺾는 퇴성이 re'-do'-re'-do'로 빈번히 나타난다. 즉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 변형 선율이다. 쪼시개 1장은 한 장단(♩.+♩+♩.)×5칸으로 무가를 부른다. 선율선은 대개 하행형이고, 하행형에서의 주된 선율형은 re'-do'-la형이다.

쪼시개 2장은 청보 2장과 동일하다. 다만 쪼시개 2장도 청보장단처럼 무가와 타악기의 간주가 교대하지 않고 무가를 이어서 부르는 것이 다를 뿐이다. 2장은 3소박(♩.)이 한 칸이 되고, 3소박 5개가 모여 한 장단이 된다. 매 장단의 제5칸에는 사설이 붙지 않고, 제4칸의 음이 연장된다. 징은 두 장단을 단위로 두 번째 장단의 첫 칸에 친다. 쪼시개 2장에서는 한 장단의 제4, 5칸에 간주와 [바라지](/topic/바라지)가 따른다.

쪼시개 2장(M.M♩.≑57)


| | 1 | 2 | 3 | 4 | 5 |
| -------- | -------- | -------- | -------- | -------- | -------- |
| 무가1 | 금일- | -종천 | 하적을 | 하고오 | --- |
| | | | | | ♪♬♪ |
| | | | | | |
| 무가2 | 돌아갈 | 줄을- | 어느누가 | 알까아 | --- |
| | | | ♬♬♪ | ♬♬♪ | ♬♪♪ |
| | 징-- | | | | |



쪼시개 2장에는 mi, sol, la, do'가 출현한다. 다른 무가와 달리 sol이 빈번하게 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mi를 떨고 이 음으로 종지하는 메나리토리이다. 2장의 선율은
지역사례쪼시개는 동해안 중부 지역(경상북도)과 동해안 남부 지역(부산·울산) 오구굿의 초망자굿에서 공통적으로 부르는 무가이자 [장단](/topic/장단)이다. 동해안 중부 지역 오구굿에서 발원굿을 서사무가로 [구연](/topic/구연)하지 않는 경우에는 쪼시개를 사용한다.
참고문헌경남·경북 동해안 [무악](/topic/무악) 비교 연구 (장휘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국립문화재연구소무 굿과 음식 12005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다양성과 구조김헌선200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