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화재를 예방할 목적으로 지내는 마을 제사. ‘화신제(火神祭)’ 또는 ‘물보기제’라고도 한다. 순천구산용수제는 1997년 5월 15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
mp3Cnt | 0 |
wkorname | 표인주 |
정의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화재를 예방할 목적으로 지내는 마을 제사. ‘화신제(火神祭)’ 또는 ‘물보기제’라고도 한다. 순천구산용수제는 1997년 5월 15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정의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에서 [마을](/topic/마을)의 화재를 예방할 목적으로 지내는 마을 제사. ‘화신제(火神祭)’ 또는 ‘물보기제’라고도 한다. 순천구산용수제는 1997년 5월 15일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내용 | 화신제는 처음에는 화재를 막기 위하여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지혜를 모아 마을 어귀에 짐대를 세우고 그 끝에 오리 형상을 만들어 달아 “여기에는 오리가 사는 물이 있으니 화마는접근하지 마라”는 의미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화신제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1. 짐대 세우기 : 정월 열나흗날 아침에 마을 사람들이 동네 앞에 모여 인근 산의 솔밭에 가서 가장 크고 긴 짐대를 메고 온다. 짐대를 내릴 때는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새끼로앞목을 묶고, 옆받침 [기둥](/topic/기둥)을 넣어서 어깨에 메며, 뒤편에서는 옆 기둥을 아래로 낮추어 손으로 잡고 내린다. 이때 굿(사물)을 치고 거의 외설에 가까운 [선소리](/topic/선소리)와 함께 흥겹게짐대를 내린다. 짐대를 내릴때 소리는 일정하지 않고 , 등을 불렀다. 앵무새 같은 시누 물에나 풍덩 빠져 죽지 얼널러 상사디야 낙자장사가 나를 홀려 낸다. 얼널러 상사디야 밤일 하는 데는 붕알이 날개다 얼널러 상사디야 구정물통에 [호박](/topic/호박)씨 떴다. 얼널러 상사디야 과부 [요강](/topic/요강)에는 똥이 동동 떴다. 얼널러 상사디야 이런 소리와 더불어 굿을 치고 내려와서는 짐대를 메고 마을을 돌아다닌 뒤 불의 방향인 동쪽의 불기운을 막기 위해 6m 정도의 장대 위에 오리를 앉혀 동쪽을 향해 세워 놓고, 짐대와 제사터 주변에 [황토](/topic/황토)를 깔고 [금줄](/topic/금줄)을 쳐서 깨끗하게 한다. 짐대를 세울 때(3년주기)는 등의 짐대놀이가 연희(演戲)되기도 한다. 2. 화신제 준비 : 용수제의 주관은 동네 이장(지금은 보존회장)이 맡는다. 제의 준비는 짐대와 제터 주변에 황토를 깔고 금줄을 쳐서 정화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제물은돼지머리, 다섯 [가지](/topic/가지) 과일, 포, 쌀 등을 장에서 구입하여 미리 정한 [제관](/topic/제관) 집(지금은 보존회 총무 집)에서 조리를 한다. 비용은 지난해 용수제의 [뒤풀이](/topic/뒤풀이)로 희망하는 집을 돌면서 [[마당](/topic/마당)밟이](/topic/마당밟이)를 해 모은 돈으로 충당한다. 3. 화신제 절차 : 제사는 정월대보름날 오후 5시 석양 무렵 제사터에 제물을 차려 놓은 뒤 홀기에 따라 유교식으로 진행된다. 그 과정은 전남지방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동제(洞祭)와 비슷하다. 특이한 것은 제의에 앞서 옛날부터 땅속에 묻어 둔 항아리의물을 보고 점을 치는 ‘물보기’라는 예점(豫占)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곧 지난해 용수제 때 항아리에 채워 놓은 물의 양이 많이 줄어 있으면 그해 비가 잦고, 적게 줄어 있으면 가뭄이 들 것으로 여긴다. 용수제가 끝나면 곧바로 짐대가 있는 곳으로 옮겨 [짐대제](/topic/짐대제)를 지낸다. 4. 화신제 뒤풀이 : 화신제와 짐대제가 끝나면 뒤풀이라 할 수 있는 [달집태우기](/topic/달집태우기) 놀이가 이어지고, 동네 마당밟이를 마지막으로 순천구산용수제는 끝이 난다. | 내용 | 화신제는 처음에는 화재를 막기 위하여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지혜를 모아 마을 어귀에 짐대를 세우고 그 끝에 오리 형상을 만들어 달아 “여기에는 오리가 사는 물이 있으니 화마는접근하지 마라”는 의미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화신제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1. 짐대 세우기 : 정월 열나흗날 아침에 마을 사람들이 동네 앞에 모여 인근 산의 솔밭에 가서 가장 크고 긴 짐대를 메고 온다. 짐대를 내릴 때는 끌어당길 수 있도록 새끼로앞목을 묶고, 옆받침 [기둥](/topic/기둥)을 넣어서 어깨에 메며, 뒤편에서는 옆 기둥을 아래로 낮추어 손으로 잡고 내린다. 이때 굿(사물)을 치고 거의 외설에 가까운 [선소리](/topic/선소리)와 함께 흥겹게짐대를 내린다. 짐대를 내릴때 소리는 일정하지 않고 , 등을 불렀다. 앵무새 같은 시누 물에나 풍덩 빠져 죽지 얼널러 상사디야 낙자장사가 나를 홀려 낸다. 얼널러 상사디야 밤일 하는 데는 붕알이 날개다 얼널러 상사디야 구정물통에 [호박](/topic/호박)씨 떴다. 얼널러 상사디야 과부 [요강](/topic/요강)에는 똥이 동동 떴다. 얼널러 상사디야 이런 소리와 더불어 굿을 치고 내려와서는 짐대를 메고 마을을 돌아다닌 뒤 불의 방향인 동쪽의 불기운을 막기 위해 6m 정도의 장대 위에 오리를 앉혀 동쪽을 향해 세워 놓고, 짐대와 제사터 주변에 [황토](/topic/황토)를 깔고 [금줄](/topic/금줄)을 쳐서 깨끗하게 한다. 짐대를 세울 때(3년주기)는 등의 짐대놀이가 연희(演戲)되기도 한다. 2. 화신제 준비 : 용수제의 주관은 동네 이장(지금은 보존회장)이 맡는다. 제의 준비는 짐대와 제터 주변에 황토를 깔고 금줄을 쳐서 정화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제물은돼지머리, 다섯 [가지](/topic/가지) 과일, 포, 쌀 등을 장에서 구입하여 미리 정한 [제관](/topic/제관) 집(지금은 보존회 총무 집)에서 조리를 한다. 비용은 지난해 용수제의 [뒤풀이](/topic/뒤풀이)로 희망하는 집을 돌면서 [[마당](/topic/마당)밟이](/topic/마당밟이)를 해 모은 돈으로 충당한다. 3. 화신제 절차 : 제사는 정월대보름날 오후 5시 석양 무렵 제사터에 제물을 차려 놓은 뒤 홀기에 따라 유교식으로 진행된다. 그 과정은 전남지방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동제(洞祭)와 비슷하다. 특이한 것은 제의에 앞서 옛날부터 땅속에 묻어 둔 항아리의물을 보고 점을 치는 ‘물보기’라는 예점(豫占)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곧 지난해 용수제 때 항아리에 채워 놓은 물의 양이 많이 줄어 있으면 그해 비가 잦고, 적게 줄어 있으면 가뭄이 들 것으로 여긴다. 용수제가 끝나면 곧바로 짐대가 있는 곳으로 옮겨 [짐대제](/topic/짐대제)를 지낸다. 4. 화신제 뒤풀이 : 화신제와 짐대제가 끝나면 뒤풀이라 할 수 있는 [달집태우기](/topic/달집태우기) 놀이가 이어지고, 동네 마당밟이를 마지막으로 순천구산용수제는 끝이 난다. | 의의 | 순천구산용수제는 [마을](/topic/마을)의 [풍수](/topic/풍수)적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거행되는 마을신앙으로, 풍수신앙으로 확대하여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민속신앙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용수제는 마을신앙인 동시에 공간민속이다. | 참고문헌 | 승주향리지 (승주군, 1986) 순천시의 문화유적 (순천대학교박물관, 1992) 순천문화재이야기 (순천시, 2007) | 의의 | 순천구산용수제는 [마을](/topic/마을)의 [풍수](/topic/풍수)적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거행되는 마을신앙으로, 풍수신앙으로 확대하여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민속신앙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용수제는 마을신앙인 동시에 공간민속이다. | 참고문헌 | 승주향리지 (승주군, 1986) 순천시의 문화유적 (순천대학교박물관, 1992) 순천문화재이야기 (순천시, 2007) | 유래 | 용수제가 전승되고 있는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는 본디 그 형국이 거북을 닮아 구산(龜山, 거그뫼)이라 했으나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 구산(九山)으로 표기해 본 뜻이 바뀌었다. 이 [마을](/topic/마을)은 순천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옥천 조씨(玉川 趙氏)의 본터로, 1400년대 중반에 정읍현감을 지낸 조지곤(趙智崑)이 입향했다고 전한다. 용수제의 기원은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조씨 성과 연관이 있다. 이 동네에서 동남쪽을 바라보면 오성산(五聖山, 606.2m)이 떠오르는 태양을 가리고 있다. 이는 화방 또는 화국(火局)이라 하여 목성(木性)인 조씨 터로는 목생화(木生火)로서 상생(相生)의 [명당](/topic/명당)이다. 그러나 이곳이 화(火)가 직충(直衝)함인지 화재가 자주 일어났고, 이를 보고 사람들은 조씨가많은 구산마을이 불티나무를 자주 보고 있어 화재가 잦다고 판단하였다. 곧 마을에서는 화기(火氣)를 진압하고자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해질녘에 지는 해를 바라보면서 용수제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순천구산용수제는 1994년 제22회 남도문화제 최우수상, 1995년 제36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 유래 | 용수제가 전승되고 있는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는 본디 그 형국이 거북을 닮아 구산(龜山, 거그뫼)이라 했으나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 구산(九山)으로 표기해 본 뜻이 바뀌었다. 이 [마을](/topic/마을)은 순천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옥천 조씨(玉川 趙氏)의 본터로, 1400년대 중반에 정읍현감을 지낸 조지곤(趙智崑)이 입향했다고 전한다. 용수제의 기원은 이곳에 처음 터를 잡은 조씨 성과 연관이 있다. 이 동네에서 동남쪽을 바라보면 오성산(五聖山, 606.2m)이 떠오르는 태양을 가리고 있다. 이는 화방 또는 화국(火局)이라 하여 목성(木性)인 조씨 터로는 목생화(木生火)로서 상생(相生)의 [명당](/topic/명당)이다. 그러나 이곳이 화(火)가 직충(直衝)함인지 화재가 자주 일어났고, 이를 보고 사람들은 조씨가많은 구산마을이 불티나무를 자주 보고 있어 화재가 잦다고 판단하였다. 곧 마을에서는 화기(火氣)를 진압하고자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해질녘에 지는 해를 바라보면서 용수제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순천구산용수제는 1994년 제22회 남도문화제 최우수상, 1995년 제36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
---|
수원지방무의식 |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 | 국립문화재연구소 | 1983 | 민속원 | 한국 무속복식의 역할에 관한 논의, 민속과종교 | 소황옥 | 2003 | 민속원 | 한국의 무복 | 김은정 | 20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