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공천왕당

한국무속신앙사전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와 남리의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마을수호신을 모시고 동제를 지내는 제당. 2006년 4월 20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와 남리의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마을수호신을 모시고 동제를 지내는 제당. 2006년 4월 20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이균옥
정의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와 남리의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마을수호신을 모시고 동제를 지내는 제당. 2006년 4월 20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정의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북리와 남리의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마을수호신을 모시고 동제를 지내는 제당. 2006년 4월 20일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5호’로 지정되었다.
내용제당 안에는 당상천왕(堂上天王), 마상천왕(馬上天王), 보안천왕(保安天王) 신위(神位)라고 적힌 [마을](/topic/마을)신의 [위패](/topic/위패)가 모셔져 있다. 동제는 해마다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과 칠월칠석날첫 시에 행해진다. 과거에는 [제관](/topic/제관)이 세 명이었으나 현재는 금기를 지키기 힘들어 어쩔 수 없이 남리와 북리의 이장이 제관을 맡고 있다. 제수(祭需)는 일반 가정집의 [기제사](/topic/기제사)(忌祭祀)와 유사하며, 과거에는 돼지를 한 마리 잡아 사용했으나 현재는 돼지머리를 사용한다.

동제의 목적은 대개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지역은 비슬산 주위이기 때문에 산짐승으로부터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마을에 따라 추가되기도한다.
내용제당 안에는 당상천왕(堂上天王), 마상천왕(馬上天王), 보안천왕(保安天王) 신위(神位)라고 적힌 [마을](/topic/마을)신의 [위패](/topic/위패)가 모셔져 있다. 동제는 해마다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과 칠월칠석날첫 시에 행해진다. 과거에는 [제관](/topic/제관)이 세 명이었으나 현재는 금기를 지키기 힘들어 어쩔 수 없이 남리와 북리의 이장이 제관을 맡고 있다. 제수(祭需)는 일반 가정집의 [기제사](/topic/기제사)(忌祭祀)와 유사하며, 과거에는 돼지를 한 마리 잡아 사용했으나 현재는 돼지머리를 사용한다.

동제의 목적은 대개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지역은 비슬산 주위이기 때문에 산짐승으로부터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마을에 따라 추가되기도한다.
역사제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인 소규모의 겹[처마](/topic/처마) [맞배지붕](/topic/맞배지붕) 건물이다. 앞쪽을 제외한 삼면은 자연석 [돌담](/topic/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건물 주위에는 노송이 둘러싸고 있다.

누(樓) 형식의 건물로 [기둥](/topic/기둥)은 누하주(樓下柱)와 누상주(樓上柱)로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의 기둥만 사용되었다. 측면 칸을 두 공간으로 나누어 앞쪽으로는 개방된 [마루](/topic/마루)를 깔고, 뒤쪽에는 신위(神位)를 모시는 방을 두었다. 방 앞에는 [머름](/topic/머름)을 둔 쌍[여닫이](/topic/여닫이) 세살문을 달았고, 나머지 삼면에는 [판벽](/topic/판벽)을 설치하였다. 누하부는 흙바닥이고, 누 상부는 목재 마루판으로 마감하였다.

평편한 지면 위에 [기단](/topic/기단) 없이 자연석인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민흘림 원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쪽에는 뺄목을 끼워 그 위에 장혀와 도리를 결구하였고, 창방 위에 소로를 얹어 장혀와 도리를 받게 하였다
역사제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인 소규모의 겹[처마](/topic/처마) [맞배지붕](/topic/맞배지붕) 건물이다. 앞쪽을 제외한 삼면은 자연석 [돌담](/topic/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건물 주위에는 노송이 둘러싸고 있다.

누(樓) 형식의 건물로 [기둥](/topic/기둥)은 누하주(樓下柱)와 누상주(樓上柱)로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의 기둥만 사용되었다. 측면 칸을 두 공간으로 나누어 앞쪽으로는 개방된 [마루](/topic/마루)를 깔고, 뒤쪽에는 신위(神位)를 모시는 방을 두었다. 방 앞에는 [머름](/topic/머름)을 둔 쌍[여닫이](/topic/여닫이) 세살문을 달았고, 나머지 삼면에는 [판벽](/topic/판벽)을 설치하였다. 누하부는 흙바닥이고, 누 상부는 목재 마루판으로 마감하였다.

평편한 지면 위에 [기단](/topic/기단) 없이 자연석인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민흘림 원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쪽에는 뺄목을 끼워 그 위에 장혀와 도리를 결구하였고, 창방 위에 소로를 얹어 장혀와 도리를 받게 하였다
형태제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인 소규모의 겹[처마](/topic/처마) [맞배지붕](/topic/맞배지붕) 건물이다. 앞쪽을 제외한 삼면은 자연석 [돌담](/topic/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건물 주위에는 노송이 둘러싸고 있다.

누(樓) 형식의 건물로 [기둥](/topic/기둥)은 누하주(樓下柱)와 누상주(樓上柱)로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의 기둥만 사용되었다. 측면 칸을 두 공간으로 나누어 앞쪽으로는 개방된 [마루](/topic/마루)를 깔고, 뒤쪽에는 신위(神位)를 모시는 방을 두었다. 방 앞에는 [머름](/topic/머름)을 둔 쌍[여닫이](/topic/여닫이) 세살문을 달았고, 나머지 삼면에는 [판벽](/topic/판벽)을 설치하였다. 누하부는 흙바닥이고, 누 상부는 목재 마루판으로 마감하였다.

평편한 지면 위에 [기단](/topic/기단) 없이 자연석인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민흘림 원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쪽에는 뺄목을 끼워 그 위에 장혀와 도리를 결구하였고, 창방 위에 소로를 얹어 장혀와 도리를 받게 하였다
형태제당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인 소규모의 겹[처마](/topic/처마) [맞배지붕](/topic/맞배지붕) 건물이다. 앞쪽을 제외한 삼면은 자연석 [돌담](/topic/돌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건물 주위에는 노송이 둘러싸고 있다.

누(樓) 형식의 건물로 [기둥](/topic/기둥)은 누하주(樓下柱)와 누상주(樓上柱)로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의 기둥만 사용되었다. 측면 칸을 두 공간으로 나누어 앞쪽으로는 개방된 [마루](/topic/마루)를 깔고, 뒤쪽에는 신위(神位)를 모시는 방을 두었다. 방 앞에는 [머름](/topic/머름)을 둔 쌍[여닫이](/topic/여닫이) 세살문을 달았고, 나머지 삼면에는 [판벽](/topic/판벽)을 설치하였다. 누하부는 흙바닥이고, 누 상부는 목재 마루판으로 마감하였다.

평편한 지면 위에 [기단](/topic/기단) 없이 자연석인 덤벙주초를 놓고, 그 위에 민흘림 원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쪽에는 뺄목을 끼워 그 위에 장혀와 도리를 결구하였고, 창방 위에 소로를 얹어 장혀와 도리를 받게 하였다
지역사례비슬산 지역 동제의 명칭으로는 동제가 가장 널리 사용되며, 당산제·당제라고도 한다. 비슬산 지역에서는 동신(洞神)을 천왕 또는 천왕님으로 부르고 있으며, 천황·처낭·서낭이라고도 한다. 천왕은 중국의 ‘성황(城隍)’에서 유래하였다고 하지만 분명하지는 않다.

비슬산 지역의 당 형태는 나무가 압도적이다. 당집과 나무, 돌무더기와 나무가 결합된 형태도 있다. 나무가 신체(神體)인 경우 나무 종류는 느티나무, 소나무, 회나무, 펠구나무, 왕버들, 배나무, 은행나무 등이다. 이 가운데 느티나무가 가장 많고 그다음이 소나무이다. 이 나무를 당산·당산목·당산나무·당나무·당목·천왕나무 등으로 부르고 있다.

당의 명칭은 당의 개수와 형태에 따라 웃당과 아랫당, 바깥당과 산지당, 당산 또는 처낭당·천왕당 등으로 부르고 있다.
참고문헌비슬산 속집 (대구광역시ㆍ경북대학교, 대구광역시, 2000)
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경상북도 (국립민속박물관, 2004)
지역사례비슬산 지역 동제의 명칭으로는 동제가 가장 널리 사용되며, 당산제·당제라고도 한다. 비슬산 지역에서는 동신(洞神)을 천왕 또는 천왕님으로 부르고 있으며, 천황·처낭·서낭이라고도 한다. 천왕은 중국의 ‘성황(城隍)’에서 유래하였다고 하지만 분명하지는 않다.

비슬산 지역의 당 형태는 나무가 압도적이다. 당집과 나무, 돌무더기와 나무가 결합된 형태도 있다. 나무가 신체(神體)인 경우 나무 종류는 느티나무, 소나무, 회나무, 펠구나무, 왕버들, 배나무, 은행나무 등이다. 이 가운데 느티나무가 가장 많고 그다음이 소나무이다. 이 나무를 당산·당산목·당산나무·당나무·당목·천왕나무 등으로 부르고 있다.

당의 명칭은 당의 개수와 형태에 따라 웃당과 아랫당, 바깥당과 산지당, 당산 또는 처낭당·천왕당 등으로 부르고 있다.
참고문헌비슬산 속집 (대구광역시ㆍ경북대학교, 대구광역시, 2000)
한국의 [마을](/topic/마을)제당-경상북도 (국립민속박물관, 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