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세습무
    634 2023.02.27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 상문
    631 2023.02.27
    죽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 상문은 죽음으로 인한 부정함을 말하거나 ‘[상문살](/topic/상문살)(喪門煞)’이라는 표현에서 드러나듯 그러한 죽음의 부정한 기운을 말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문각시 상문도령’이라는 말에서 나타나듯 죽음의 부정이 의인화된 존재를 가리키기도 한다. 한편 상문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죽은 달이 아직 경과하지 않은 사람의 넋을 말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 쇠걸립
    630 2023.02.27
    [만신](/topic/만신)의 [내림굿](/topic/내림굿)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걸립 행위 가운데 하나.
  • 정화
    629 2023.02.27
    부정한 장소나 특정한 생명체를 맑게 하는 행위를 총칭하는 개념. 외국어로 가령 purification나 lustration 등이 쓰이는 것은 이러한 각도에서 이 용어의 소종래를 규명하는 것일 수 있다. 신성한 장소에서 더러운 것을 씻어내는 행위가 정화에 해당한다. 정화는 우리 [마을](/topic/마을)신앙의 전통 속에서 유래했다고 보기 어려운 특징이 있지만 고유하게 존재하는 요소이다. 부정을 가시는 행위에서 비롯되어 부정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소미
    629 2023.02.27
    수무(首巫)인 큰심방을 돕는 심방을 두루 일컫는 말. 소미가 차지하는 위상에 따라 접소미, 신소미, 수소미, 폿소미, 안체포소미 등 여러 명칭이 쓰인다. 소미는 한자어 [소무](/topic/소무)(小巫)에서 비롯된 말로 큰심방을 돕는 작은 심방이라는 뜻이다.
  • 삼산돌기
    628 2023.02.27
    무당이 되는 입무 과정에서 [내림굿](/topic/내림굿)을 준비할 때 세 곳의 산천을 순례하는 과정.
  • 동제계
    627 2023.02.27
    동제의 준비와 봉행, 동제를 위한 기금이나 전답의 관리 등 동제의 전승을 목적으로 조직된 계(契).
  • 박수
    626 2023.02.27
    남자 무당을 일컫는 말.
  • 별기은
    626 2023.02.27
    무격이 왕실과 국가의 제재초복(除災招福)을 위하여 산천(山川)이나 신당(神堂)에서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벌이던 국행제(國行祭).
  • 금기
    624 2023.02.27
    가정신앙에서 제의를 지낼 때 행하지 말아야 하는 행위나 마음가짐.
  • 624 2023.02.27
    방위와 날을 따라다니면서 인간생활에 영향을 주는 귀신.
  • 삼칠일
    621 2023.02.27
    중요한 일이 발생한 날로부터 7일을 세 번 지낼 때까지 금기(禁忌)를 지키거나 특별한 의미를 두어 대응하는 기간.
  • 망지
    620 2023.02.27
    [마을](/topic/마을) 제의에 [제관](/topic/제관) 및 집사로 선출되었음을 해당자에게 알리는 통지서.
  • 대동회
    620 2023.02.27
    동제를 전후하여 [마을](/topic/마을) 대표들이 모여 동제에 관한 모든 사항을 협의하고 결정하는 회의, 또는 이러한 모임. 동제를 앞두고 1~2주일 전이나 며칠 전에 대동회를 열어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제주(당주라고도 함), 축관, 유사(有司), [화주](/topic/화주) 등을 뽑는다. 그리고 동제를 지낸 뒤에는 [제관](/topic/제관)이나 이장 집에 모여 동제에 쓰인 비용을 결산하고 앞으로 마을에서 한 해 동안 할일을 의논한다. 이 밖에도 마을에서 각별하게 해결해야 할 일이 있을 때에도 대동회(大同會)를 연다. 대동회를 동회, 대동계(大同契), 동계(同契), 이중계(里中契)라고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들은 내용상의 차이가 있다.
  • 619 2023.02.27
    사람이나 물건 등을 해치고 파괴하는 독하고 악(惡)한 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