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11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택일
    597 2023.02.27
    행사를 하기에 앞서 피흉추길의 한 방법으로 [음양오행](/topic/음양오행) 원리와 육갑 신살법 등에 의거하여 좋은 날을 가리고 나쁜 날을 피하는 일련의 행위. “길흉일을 구별하여 고르다, 가리다”는 의미에서 ‘날가림’, “길일을 점쳐서 골라 정하다”는 의미에서 ‘복일(卜日)’, “길일을 물어서 취하다”는 의미에서 ‘추길(諏吉)’․‘추일(諏日)’이라고도 한다.
  • 제주
    595 2023.02.27
    [마을](/topic/마을)제의를 주관하는 사람들 가운데 제의의 주장(主將)이 되는 사람.
  • 무고
    594 2023.02.27
    초연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다른 사람을 해코지하는 흑주술(black magic)의 일종. 저주 또는 방자(方子)라고도 한다.
  • 의무
    593 2023.02.27
    질병을 치료하는 무당. 무의(巫醫)라고도 한다.
  • 제주
    591 2023.02.27
    신에게 제사 지낼 때 신을 불러 모시기 위하여 땅에 붓거나 신에게 대접하는 술.
  • 도가
    590 2023.02.27
    동제 때 사용할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 또는 제물을 장만하는 집.
  • 옥녀각시
    590 2023.02.27
    신부가 처음으로 시가(媤家)로 가는 [신행](/topic/신행)(新行)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피해야 하는 방위와 관련된 살(煞)의 일종.
  • 참신
    587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이 오신 것으로 여기고 인사를 드리는 절차.
  • 뒷전무당
    586 2023.02.27
    서울굿과 경기북부 지역 굿에서 뒷전을 전담하는 무당.
  • 좀도리
    583 2023.02.27
    쌀을 퍼서 밥을 지을 때마다 한 움큼씩 덜어 모아두는 단지.
  • 재인청
    582 2023.02.27
    전통시대에 무속인, 화랑, 재인, 예인, [광대](/topic/광대) 등을 구성원으로 한 자치 조직.
  • 희생제물
    579 2023.02.27
    인간이 신에게 바치는 정성스러운 상징적 제물. 인간을 대신하여 바치는 희생적인 상징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을](/topic/마을)굿에서는 신에게 [동물](/topic/동물)을 바치는 전통이 있다. 이 동물이 바로 희생제물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닭, 돼지, 소 등이 있다.
  • 방위가리기
    579 2023.02.27
    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 577 2023.02.27
    가정신앙을 비롯한 민속신앙에서 어떤 잘못된 행위로 인해 초자연적 존재(super-natural beings)를 자극함으로써 인간이 겪는 비정상적인 상태 또는 그 결과.
  • 무당
    576 2023.02.27
    무속의 사제자로, 길흉화복을 점치고 굿을 주관하는 사람의 총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