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둘레길 26 페이지 > clubrichtour

걷기/자전거 여행
제목
  • 제주 해맞이 해안로
    제주의 감성을 한 아름 안고 달리는 자전거 여행

    다양한 풍광과 정취를 간직한 해맞이 해안로는 자동차 드라이브, 자전거 하이킹, 걷기 등 어떤 방식의 여행에서도 모두 만족스러울 명품 해안도로다. 김녕해수욕장을 출발해 구좌읍 월정·행원·한동·세화·하도·종달리 등의 바닷가 마을을 두루 거쳐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까지 28km쯤 이어진다. 바다와 어깨를 맞대고 이어지는 이 해안도로에선 제주도의 독특한 자연, 민속, 생태, 풍물 등을 다채롭게 만날 수 있다.

    제주 해맞이 해안로는 제주의 모든 것을 품은 바닷길이다. 동북해안을 두루 거치며 조선시대에 왜구를 막기 위한 별방성, 우리나라 유일의 문주란 자생지인 토끼섬, 제주도의 대표철새도래지인 하도리저수지, 제주어촌의 전통신앙을 보여주는 종달리 해신당 등을 한 번에 마주할 수 있다.

    특히 구좌읍 한동리에서 성산읍 오조리 사이의 17.5km 구간은 제주도에서 가장 안전하고도 아름다운 자전거길로 평가 받는다. 또 유채꽃, 문주란꽃과 수국꽃, 억새꽃과 들국화 등이 철 따라 피고 지며 환상적인 꽃길을 연출하기도 한다.


    537 2022.07.15
  • 제주환상 자전거길
    환상의 섬, 제주에서 만나는 새로운 세상

    제주도는 유네스코가 인증하는 자연과학분야 삼관왕(생물권보호구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을 달성한 지역으로 교통량이 적은 해안도로와 일주 도로 등을 최대한 활용해 환상 자전거길을 조성했다. 제주도를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약 240km의 코스. 용두암 인증센터에서 시작해 김녕성세기해변, 함덕서우봉해변, 표선해변 등 아름다운 해변과 쇠소깍, 성산일출봉, 송악산 등 제주도가 자랑하는 관광 명소 등을 경유한다.

    라이딩 여행은 천혜의 아름다운 섬, 제주를 온전히 느끼는 방법이다. 엉알해안, 한담해안도로, 신창풍차해안도로, 월령선인장단지, 법환바당 등 숨겨진 제주도의 명소 등은 자전거 이용자에게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남원~김녕해변으로 연결된 약 60km의 해안도로 구간은 바다와 인접한 자전거 주행이 가능해 색다른 묘미를 느낄 수 있다.

    516 2022.07.15
  • 아라 자전거길
    도심 곁 아기자기하게 숨은 명품 자전거길

    아라자전거길이 생기면서 인천은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로 거듭났다. 아라서해갑문부터 아라한강갑문까지 이어진 자전거길은 자전거 애호가들의 필수 코스로 자리매김한 것.  총 거리가 21km에 이르는 이 길은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아늑해 수많은 자전거 동호인들이 모여들고, 경사 구간이 거의 없어 누구든 마음껏 페달을 굴린다. 코스 중간엔 시천문화광장, 계양대교 전망대, 두리생태공원 등 관광 명소들도 많아 자전거 라이딩 속의 또 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아라자전거길이 조성되면서 인천은 4대강 자전거 국토종주의 출발점을 새로 썼다. 자전거 애호가들은 부산 낙동강하구둑까지 이어지는 633km 여정을 시작하기 위해 이곳으로 모인다. 옆으로 길게 뻗은 아라뱃길을 따라 놓인 자전거길은 시원한 바람을 가르기에 제격. 이제 막 라이딩에 자신감이 붙은 초보자라면 아라자전거길을 통해 4대강 국토종주를 경험해보자.  소요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515 2022.07.15
  • 광명누리길
    광명시는 남북이 긴 타원형 모습의 도시다. 도덕산, 구름산, 가학산, 서독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광명시의 한가운데를 지나는데 도심의 허파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녹색지대다. 그 중 구름산은 해발 237m로 광명시에서는 제일 높은 산이고 가학산은 해발 220m로 두 번째다. 이 산들은 가벼운 등산코스로 인기가 많은 곳인데 광명시에서는 구름산과 가학산의 둘레를 따라 걷기 좋은 길을 냈다. 구름산과 가학산을 한 바퀴 돌 수 있는 길인데 길이 어렵지 않아서 가족단위로 걷기에도 좋다. 도심 속에 있는 산이지만 울창한 숲이 좋고 거의 전 구간이 숲길로 이어지기에 산림욕에도 그만이다. 걷는 길에서 만나게 되는 광명동굴은 폐광된 광산을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관광명소로 탈바꿈시킨 곳이다.
    479 2022.07.15
  • 느림보강물길 1코스 삼봉길
    단양 느림보 강물길은 단양을 대표하는 걷기코스로 남한강변을 따라 석문길, 삼봉길 등 4개 테마로 조성한 친환경 숲 체험 길이다. 수려한 자연경관을 벗 삼아 남한강변으로 이어 지는 느림보 강물길은 편안한 숲 속의 향기, 넋을 놓게 만드는 비경, 유유히 흐르는 남한 강이 몸과 마음의 여유를 가지게 한다. 국가명승인 도담삼봉(제44호)과 석문(제45호)을 비롯해 금굴(충북도기념물 제102호) 등 절경을 감상할 수 있어 걷는 재미를 더해준다.
    느림보강문길의 대표 코스인 석문길은 도담삼봉 주차장에서 출발해 성신양회 방향 도로를 따라 500m쯤 걷다보면 입구에 강물길 안내판이 있는 너른 공터가 나온다. 이 공터의 안쪽부터 작은 오솔길이 이어지면서 본격적인 석문길이 시작된다. 숲 사이로 난 오솔길을 걷다보면 강물길 이정표를 만나 자연스럽게 석물길 따라 발걸음을 옮긴다. 거친 숨을 내쉬며 오르막길을 오르면 ‘이곳이 꽤 높은 곳이구나.’ 라는 사실은 나무사이로 아기자기한 도담리가 보이는 순간이다. 우거진 나무가 액자처럼 소박한 모습의 도담리를 감싸고 있는 모습이 푸근하고 안락하게 보여 지금까지의 가쁜 숨을 잠시 돌리게 한다.
    550 2022.07.15
  • 불바라기약수길
    미천골자연휴양림에서 불바라기약수까지 가는 임도길이다. 미천골은 12㎞에 이르는 수려한 계곡으로 초입에 선림원지가 있고, 미천골자연휴양림이 자리잡았다. 선림원지는 대청봉 동쪽의 양양 진전사, 그리고 강릉 굴산사와 더불어 신라 선종의 법맥을 이끌어가던 영동 지역의 대표적인 절집인 선림원이 있던 자리다. 전성기엔 공양을 짓기 위해 씻은 쌀뜨물이 계곡에 하얗게 흐를 정도로 수도승들이 많았다고 전하며, 여기서‘미천(米川)골'이란 이름이 나왔다. 미천골의 가장 상류에 약 30m 높이의 청룡폭포와 황룡폭포 있다. 청룡폭포 중간쯤에서 불바라기약수가 흘러내린다. 이 신비로운 약수는 철분을 함유한 탄산수로 예로부터 위장병과 피부병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505 2022.07.15
  • 불바라기약수길
    미천골자연휴양림에서 불바라기약수까지 가는 임도길이다. 미천골은 12㎞에 이르는 수려한 계곡으로 초입에 선림원지가 있고, 미천골자연휴양림이 자리잡았다. 선림원지는 대청봉 동쪽의 양양 진전사, 그리고 강릉 굴산사와 더불어 신라 선종의 법맥을 이끌어가던 영동 지역의 대표적인 절집인 선림원이 있던 자리다. 전성기엔 공양을 짓기 위해 씻은 쌀뜨물이 계곡에 하얗게 흐를 정도로 수도승들이 많았다고 전하며, 여기서‘미천(米川)골'이란 이름이 나왔다. 미천골의 가장 상류에 약 30m 높이의 청룡폭포와 황룡폭포 있다. 청룡폭포 중간쯤에서 불바라기약수가 흘러내린다. 이 신비로운 약수는 철분을 함유한 탄산수로 예로부터 위장병과 피부병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537 2022.07.15
  • 산꽃술래길
    충남 금산군 군북면 산안리 보곡산 임도에 ‘자진뱅이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보곡산에 난 여러 길 가운데 가장 긴 길이다.(7.5km)
    이 길은 산벚꽃 피는 계절에 걸어야 한다. 산벚꽃이 피면서 나무에는 연둣빛 신록이 물든다. 하얀 산벚꽃과 연둣빛 신록이 어우러진 파스텔톤 산천의 풍경을 보려면 산벚꽃이 만개하는 시기에 맞춰
    520 2022.07.15
  • 하동별천지길 회남재숲길
    회남재숲길은 하동군 청암면 청학동과 악양면 중기마을을 잇는 길이다. 우리 민족의 어머니산인 지리산 세석평전에서 남쪽으로 벋어 내린 산줄기 하나가 맥을 맺은 곳이 삼신봉이다. 청학동은 삼신봉 아래 해발 800m 정도에 자리한 그림 같은 마을로 고운 최치원선생이 은거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박경리선생의 소설 ‘토지’의 배경이 되는 들판이 약양면 평사리의‘무딤이들’인데, 중기마을은 무딤이들에서 악양천 물길을 따라 북쪽으로 20여리 정도 떨어져 있는 조용한 마을이다.

    회남재는 청암면과 악양면 경계에 있는 해발 약 750m의 고개로 청학동과 중기마을을 잇는 고개다. 회남재라는 이름에는 사연이 전한다.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이름이 높았던 남명 조식선생이 경남 산청에서 후학을 양성하면서 악양의 경치가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왔다가 돌아간 곳이라고 하여 회남(回南)재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이처럼 아주 오래 전부터 우리 조상들이 이용하던 고개와 숲길을 이어서 걷기 좋은 길로 만든 것이 회남재숲길이다.
    532 2022.07.15
  • 학성 역사체험 탐방로
    울산 태화강 및 학성공원, 학성제2공원(학성산)을 연결하는 길로 태화강의 전경과 구도심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것을 물론, 독립운동가인 박상진 의사 기념비와 왜적에 맞선 의사들의 위패를 모신 충의사, 포은 정몽주와 회재 이언적 등 유학자의 위패를 모신 구강서원 등을 접할수 있다. 울산의 역사가 담긴 장소를 따라 도보여행을 할 수 있어 자연적으로 역사문화의 학습장이 된다.
    523 2022.07.15
  • 영산강 서창포구 탐방길
    전평저수지에서 백마산 산책로, 서창향토문화마을, 영산강 옛 서창포구까지 도심내 등산로와 영산강 수변을 연결하는 생태 접근로를 개설하여 탐방객이 남도의 문화를 탐방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음
    496 2022.07.15
  • 하동별천지길 십리벚꽃길
    이쪽은 경상도 땅 19번국도 저편은 전라도 땅 861번 지방도로 지금이사 번듯한 남도대교가 놓여 사람은 물론 차량들도 드나들지만 예전 화개나루는 영남과 호남을 이어주던 줄 하나에 의지해 왔다. 이곳 나루에 조성된 화개장터에서 출발하여 쌍계사까지의 십리벚꽃길을 지나 쌍계사에서 약 10여리를 올라 만나는 지리산 유일의 거폭인 불일폭포까지 옛 명성터와 전국에서 가장아름다운 가로수길, 고찰, 높이 60m의 불일폭포까지 그야말로 선계를 체험할 수 있는 도보여행길이다.
    512 2022.07.15
  • 횡성 섬강길 1코스
    강원도 횡성과 평창의 경계를 이루는 태기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70여㎞를 흐르다 남한강과 합류하는 섬강.
    그 섬강의 물줄기 중에 횡성읍 구간 일부에 만들어진 강변길이다. 4대강새물결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된 자전거도로와 더불어 새롭게 정비한 북쪽연안의 흙길이 이어지며 원점회귀하는 오롯한 길이 완성되었다.
    강변을 따라 걷기만 하면 되므로 갈림길을 만난다 해서 크게 염려할 것은 없다. 섬강 위로 떠 있는 듯한 기기묘묘한 바위들에게 시선을 던져두고 걷는 맛이 일품이다.
    546 2022.07.15
  • 두타연 생태탐방로
    자연이 살아 숨쉬는 명품산소길을 목표로 조성하였으며, 소지섭길51K두타연갤러리, 지뢰체험시설, 양구 8경 중 1경인 두타연, 조각품 등 다양한 콘텐츠로 길이 채워져 있습니다. 특히, 두타연의 경우 분단이후 50여년간 민간인 출입이 통제가 되어서, 천혜의 자연이 그대로 보존되어있어, 자연경관이 빼어나며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생태탐방로 또한 걷기길로서 제격이다.
    524 2022.07.15
  • 영광 칠산갯길 300리 1코스 굴비길
    예부터 임금님의 수랏상에 오른 명품 굴비 생산지이자 인도의 고승 “마라난타”가 백제에 불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처음 들어온 곳인 백제불교최초도래지와 가마미해수욕장, 숲쟁이 꽃동산과 청정에너지원인 원자력발전소와 홍보관, 한마음공원(야생화식물원)이 위치하고 있는 탐방 구간으로 영광 9경(景), 9미(味), 9품(品)중 가마미 해수욕장, 백제불교 최초도래지, 숲쟁이공원, 굴비한정식, 태양초고추가 포함되어 있는 코스이다.
    508 2022.07.15